SF 작품 게시판 - 영화/애니/만화/소설/드라마/다큐멘터리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만화, 소설, 다큐멘터리 등 모든 작품에 대한 이야기. 정보나 감상, 잡담.
슈퍼 로봇 이야기, 괴수/괴인/초인 이야기 외에... 다양한 작품과 장르를 다루고 있습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슈퍼 로봇 이야기, 괴수/괴인/초인 이야기 외에... 다양한 작품과 장르를 다루고 있습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글 수 22,958
SF에서는 조우라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 인간(독자나 관객까지 포함해서)이
미지의 무엇(외계인, 복제인간, 인공지능 등)과 만나고 탐구하는 과정을 그리는 것이 SF이니
까 그럴 수밖에 없죠. 특히나 괴물 영화에서 괴물과 인간의 만남은 영화 전체의 공포 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건 <에일리언>이나 <프레데터>도 마찬가지입니다.
<에일리언>에서 괴물 보여주기는 워낙 유명하므로 길게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될 수 있으면
보여주지 않는다’는 신념 아래 리들리 스콧이 에일리언의 모습을 감추려고 한 이야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니까요. (그리고 이 방법이 엄청난 효과를 거두었죠)
그러면 <프레데터>는 어떨까요. 이 영화는 <에일리언>과 조금 다른 방법을 택했습니다. 괴물
을 거의 처음부터 드러내놓는 것이죠. 이건 <프레데터>가 만남의 순간보다는 그 이후의 대응
에 더 관심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군인들의 총질에 무게감을 두어서 그렇다는 겁니
다) <에일리언>에서 낯선 행성, 정체 모를 우주선, 기괴한 구조물, 거대 외계인의 주검을 거쳐
비로소 알집과 마주친 것에 비하면 상당히 극단적입니다. 외계 사냥꾼과 군인들은 거의 만나
는 그 순간부터 싸워댑니다.
하지만 <프레데터>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특수효과, 그리고 연출력으로 저러한 단점을 극복합
니다. 먼저 특유의 열 감지 시야를 계속 보여줌으로써 감시 당하고 있다는 불안감을 자극합니
다. 관객도 가해자의 시선에서 보게 되지만, 가해자의 정체를 알 수 없으므로 완벽하게 훔쳐본
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게다가 스텔스 효과는 괴물을 보여주긴 하지만, 그 정체를 더욱 궁금하
게 만드는 아이러니한 반응까지 생기게 만듭니다. 사람들은 영화 초반부부터 프레데터를 보게
되지만, 그 실체는 영화 후반에 가서야 드러나게 되죠.
깊이가 다르긴 하지만, 이처럼 두 영화는 괴물 보여주는 방식을 독특하게 취함으로써 인간과
미지의 만남을 중요하게 그려냅니다. 사실 이러한 방법이 이 영화들에서 처음 쓰인 것은 아닙
니다. 이전까지의 공포 영화들도 다 저렇게 했거든요. 다만, 이것들은 SF 영화이고 그래서 그
주제가 확연히 달라집니다. 공포영화에는 그 대상에 대한 논리적인 탐구가 빠져 있죠. 그저 두
려움만 있을 뿐입니다
미지의 무엇(외계인, 복제인간, 인공지능 등)과 만나고 탐구하는 과정을 그리는 것이 SF이니
까 그럴 수밖에 없죠. 특히나 괴물 영화에서 괴물과 인간의 만남은 영화 전체의 공포 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건 <에일리언>이나 <프레데터>도 마찬가지입니다.
<에일리언>에서 괴물 보여주기는 워낙 유명하므로 길게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될 수 있으면
보여주지 않는다’는 신념 아래 리들리 스콧이 에일리언의 모습을 감추려고 한 이야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니까요. (그리고 이 방법이 엄청난 효과를 거두었죠)
그러면 <프레데터>는 어떨까요. 이 영화는 <에일리언>과 조금 다른 방법을 택했습니다. 괴물
을 거의 처음부터 드러내놓는 것이죠. 이건 <프레데터>가 만남의 순간보다는 그 이후의 대응
에 더 관심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군인들의 총질에 무게감을 두어서 그렇다는 겁니
다) <에일리언>에서 낯선 행성, 정체 모를 우주선, 기괴한 구조물, 거대 외계인의 주검을 거쳐
비로소 알집과 마주친 것에 비하면 상당히 극단적입니다. 외계 사냥꾼과 군인들은 거의 만나
는 그 순간부터 싸워댑니다.
하지만 <프레데터>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특수효과, 그리고 연출력으로 저러한 단점을 극복합
니다. 먼저 특유의 열 감지 시야를 계속 보여줌으로써 감시 당하고 있다는 불안감을 자극합니
다. 관객도 가해자의 시선에서 보게 되지만, 가해자의 정체를 알 수 없으므로 완벽하게 훔쳐본
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게다가 스텔스 효과는 괴물을 보여주긴 하지만, 그 정체를 더욱 궁금하
게 만드는 아이러니한 반응까지 생기게 만듭니다. 사람들은 영화 초반부부터 프레데터를 보게
되지만, 그 실체는 영화 후반에 가서야 드러나게 되죠.
깊이가 다르긴 하지만, 이처럼 두 영화는 괴물 보여주는 방식을 독특하게 취함으로써 인간과
미지의 만남을 중요하게 그려냅니다. 사실 이러한 방법이 이 영화들에서 처음 쓰인 것은 아닙
니다. 이전까지의 공포 영화들도 다 저렇게 했거든요. 다만, 이것들은 SF 영화이고 그래서 그
주제가 확연히 달라집니다. 공포영화에는 그 대상에 대한 논리적인 탐구가 빠져 있죠. 그저 두
려움만 있을 뿐입니다
가령 신대륙 탐사에서도 결국은 논리적 탐구없는 인간간의 두려움이 살상을 불러일으키거나 다른한쪽을 노예화시키는 결과를 이끌었다고 생각합니다.
이건 외계인과의 조우에서 인간이 할수 있는 행동을 예측할수 있는것이고 결론적으로는 인간의 멸망을 가능케하는 요소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