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흐르는 카페
이곳은 무엇이든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자유 게시판입니다. (댓글 기능을 다시 활성화시켰습니다.)
크툴루 신화라는게 있습니다. 러브크래프트의 작품을 기점으로 시작된 신화 체제라고 알려져 있지요.
하지만, 사실 러브크래프트는 크툴루 신화라는 것을 만들지 않았습니다. 그는 단지 독특한 상상력으로 가득한 공포 소설을 집필했을 뿐이지요.
게다가 그의 작품은 그다지 알려지지도 않았습니다. 펄프 작가로서 나름대로 인기를 모으기는 했지만, 문학적인 평가는 고사하고 제대로 출판된 작품도 별로 없었기 때문이지요.
수많은 작품을 집필했지만, 제대로 소개되지 않은 상황. 결국 러브크래프트는 1937년 암으로 사망하면서 불운한 인생을 마감했습니다.
그의 작품이 대중의 관심을 얻게 된 것은 러브크래프트의 친구이자 그를 스승처럼 생각했던 한 사람의 작가(편집자) 덕분입니다.
어거스트 덜레스...
그 자신이 작가이기도 했던(13살 때부터 소설을 쓰기 시작하여 16세에 작가로서 데뷔했던) 덜레스는 1939년 동료인 도널드 완드레이와 함께 출판사인 아캄 하우스(Arkham House)를 설립합니다. 그가 이 출판사를 만든 것은 바로 존경하는 러브크래프트의 작품을 세상에 알리겠다는 꿈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후 아캄 하우스를 통해 러브크래프트의 작품이 꾸준히 소개되었습니다. 아니 단순히 소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덜레스는 러브크래프트의 작품들을 하나의 체계로 정리하여 소개하기에 이릅니다. 그것이 바로 "크툴루 신화"이지요. 더욱이 덜레스는 다른 작가들이 크툴루 신화의 창작과 발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습니다.
그리하여 크툴루 신화를 바탕으로 다채로운 작품이 탄생하였고, 이를 통해 작가들이 데뷔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크툴루 신화는 덜레스의 개인적인 해석이 더해지면서 러브크래프트의 원저와 다르게 발전했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습니다. 러브크래프트 자신이 생각했던 방향과는 다른 모습을 갖추었기에 이를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하지만, 덜레스의 노력이 아니었다면, 러브크래프트의 작품이 대중에 소개되는 일도 없었을 것이며, 무엇보다도 크툴루 신화라는 이름으로 많은 작품이 새롭게 태어날 수도 없었을 것입니다.
이 역시 또 하나의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의 사례가 아닐까요?
그리고 또 하나... 누군가가 세계관을 만들었다고 해도, 이후의 해석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는 사례라고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가령, 토미노 요시유키의 손을 벗어나 다채롭게 펼쳐진 <기동전사 건담>이나, 진 로덴버리의 손을 떠나 새로운 길을 걸어나가는 <스타트렉>처럼 말이지요.
과거를 아는 이는 현재를 이끌어가고 미래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역사와 SF... 어딘지 어울리지 않을 듯 하지만, 그럼 점에서 둘은 관련된게 아닐까요?
SF&판타지 도서관 : http://www.sflib.com/
블로그 : http://spacelib.tistory.com
트위터 : http://www.twitter.com/pyodogi (한글) http://www.twitter.com/pyodogi_jp (일본어)
생전에는 거의 인정을 받지 못하다가 죽고 난 후 거장 대접을 받게 된 작가는... 은근히 많습니다.
툴의 <바보들의 결탁>의 경우가 가장 극적이겠죠. 작가가 책을 완성하고 5년 동안 출판사를 찾아다녔지만 모두 거절당한 것에 낙심하여 결국 자살했는데, 작가가 그렇게 한스럽게 죽고서 10년 후 그 원고가 한 대학교수에 의해 발굴되어 출간되고는 곧장 퓰리처상을 받았습니다. 상을 받을 당사자는 죽은 지 10년이나 되었는데 퓰리처상이 수여된 것은 당연히 전무후무한 일이 되겠죠.
멜빌의 <백경>도 작품에 대한 혹평에 낙심한 작가가 사실상 창작을 포기하고 죽은 지 30년이나 지나서(작품이 발표된 지 70년 후) 한 사람의 평론가가 열광적으로 칭찬을 퍼부은 덕분에 부활한 작품이고...
포 역시 생전에는 나름 유능한 문학잡지 편집자 정도로만 알려진 사람이었고, 작가이자 시인으로는 별로 유명하지 않았습니다. 그가 오늘날 추리 문학, SF 문학, 근대 단편소설의 창시자로 이야기될 정도로 엄청난 위치에 오르게 된 것은, 순전히 <악의 꽃>의 보들레르가 우연히 포의 작품을 접한 이후 넋이 나가버려서 평생을 바쳐 포의 전작품을 프랑스어로 완역하고 온갖 미사여구를 다 동원해서 칭찬했기 때문입니다. 보들레르는 심지어 "내가 산문으로 쓰고 싶었던 것은 포가 다 썼기 때문에, 나는 소설 창작을 포기한다"고 말할 정도였죠. 보들레르 덕분에 포의 작품은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 먼저 유명해졌고, 그 이후 미국에서 재평가가 이루어졌죠.
미야자와 겐지의 경우에도 살아있을 때는 사실상 거의 알려지지 않은 무명이었습니다. 혹평이고 호평이고 간에 아예 이 사람 생전에는 제대로 된 비평 자체를 아예 받아 본 적도 없었죠. 하지만 이제는 <은하철도의 밤>, <첼리스트 고슈> 등의 동화와 <봄과 아수라>로 대표되는 시집으로 거의 일본의 국민 작가의 반열에서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너새네이얼 웨스트는 청년 시절 호텔 웨이터로 일하면서 작가의 꿈을 키워 30대가 되어 불과 5년 정도 작가 생활을 하다가, 책을 내고 반응을 지켜보기도 전에 갑자기 세상을 떠난 케이스입니다. 미국에서 처음 책을 출간했을 때는 책을 낸 출판사가 갑자기 도산해 버려서 책이 제대로 독자를 만날 기회도 얻지 못한 채로 금새 묻혀 버렸고, 이후 두 어 권의 책을 더 내고 어떤 반응이 나오기도 전에 교통사고로 요절하고 말았습니다. 그의 나이 불과 37세였죠. 작가가 죽고 10년 후 프랑스에서 번역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고, 20년 후 미국에서 전집이 나오면서 전설적인 작가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죠.
뭐, 덜레스 덕분에 사람들이 막상 러브크래프트 소설은 모르고 신화 체계에만 해박한 경우도 생기죠. 그런 사람들이 막상 해당 작품을 읽어보면 이게 뭔 소리인지 이해를 못 하는 경우도 있고요. 저만 해도 크툴루 신화는 어느 정도 잘 안다고 생각했는데, 처음 <광기의 산맥에서>를 볼 때는 이게 무슨 내용인가 싶었습니다. 그만큼 작가의 설정이 집대성되어서 읽기 힘든 면도 있는 작품이지만.
필립 K.딕도 어쩌면 죽어서야 진가를 인정 받는 작가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생전에는 그리 고생을 했는데, 죽고 나자 온갖 소설이 다 영화로 쏟아져 나오니. 최근에도 <컨트롤러>인가 하는 영화가 또 나온다고 하죠. 헐리우드가 이 작가를 너무 늦게 알아준 게 아닐지.
제가 가야 할 길인것 같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