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작 몇십년전만 해도 나이를 먹으면 먹을수록 지혜로워진다 라는 건 일종의 경구였습니다.

 

하지만, 요즘엔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점점 줄고있을것 같네요.

 

환갑이면 동네 잔치를 하던 시절에는 사람 평균 수명이 60세였습니다.

 

대신 10대때 결혼하고 섹스해서 애를 낳았지요. '옛날이면 아가 셋이다.' 하는 소리처럼 말이지요.

 

요즘엔 10대때 하던것이 20대후반, 30대 초반으로 늦춰지고 평균수명이 80세로 늘었어요.

 

옛날이야 받아들이는 정보가 적고, 사실 먹고살기에 바빠서, 얻는 지혜라고는 삶의 지혜정도였고 그 외의것은 생각하지 않았는데, 요즘엔 아니지요.

 

 

하지만, 살다보니 어릴적 생각하던 그 '노인'의 이미지가 나중에 생각해보니 그게 안맞을때가 많아요. 뭐든 다 알고 있고, 힘들때면 경험으로서 뭔가를 헤쳐나갈 수 있다는 그런 예전의 노인의 이미지가 아니란 말입니다.

 

지금 80세 노인이 수백년전 백발이 성성한 60세노인보다 더 지혜로울지 어떨지는 모르겠습니다. 20세나 더 살았으면 20세만큼 더 경험이 많아야 하겠지요.  사실 흔하게 말하는 '위대한 옛 성현' 이라는 게, 이런 측면에서 접근하면 옛 성현이 더 지혜로울까, 아니면 자기가 인정하는 80세 노인이 더 지혜로울까라고 생각해보면 당연히 후자가 훨씬 낫단 결론이 나옵니다.. 현재 태어나는 아이들의 예측 평균수명인 120세는 어때요? 걔네들은 옛 성현보다는 두배로 더 살겁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나이먹어도 추악한 짓을 하거나, 별다른 지혜없이 살 사람들도 분명히 많겠지요. 그 노인들이면 옛날처럼 '모르는게 있으면 마을 최고 노인을 찾아가보라.' 라는 식으로 이야기 할 수 있을까요? 

 

 

세상이 빨라지면서 노인들의 지혜가 현실에 적응되는것이 빠르게 없어져가고...

마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에서 안톤쉬거가 활개를 치고 다니는 것 처럼, 현실에는 원래도 그렇게 많았는지는 모르겠지만, 더 많은 안톤 쉬거가 눈에 들어오거든요.

 

그로 인해서, 나이로 얻는 수많은 지혜란것이, '확정된 사실'에서 '나는 그에 대해서 모름'이란거 더욱 지혜가 되어가고 있고, 또 '한가지의 길' 보다는 '방법과 마음가짐'쪽의 지혜가 더욱 나이를 얻으면서 얻을 수 있는 가치있는 지혜가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생각해보면 새삼 놀라운건, 이게 2000년동안 꾸준히 바뀌어오던게 아니라, 최근에 세상의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나타나는 급작스러운 변화라는 거지요.

 

 

어쩌면 전 노인들의 지혜란것이 단순히 경험에서 온게 아니라, 노화된 뇌와 몸에서 발생하는 사고방식의 변화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Hominis Possunt Historiam Condonare, Sed Deus Non V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