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드 맥스> 시리즈는 인류의 대중문화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핵전쟁 이후의 디스토피아를 다룬 텍스트 가운데 <매드 맥스>의 영향권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것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요는 스타일이다.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조지 밀러는 <매드 맥스>를 통해 완벽하게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해냈다. (물론 그조차도 돈 존스의 <소년과 개>로부터 엄청난 영향을 받았다. 이를 테면, 제록스와 스티븐 잡스의 관계랄까.) 조지 밀러가 시도한 것은 서부극의 무대를 핵전쟁 이후의 사막화된 지구로 바꾸어 피 한 바가지를 쏟아부는 것뿐이었으나, 그가 성취한 것은 그보다 훨씬 놀랍고 뿌리 깊은 것이었다. 그리고 이 스타일은 당대의 수많은 창작가들에게 도무지 베끼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충동을 이끌어냈다. <매드 맥스>가 없었다면, 맥스 로카탄스키가 없었다면, 우리는 <북두의 권>의 켄시로도, <폴아웃>도, <보더 랜드>도, <더 로드>도, 하다못해 <워터 월드>마저 만날 수 없었을 것이다.



위 평론은 잡지 <씨네 21>에서 발췌했습니다. 허지웅 평론가의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비평입니다. 전반적으로 동의할만한 글이지만, 몇 가지 바로잡아야 할 부분이 보이죠. 우선 '핵전쟁 디스토피아 가운데 <매드 맥스>의 영향권에서 자유로운 텍스트가 없다'는 문장입니다. 아마 저 평론가는 조지 밀러의 영화가 핵전쟁 창작물의 큰 형님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나 봅니다. 그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모든 종말 작품이 전부 저 시리즈의 영향을 받은 건 아니죠. 암울한 근미래를 가정한 1편은 제외하고, 본격적으로 황무지 아포칼립스를 보여준 건 2편입니다. 그런데 2편의 개봉연도는 1981년 12월입니다. 사실상 1982년에 개봉한 셈이죠. 문제는 그 이전에도 핵전쟁을 소재로 삼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소설이 숱하게 나왔다는 겁니다. 핵탄두 개발은 전대미문의 사건이었고, 그래서 수많은 작가들이 이걸 소재로 삼았습니다. 이 분야의 진짜 원조로 대접하는 스티븐 베네의 <바빌론 물가에서>는 심지어 2차 대전 이전인 1938년에 나왔죠.


평론에서 언급한 <소년과 개>만 해도 그렇습니다. 저 평론가는 돈 존스 영화를 거론했는데, 사실 영화 이전에 벌써 할란 엘리슨이 1969년에 소설을 출판했죠. 영화 평론가니까 원작 소설을 놔두고 영화 이야기만 꺼내는 거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더 로드>가 <매드 맥스>의 후예인지 어떤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코맥 매카시가 저 영화를 봤는지, 얼만큼 영향을 받았는지 알 수 없어요. 게다가 소설이 영화의 후계자라는 표현은 너무 지나쳤습니다. 기실 <매드 맥스>가 없었더라도 <더 로드>는 얼마든지 나왔을 겁니다. 왜냐하면 멸망한 세상에서 생존자가 방황하는 이야기는 벌써 메리 셀리가 <최후의 인간>에서 써먹었으니까요. 비록 이 작품은 핵전쟁이 아니라 질병 아포칼립스지만, 인류 멸망과 소수 생존자와 기나긴 여정을 그렸다는 점에서 모든 아포칼립스 작품의 대선배입니다. 그리고 메리 셀리가 이 작품을 쓴 이후로 비슷한 책은 수도 없이 쏟아졌습니다. 그러니 코맥 매카시가 조지 밀러의 영향권에 있다는 말은 잘못 짚은 셈입니다.


사실 핵전쟁과 폭주족 같은 소재도 로저 젤라즈니가 <지옥의 질주>에서 먼저 사용했지만, 그 점은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사막화 아포칼립스도 제임스 발라드가 <불타버린 세계>에서 묘사했지만, 그것도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어차피 소설과 영화는 방법론이 다르니까요. 아울러 저 평론에서는 아포칼립스라는 말도 사용하지 않고, 디스토피아라고 불렀네요. 문명 붕괴는 아포칼립스에 가까운데 말입니다. 물론 <매드 맥스>가 수많은 대중 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건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 영화가 핵전쟁 아포칼립스의 원조는 아니며, 이것과 전혀 관계 없는 작품들도 수두룩합니다. 이전에도 그랬고, 이후에도 그렇습니다.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좋아하는 독자 중에도 <매드 맥스>에 시큰둥한 사람이 많을 겁니다. 허지웅 평론가가 실수한 이유는 우리나라가 그만큼 SF 소설에 무관심하기 때문인 듯합니다. 종말을 주제로 여러 장편 소설과 단편집까지 나왔는데, 그걸 안 봤다는 뜻이니까요. <씨네 21>에 기고할 정도의 평론가가 저렇게 책을 안 읽었다는 사실이 좀 아쉽습니다. 설마 책을 읽고서 저런 평론을 썼다면 그것도 문제고요.


※ 저 평론에서는 케빈 코스트너도 <매드 맥스>의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저는 코스트너가 <매드 맥스>와 상관없이 황량한 세계 자체에 관심이 많다고 봅니다. <워터 월드>에서 그렇게 욕을 먹었는데, 그 다음에 <포스트맨>을 또 만들었으니까요. 그리고 <포스트맨>은 데이빗 브린이 <매드 맥스> 이전에 일찌감치 쓴 소설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