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작품 게시판 - 영화/애니/만화/소설/드라마/다큐멘터리
슈퍼 로봇 이야기, 괴수/괴인/초인 이야기 외에... 다양한 작품과 장르를 다루고 있습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마이클 무어콕의 대표작 <이 사람을 보라(Behold the Man, 1967)> 완역본을 읽었습니다.
2013년 12월 초겨울에 번역본이 출간되어 나왔으니, 어느새 거의 1년이 다 되어 가네요.
실은 책 나오고부터 조금씩 찔끔찔끔 거리고 있기는 했는데,
다른 책 읽느라고 또 어쩐지 불경하다는 와이프 의견에 따라 숨겨 두었다가...
몇 일 전 마음 먹고 출퇴근길에 들고 다니면서 처음부터 다시 죽 읽어내려갔습니다.
그렇게 읽기 어려운 책도 아니고 평이하면서도 임팩트가 있어서 하루면 읽겠더군요.
<이 사람을 보라>는 종교 SF를 이야기할 때 반드시 언급되는 책입니다.
처음 단편으로 쓰여진 것이 1964년이고 장편으로 개작하여 1967년에 출간하였다고 하니,
무려 50년 전에 발표된 고리짝 작품으로 SF계에서는 누구나 아는 '클래식 넘버'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번역자는 "작품을 읽지 않은 사람도 어떤 내용인지 다들 알고 있는 책"이라는 희한한 위상을 지적했는데,
그렇다고 해서 책 자체의 의의나 가치가 퇴색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 정도로 중요한 고전인 셈이죠.
저는 마이클 무어콕의 단편은 접한 적이 있지만, 단행본은 처음 읽어봤습니다.
1960년대 SF계를 강타한 뉴웨이브 운동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 위대한 SF 평론가,
나이어린 10대 시절부터 SF 잡지을 편집하기 시작해서 30 년 동안 편집장을 지낸 위대한 편집자,
문학적 감수성 어린 SF와 팬터지를 누구보다 많이 꾸준히 써낸 SF/팬터지/순문학 경계에 선 그랜드 마스터 작가....
마이클 무어콕은 아서 클라크와 함께 영국 SF 문단의 투 톱이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은 거장이지만
희한할 정도로 한국에는 소개될 기회가 없었고, 단편을 제외하면 거의 번역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이 사람을 보라>가 나온 것이 너무 늦었음에도 오히려 새로왔던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었죠.
<이 사람을 보라>의 메인 스토리 라인은 너무나 널리 알려진 것이어서,
따로 언급한다고 해도 스포일러가 되고 말고 할 것도 없습니다.
실을 책을 읽는 모든 사람들이 금새 어떤 내용이 될 지 이미 알고 시작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여자친구와 결별하고, 삶에 대한 무기력과 패배감에 견딜 수 없게 된 젊은이가 타임머신으로 시간여행을 감행합니다.
그리고 도착한 시대는 예수님이 십자가에 매달리기 1년 전 이스라엘, 세례자 요한과 만난 후 예수를 만나러 갑니다.
그런데 어찌어찌 예수를 만나지만, 자신이 알고 있었던 그 위대한 예수 그리스도가 아닌 타고난 백치를 만나고...
어째서 역사가 이렇게 잘못되었는지는 잘 모르겠고, 하여간 어떻게든 역사를 되돌려야 겠다고 생각한 주인공은
자신이 알고 있는 성서 내용에 따라 예수의 역할을 똑같이 재현하고, 실제로 예수가 되어 십자가에 매달려 죽습니다.
제 와이프와 같이 독실한 기독교 신자는 불경하다고 여길 것이고,
SF를 좋아하는 독자들이라면 SF인 것은 괜찮은 데 너무 순문학 비스름한 기법이 많고
주인공의 심리묘사와 과거 추억의 아픔을 집중적으로 묘사한 것을 거북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순문학도 아니면서 SF라고 보기에는 지나치게 문학적이고, 종교에 대한 도발은 말도 못할 정도로 많죠.
카톨릭 쪽에서 예수 다음으로 높게 평가하는 성모 마리아를 매우 음탕하고 형편없는 여성으로 표현하고 있고,
나자렛 지역에는 많은 목수가 모여 살았으며 당시 이스라엘 땅에는 무수한 예언자들이 떠돌아 다니고 묘사하여서...
독실한 기독교 신자나 예수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신성모독을 쉼 없이 저지르고 있는 작품입니다.
또한 <이 사람을 보라>는 책장을 펼치자마자 비어와 속어가 난무합니다.
도입부에서부터 시간여행자가 상스러운 욕설을 그대로 내뱉는 모습을 묘사하고,
시작부터 끝까지 계속되는 과거 추억에 대한 회상과 독백에 '욕설'이 일관되게 따라다닙니다.
저는 지난 20 여년 동안 SF를 읽으면서, 이렇게 욕설을 노골적으로 기술한 작품은 처음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 자체는 전혀 천박하지 않습니다. 융 심리학에 대한 토론, 삶에 대한 진지한 고찰,
매우 문학적인 테크닉이 쉼 없이 계속되는 실험적인 작풍, 슬픔과 분노를 묘사하면서 독자를 몰입시키는 능력,
작가 나이 28 세에 불과했던 시절에 이 정도 문학적 성취를 거두는 책을 한 달음에 써 내려갈 수 있다니...
말 그대로 작가의 문학에 대한 천재성과 새로운 시도를 위한 치열함이 녹아든 작품이 분명합니다.
<이 사람을 보라>를 읽으면서 머리 속에 떠 올라 비교할 수 밖에 없었던 다른 책들이 있었는데,
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 미하일 불가꼬프의 <거장과 마르가리타>였습니다.
<거장과 마르가리타>에서 태만하고 비겁한 까닭에 죄를 짓게 되는 본디오 빌라도의 모습과
<이 사람을 보라>에서 영악하고 정치적 계산에 밝은 본디오 빌라도의 모습을 비교하게 되고...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의 모습은 <사반의 십자가>에서 사반이 예수 곁에 매달려 참회하지 않고 이를 악무는 것과
<사람의 아들>에서 아하츠 페르츠가 십자가의 예수 앞에서 재림을 기다리겠다고 하던 장면을 떠올리게 하더군요.
<이 사람을 보라>에서는 시간여행자인 주인공이 예수의 역할을 최선을 다해 재현하여 결국 십자가에 못박히는데,
성서에 죄수 셋이 매달렸던 것과는 달리 혼자 십자가에 매달려 있고 곁에 다른 죄수의 십자가가 전혀 없습니다.
- 시간여행자의 노력을 보여주면서 한 가닥 미스테리를 남기고 있는 것이 매우 신선하더군요.
뉴 웨이브라고 하면 로저 젤라즈니, 마이클 무어콕, J .G . 발라드 등을 대표적인 작가라고들 합니다.
1960년대 마이클 무어콕을 수장으로 하여 영국에서 처음 떠올라 SF 계을 한 바탕 뒤집어 놓았다가,
문학적 느낌이 물씬 풍기는 여러 SF 작품들을 낳고 SF의 저변을 넓히고 SF의 수준을 한 단계 더 높힌 후
장르로서 자신의 역할을 다 하고 조용히 역사 속으로 사라진 SF 서브 장르라고 할 수 있죠.
미국 작가 로저 젤라즈니에 비해 영국 작가인 무어콕과 발라드는 확실히 더 풍성하고 난삽한 맛이 있습니다.
그게 장점이기도 하고 단점이기도 하지만... 순문학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마이클 무어콕이 무척 마음에 들 겁니다.
저와 마찬가지로 말이죠.
마이클 무어콕의 책을 더 읽고 싶습니다.
비속어를 사용하면서 문학에 대해 도발하고,
SF를 순문학적인 테크닉으로 쓰면서 SF에 대해 도발하고,
신성한 종교에 대하여 시간여행이라는 테마를 통해 정면으로 도발하고 있습니다.
끊임없이 도발하지만 그저 발칙한 것이 아니라, 인생에 대한 고민과 연민이 잔잔히 흐르고.
현학적인 논쟁을 서술하면서도 삶에 녹아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어서 공허하지 않으며,
과거 시대에 대한 정경묘사 역시 장면 하나하나 손에 잡힐 듯 생생하게 살아있기 때문에...
그 덕분에 마이클 무어콕의 도발은 그냥 거칠거나 유치하지 않고, 나름 품격과 설득력을 가집니다.
책을 읽는 내내 "나도 이런 글을 쓰고 싶었다"는 생각을 갖게 하더군요.
그리고... 작품 내내 번역자분은 신을 "하느님"으로 번역해 놓았습니다.
알라딘 독자 평 중에는 번역자가 기독교에 무지한 것 같다는 의견을 낸 사람도 있던데...
실은 이게 오역이 아닙니다. 본래 카톨릭과 개신교가 합의한 용어는 "하느님"으로 되어 있습니다.
왕년에 1970년대 무렵 한국의 개신교와 카톨릭이 합의하여 공동으로 번역한 <공동번역성서>를 만들 때,
"하느님"이라는 용어를 쓰기로 상호 합의 하에 결정한 바 있었습니다.
그래서 개신교와 카톨릭이 함께 만든 <공동번역성서>는 "하느님"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저는 1980년대에 성당에서 <공동번역성서>를 좀 읽었는데, "하느님"이라고 되어 있었던 것을 기억하고 있죠.
이제는 날라리 기독교 신자이고 사실상 무교여서 교회나 성당에는 산책 겸 해서 놀러가는 수준이지만,
<이 사람을 보라>와 같은 책을 읽을 때는 얼마간 날라리 신자인 것이 오히려 도움이 되더군요.
기독교나 성서를 그럭저럭 알고 있어서 책에서 무슨 소리를 하는 지 이해하기 편하면서도,
성서 내용을 풍자할 때 "불경하다"는 식의 마음 속의 진입장벽같은 것이 전혀 없거든요.
주인공의 머릿속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꽤 중요하다보니 일종의 심리소설처럼 읽히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