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 과학 포럼
SF 속의 상상 과학과 그 실현 가능성, 그리고 과학 이야기.
SF 작품의 가능성은 어떻게 펼쳐질 수 있을까요? 그리고 어떤 상상의 이야기가 가능할까요?
SF에 대한 가벼운 흥미거리에서부터 새로운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에 이르기까지...
여기는 과학 소식이나 정보를 소개하고, SF 속의 아이디어나 이론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상상의 꿈을 키워나가는 곳입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나 덧글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SF 작품의 가능성은 어떻게 펼쳐질 수 있을까요? 그리고 어떤 상상의 이야기가 가능할까요?
SF에 대한 가벼운 흥미거리에서부터 새로운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에 이르기까지...
여기는 과학 소식이나 정보를 소개하고, SF 속의 아이디어나 이론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상상의 꿈을 키워나가는 곳입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나 덧글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글 수 8,078
몇년 된 과학잡지를 훝어보다 발견한 건데 2006년 1월달에 미국에서 최초의 명왕성 탐사선 '뉴호라이즌'을 발사했다고 하네요
명왕성이 처음 발견된지 올해로 76년이 되었으니 한창 늦게 탐사선을 보냈네요 거기다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무려 9년이라고 하는군요 이것도 목성의 도움을 받아 최단거리의 명왕성을 가는 시간이니 많이 멀군요;;; 2015년에 도착예정이니 앞으로 8년 남았네요;;;
어쨰든 뉴호라이즌은 명왕성과 위성 샤론 그리고 그 바깥에 있는 수십만개의 얼음무리로 이뤄진 '카이퍼 밸트'도 탐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것들을 해내기 위해서는 75억km를 여행해야만 한다는 군요 아마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퇴출당할때 관련자들은 통분의 눈물을 흘렸을 것같네요
뉴호라이즌의 탐사 일정 예상도를 보면 2007년 2월에 목성근처에 도착하고 2007~2015년까지는 겨울잠을 자고 2015년 7월에 명왕성으로부터 1만 1000km까지 다가가고 여기서 보내는 정보는 4시간 25분이 지난후 지구에 도착한다고 합니다 2020년부터는 태양계 바깥에 있는 지역을 탐사한후 보이저호처럼 태양계 밖을 향해 비행한다고 합니다
뭐 자고 있는 뉴호라이즌호는 생명체이고 9년간 잠을 자다가 자신이 탐사하러 가는 행성이 이미 행성이 아니라는 걸 알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또 뉴호라이즌이 명왕성을 탐사하다가 명왕성이 알고보니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졌다나 어마어마한 가치의 물질이 있다고 하면 명왕성이 다시 태양계의 막내로 낄수 있을까요?
명왕성이 처음 발견된지 올해로 76년이 되었으니 한창 늦게 탐사선을 보냈네요 거기다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무려 9년이라고 하는군요 이것도 목성의 도움을 받아 최단거리의 명왕성을 가는 시간이니 많이 멀군요;;; 2015년에 도착예정이니 앞으로 8년 남았네요;;;
어쨰든 뉴호라이즌은 명왕성과 위성 샤론 그리고 그 바깥에 있는 수십만개의 얼음무리로 이뤄진 '카이퍼 밸트'도 탐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것들을 해내기 위해서는 75억km를 여행해야만 한다는 군요 아마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퇴출당할때 관련자들은 통분의 눈물을 흘렸을 것같네요
뉴호라이즌의 탐사 일정 예상도를 보면 2007년 2월에 목성근처에 도착하고 2007~2015년까지는 겨울잠을 자고 2015년 7월에 명왕성으로부터 1만 1000km까지 다가가고 여기서 보내는 정보는 4시간 25분이 지난후 지구에 도착한다고 합니다 2020년부터는 태양계 바깥에 있는 지역을 탐사한후 보이저호처럼 태양계 밖을 향해 비행한다고 합니다
뭐 자고 있는 뉴호라이즌호는 생명체이고 9년간 잠을 자다가 자신이 탐사하러 가는 행성이 이미 행성이 아니라는 걸 알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또 뉴호라이즌이 명왕성을 탐사하다가 명왕성이 알고보니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졌다나 어마어마한 가치의 물질이 있다고 하면 명왕성이 다시 태양계의 막내로 낄수 있을까요?
2008.03.19 15:43:50
공전구역에서의 지배적인 역할이라 하면 천체의 인력이 타 천체에 영향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새로 정의된 '행성'들은 각각 서로의 공전궤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것을 토대로 케플러의 법칙이 발견되었지요.
물론 해왕성의 궤도도 이론상(=케플러의 법칙)으로는 해왕성 바깥 천체에서 영향을 받아야 합니다. 그러한 이론을 기반으로 탐색을 통해 발견된 행성(이었던것)이 명왕성이지요. 그러나 명왕성은 케플러의 법칙에 어느정도는 들어맞지만, 해왕성 궤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력이 없고 궤도 또한 해왕성 안쪽으로 들어오는 등 공전궤도상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해왔습니다.
다만 제 생각은 천문학계가 '로망'을 모른다는 생각입니다.-_-; 새로 정의되기 이전까지 행성의 정의는 "태양을 도는 천체 중 명왕성보다 큰 천체"였던가.. 했을겁니다. 전 이쪽 정의가 더 맘에 드는데, 문제는 카이퍼 벨트에서 명왕성보다도 큰 녀석이 관측되어서 말이죠.
물론 해왕성의 궤도도 이론상(=케플러의 법칙)으로는 해왕성 바깥 천체에서 영향을 받아야 합니다. 그러한 이론을 기반으로 탐색을 통해 발견된 행성(이었던것)이 명왕성이지요. 그러나 명왕성은 케플러의 법칙에 어느정도는 들어맞지만, 해왕성 궤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력이 없고 궤도 또한 해왕성 안쪽으로 들어오는 등 공전궤도상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해왔습니다.
다만 제 생각은 천문학계가 '로망'을 모른다는 생각입니다.-_-; 새로 정의되기 이전까지 행성의 정의는 "태양을 도는 천체 중 명왕성보다 큰 천체"였던가.. 했을겁니다. 전 이쪽 정의가 더 맘에 드는데, 문제는 카이퍼 벨트에서 명왕성보다도 큰 녀석이 관측되어서 말이죠.
태양을 공전하고, 충분히 크고, 공전구역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할 것. 이게 새로 정한 행성의 정의였는데 이걸 만족 못해서 퇴출되었습니다.
뭘 만족 못하는 지는 잘 모르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