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구글 로고로 니콜라스 스테노가 떴습니다. 이른바 지질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과학자인데, 침식과 지층 형성을 밝혀낸 것으로 유명하다고 합니다. 그에 따라 로고 모양도 지층과 화석 그림이네요. 궁금해서 클릭해 보니 웬 창조과학자 이야기가 주르륵 뜨는군요. 아니, 뜬금없이 창조과학자라니? 구글에서 이런 사이비 인물을 띄워줄 리가 없는데 말입니다. 이상해서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 내용을 읽어보니 멀쩡한 과학자를 매도하는 거였습니다. 니콜라스 스테노는 성경의 창세기에 기초해 연구를 진행했고, 그렇기 때문에 과학적 성과가 성경 내용이 사실임을 입증한다는 겁니다. 또한 평생 독실하게 신앙을 믿었기에 창조설을 인정하는 창조과학자라고 하더군요.


저런 사이트는 크게 두 가지 오류를 저지르는데, 우선 성경에 기초해 연구했다고 해서 성경이 사실은 아니라는 겁니다. 저는 저 과학자의 생애를 자세히 모르지만, 뭐, 스테노가 노아의 홍수 이야기를 읽고 연구했다고 칩시다. 때로는 엉뚱한 호기심이 위대한 발견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스테노가 지층 형성 과정을 밝히기 위해서 사용한 건 성경 내용이 아니라 과학적 방법론이었습니다. 스테노의 연구 어디에도 신의 위대한 힘이라거나 전능함 같은 구절은 나오지 않습니다. 대신 지질이 어떻게 퇴적하는지 가설을 세우고, 실험과 관찰을 통해서 가설을 입증한 다음, 그걸 토대로 결론을 도출했습니다. 하긴 신의 힘 운운했다면 학계에서 인정도 못 받았겠지만요. 저 엉뚱한 논리에 따르면,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 이야기를 읽고 번개를 연구해서 제우스를 실존하는 신으로 입증할 수도 있겠군요.


또한 신앙과 과학적 성과는 전혀 별개의 문제입니다. 신앙이 있으면서 과학을 인정하는 종교인도 있는 것처럼 종교를 받아들이는 과학자 또한 있습니다. 니콜라스 스테노는 17세기 서구인인데, 이 당시 기독교를 믿는 건 그 시대의 당연한 풍습이었습니다. 스테노는 그런 풍습에 따라 신을 믿었던 것 뿐입니다. 그리고 이 사람이 과학적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건 이미 말했듯이 신앙심 때문이 아니라 방법론이 옳았기 때문이죠. 기독교와 싸웠던 것으로 유명한 갈릴레오 갈릴레이도 사실은 교회에 친숙했습니다. 그 시대의 유럽인이라면 그게 당연했으니까요. 현대 한국인 과학자는 추석에 성묘 가지만, 조상 귀신을 믿지는 않습니다. 그거랑 하등 다를 바 없어요. 물론 시대가 시대니만큼 스테노나 갈릴레이의 믿음은 보다 성경에 충실했겠죠. 옛 위인을 되새길 때는 항상 시대상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뜻입니다.


구글 로고를 클릭하자마자 창조과학자 운운하는 소리를 들으니, 사이비 과학의 폐해가 어떤 것인지 새삼 느끼게 되는군요. 17세기 유럽인이 단지 기독교인이었다는 걸 가지고 과학적 사실을 거짓말로 매도하다니요. 훌륭한 위인을 앞두고 한숨이 먼저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