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존재 증명에 대한 이야기 3번째이자 마지막 글 입니다. ^^ 이번에는 제임스와 키에르케고르 입니다. 이 두 철학자 모두 둘 다 이성의 능력을 부정하고, 믿으려는 의지와 주관적인 진리에 대해서 이야기 했습니다. 사실 이 전에 이야기한 데카르트나 흄 모두 이성의 능력을 부정하지 않았습니다. 둘 다 근본적으로는 이성의 능력으로 신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으니까요. 데카르트야 두 번 말할 것도 없고, 흄도 경험을 통해서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위해서는 이성의 능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제임스와 키에르케고르는 둘 다 신앙이라는 것과 이성이라는 것을 분리해서 생각했습니다. , 이성에 기초한 신 존재 증명으로는 신앙(믿음)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는 것이죠. 좀 더 풀어 쓰자면, 이러저러하니까 신이 존재한다, 혹은 존재 안 한다 라고 아무리 떠들어봐야 그것만으로는 신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못한다는 믿음은 이끌어 낼 수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전에 석아찬님이 쓰신 글에서처럼 생물학자 앞에 신을 가져다 주더라도 생물학자는 그 것을 새로운 생명체의 일종으로 생각할 뿐인 것과 같다고 할 수 있겠죠

 

 그럼 신앙이나 믿음이라는 건, 신이 존재한다는 믿음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요? 제임스가 이야기 한 것은 실용주의 진리설 입니다. 설명하자면 어느 명제에 대한 믿음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냈을 때 그 명제는 진실이고,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내면 그 명제는 거짓이라는 겁니다. 제임스가 미국의 심리학자 겸 철학자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참으로 미국스럽고 자본주의적인 설명이죠. ^^;

 

 예를 들어 생각해보죠. '오이는 맛있다' 라는 명제가 있다고 합시다. 그래서 제가 오이를 먹어봤더니향도 상큼하고, 맛도 시원합니다. 맛있네요. 때문에 저한테는 '오이는 맛있다' 라는 명제는 진실입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명제에도 적용시킬 수 있죠. '1+1 = 2' 라는 것에 대해서도 저 명제를 믿고, 시험을 쳤더니 100점 나왔더라. 그러므로 '1+1 = 2' 라는 명제는 진실이다. 라거나,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360도 이다.' 라는 명제를 믿고 문제를 풀었더니 틀렸다. 그러므로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360' 라는 명제는 거짓이다. 라는 식으로 뭐 예를 들자면 끝이 없을 겁니다. 즉 어느 명제를 믿는 경우와 안 믿는 경우 이득과 손실을 따져봐서 이득인 게 참이다 라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실용주의 진리설에서 또 하나의 특징은 진리라는 게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주관적이라는 겁니다. 맨 처음 이야기한 '오이는 맛있다' 라는 명제를 생각해보죠. 사람에 따라서 오이를 먹으면 알르레기가 있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은 오이 향만 맡아도 구역질이 납니다. 이런 사람에게는 '오이는 맛있다' 라는 명제는 거짓입니다

 

 이러한 실용주의 진리설을 신 존재에 적용시키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신이 존재한다는 명제를 믿거나 안 믿는 경우의 결과를 확인해 보면.

 

 신이 존재한다.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

 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믿을 경우

 사후 영원한 보상 (종교적 안심)

               ?

 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안 믿을 경우

 사후 영원한 저주 (?)

               ?

 

 뭐 제임스가 미국인 인이기 때문에 보상과 저주라는 극단적인 표현을 했습니다만, 다른 종교에서도 기본적으로 기복신앙은 있으니 표 자체가 크게 달라지지는 않을 겁니다. 뭐 다만 위에서도 말했듯이 실용주의 진리설은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주관적인 진리설입니다. 예를 들어서 기독교의 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믿을 경우에 '매주 일요일 아침마다 종교행사에 참가해야 한다' 라는 게 들어가서 결과적으로 '신이 존재한다 라는 것을 안 믿는 게 더 이득이다' 라고 결론 내릴 수도 있게 됩니다. 그런 사람에게는 신이 존재한다는 건 거짓인 것이죠

 

 

 

 키에르케고르의 경우에는 이성적인 능력을 제임스보다 더 무시합니다. 제임스라면 그나마 어느 것이 이득이다 라고 판단하는 이성적 능력이 있습니다만, 키에르케고르는 아예 이성적인 것 위에 종교적 믿음이 있다고 할 정도니까요. 그 예로 든 경우가 성경 속에서 아브라함이 아들을 제물로 바치는 모습입니다

 

 성경 속에서 아브라함은 하나님이 자신의 아들을 제물로 바치라는 말을 듣고 그대로 따르지요. 여기서는 어떠한 이성적 판단이나 도덕적 판단보다 종교적 믿음이 모든 행동의 근본이 됩니다. 보통사람들이 보면 자신의 아들을 죽이려는 미친 사람의 행동도 아브라함에 있어서는 종교적 이유가 있었기에 정당화 된다는 겁니다. , 이성적 판단보다 위에 종교적 믿음이 있고, 이것 저것 따져서 신의 존재를 믿는 것이 아니라 그냥 신의 존재를 믿는 것이 진정한 신앙이라는 것입니다

 

 

 키에르케고르 부분이 좀 적군요. 수업 들었을 때 별로 관심 없던 부분이라서. ^^; 사람마다 생각은 다 다르다지만 어느정도의 경향성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경향성은 과거의 철학자나 여러 선인들의 생각에서 찾을 수 있다고 봅니다. 저야 아는 것이 4명 뿐이라서 그 사람들만 이야기 했지만 그래도 나름 경향성을 찾을 수 있다고 봅니다. 


 이성적이나 존재론적으로 생각해 봤을 때 신은 존재한다. 라면 데카르트 생각과 비슷하고,

 난 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경험해보지 못했으니까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 라면 흄과 비슷하고,

 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믿는게 이득이니까 (혹은 교회 가는게 나에게 이득이니까) 신이 존재한다. 라면 제임스와 비슷하고,

 신의 존재는 이성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존재하는 것이다. 라면 키에르케고르와 비슷하겠죠. 


 저야 흄과 제임스의 생각에 동의합니다만, (가장 맘에 드는건 데카르트지만. ^^) 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신 존재 증명에 대한 이야기 #1. 데카르트 : http://www.joysf.com/4257659

 신 존재 증명에 대한 이야기 #2. 흄 : http://www.joysf.com/4258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