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전에 떠오른 생각을 급히 적습니다.

  밥을 짓다가 갑작스럽게 남군(南郡)을 떠올렸습니다. 삼국지연의에서 강릉이 있는 군으로 나오옵니다. 아시는 분은 다 아시지만요. 그러면서, 강릉이 초(楚)의 도읍이었던 역사를 떠올립니다. 진(秦)이 초를 치면서 적국의 수도인 영(郢)까지 점령하면서 그 자리에 남군을 설치한 상황까지 되돌아봅니다. 이렇게 쓰니 한 무제 유철이 지배하던 시설에 위만조선을 멸망하고 나서 왕검성이 있던 지방에 낙랑군을 설치한 일까지 머리 속에 살아납니다. 조선에 있었던 사례를 쓰라리게 느끼지만요.


  글을 쓰는 도중에 떠오른 사감을 적으면서 남군이 어느 시기에 설치되었는지를 생각했습니다. 급하니까 위키백과에 검색했습니다.  남군(중국) 항목을 살피니 소양왕 29년, 서력으로는 '기원전 278년'으로 나옵니다. 초한대전이 기원전 206년에 일어났다고 치면, 대략 70여년 차이가 있습니다. 진이 영도를 점령해 초의 도읍이 있던 땅에 남군을 설치한 시기와 초한대전이 시작했던 시기. 이 두 시기의 차이요.



 제목에 나타난 대로 <초한대전이 있었던 시기에서 남군에 살았던 이들이 어느 나라를 조국으로 삼았을까>하는 생각을 적습니다. 70여년. 길다면 긴 세월이 흘렸으니 남군으로 바꾼 영도 땅에 살았던 이에게 조국이 바뀔 가능성이 있겠다고 여럼풋하게 짐작하지만요. 거기에 고향으로 두더라도 계층에 따른 차이가 있겠다는 점도 생각이 미칩니다. 학문과 무술을 연마하다가 유력 세력에 몸담은 선비나  농민으로 지내다가 병사로 징집된 사람에게는 조국이 어떤 의미일까. 이런 식으로요.


  서툴게 적습니다. 그러나 여러 사람과 흥미롭게 얘기할 소재로 판단하니 잊기 전에 급히 적습니다. 이런 얘기가 역사 얘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지금도 앞으로도 이런 상황에 처할 사람이 계속 있겠다고 여기면서요.

profile

  <오. 우리가 여기서 어떠한 고통을 겪고 있는지 아는 그대여, 그대의 기도 속에서 우리를 잊지 마오.>

  - 출처 : 듄 우리말 번역본(출판사 : 황금가지) 제 1권 17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