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Y.jpg  

   

1963년 6월 2일 부터 1964년 2월 19일까지의 10살 먹은 아이의 일기를 묶은 전설의 책입니다.

   

이윤복 어린이는 일기를 쓸 당시 당시 대구에서 초등학교(국민학교) 4학년으로 재학 중이었고,

병든 아버지가 집에 누워서 지내는 동안 어머니가 가정불화와 생활고를 못견디고 가출한 이후

만 10세에 세 동생을 건사하는 가장이 되어서 껌팔이와 구두닦이와 구걸을 겸하여 먹고 삽니다.

  

6.25 이후 10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세계 최빈국으로 전세계에 구걸을 하면서 지냈던 시절,  

한국 사회를 뒤덥은 절대 빈곤과 그 속에서 자리 내린 좌절감이 아주 잘 다루어져 있습니다.

글 쓴이는 불과 열 살의 나이로 껌팔이와 구걸을 하면서 배고프다고 우는 동생들을 돌보는 신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 길이 잘 보이지 않는 국가 경제를 염려하고, 왜 한국은 이리도 가난한가 한탄하고,

"지난 겨울에 비가 많이 내려서 보리 농사를 잡았다"라고 하면서 굶는 사람이 많은 현실을 걱정합니다. 

  

매일 아이들에게 일기를 쓰게 하고 숙제 검사를 하던 학교 선생님이 아이가 쓴 일기의 처절한 내용에 주목하고,

가난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여러 학교를 돌아다니며 봉사활동을 하던 다른 선생님에게 해당 일기를 보여주면서

이 일기를 정리하여 출간하기로 합니다 - 결국 1년 뒤 책이 나왔고, 전국이 눈물바다가 되어 버리기에 이르렀죠.

이후 수 십 년 동안 한국에서 3차례, 일본에서 1회 영화화되면서 "그 시절"을 대표하는 기록문학으로 남았습니다

 

사실 이윤복 어린이가 겪었던 절대 빈곤의 불행은 당시 한국 사회에서 그리 드문 일이 아니었습니다.

전쟁 후 자녀 출산이 늘은 것에 비해 한국은 산업도 없고 일자리도 없어서 실업자가 지천이었습니다.

한국 전체가 절대 빈곤에서 헤어나지 못한 상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아무도 해법을 제시하지 못했죠.

쉽게 말해 나라 전체가 어찌할 바를 잘 몰라서 멍 때리고 있었다라고 밖에 할 수 없습니다.

최악의 가난 속에서 지도자도 산업화가 뭔지도 모르고 일에 대한 경험이 없으니 방법을 몰랐죠.

   

조금이라도 여유있는 집안에 자녀를 맡기고 허드렛일이라도 시키게 하여 입을 줄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고,

어린이가 남의 집에 들어가 집안일을 하고 있어도 "그래도 그 집에서 잘 먹을 수 있으면 다행"이라는 식이었죠.

가난한 집의 똘똘한 학생이 부자집의 그렇지 못한 친구의 공부를 돌봐주면서 그 친구 집에 드나들며 밥을 먹고,

그렇게 해서 어려운 자기집의 살림살이에 조금이라도 보탬을 주는 예도 무수히 많았습니다.

  

아무것도 없고, 아무 방법도 모르고, 다들 어찌할 바를 모른 채 절대 빈곤 속에서 헤매던 시절입니다.

보릿고개라고들 하는 데 그것도 겨울 보리 농사가 잘 되었을 때 봄철 보릿고개를 넘기면 보리밥이 나오는 것이지,

이윤복 어린이가 걱정했던 것처럼 겨울에 눈이 아닌 비가 많이 와서 보리 농사 망치면 여름까지 다들 굶주렸습니다.

쌀농사를 망치기라도 하는 날이면 아예 온 나라가 겨우 내 굶습니다. 해외에 구걸하여 들어오는 원조도 한계가 있죠.

   

그런 절대 빈곤 속에 아무것도 없는 나라에서, 이제 세계 10위 무역국이 되고 OECD 가입국이 되었습니다.

그 시절을 관통하여 1960년대에서 1970년대를 거쳐 일하면서 경제발전의 모습을 지켜 본 사람들이,

군사 독재 시절이기 때문에 그 시절을 트라우마로 괴롭게 생각할 것이다...?

천만의 말씀입니다.

    

절대 빈곤을 직접 경험한 사람들에게...

1960년대에서 1970년대를 거쳐 경제가 발전한 시절은 어디까지나 찬란한 영광의 시절이자,

땀과 노력의 보상으로 절대 빈곤을 이겨냈던 자부심의 시절입니다.

"이만큼 이 나라가 발전하는 데 나도 그 당시 한 몫 했다"는 긍지를 갖게 하는  뿌듯한 기간으로 기억될 뿐이죠.

  

"도대체 1960년대 초반 세계 최빈국 시절의 절대 빈곤이라는 것이 어느 정도였길래"라고 여길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해답을 제공하는 것이 1963년도에 10살 이윤복 어린이가 쓴  일기 <저 하늘에도 슬픔이>입니다.

굶주림이 극에 달했던 시절, 먹는 것 외에 다른 문제는 큰 관심사가 아닌 것이 당연하다는 것을 깨닫게 합니다.

이건 누구의 탓도 아닙니다 - 인간도 먹어야 살아갈 수 있는 동물이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