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 과학 포럼
SF 속의 상상 과학과 그 실현 가능성, 그리고 과학 이야기.
SF 작품의 가능성은 어떻게 펼쳐질 수 있을까요? 그리고 어떤 상상의 이야기가 가능할까요?
SF에 대한 가벼운 흥미거리에서부터 새로운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에 이르기까지...
여기는 과학 소식이나 정보를 소개하고, SF 속의 아이디어나 이론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상상의 꿈을 키워나가는 곳입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나 덧글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SF 작품의 가능성은 어떻게 펼쳐질 수 있을까요? 그리고 어떤 상상의 이야기가 가능할까요?
SF에 대한 가벼운 흥미거리에서부터 새로운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에 이르기까지...
여기는 과학 소식이나 정보를 소개하고, SF 속의 아이디어나 이론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상상의 꿈을 키워나가는 곳입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나 덧글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글 수 8,078
한글 자막이 안 나올 경우 CC 버튼을 클릭한 다음 한글 자막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2014.07.24 09:51:39
알고리듬은 나름대로 정의해서 짜내기 마련입니다.
* 대학/기업의 기숙사에서 같이 방을 쓸 파트너를 찾아내는 알고리듬
* 연인을 매핑하여 소개팅을 주선하는 알고리듬
* 차량에 짐을 실을 때 같이 실을 짐을 정리하는 알고리듬
서로 다른 목적으로 만든 것이지만,
해를 찾아내는 방식은 그리 다르지 않아요.
사람들의 나이/흡연여부/취미 등을 사전 조사하고,
서로 충돌을 일으키는 부분은 배타적으로 되도록 피하도록 우선순위를 후순위로 소팅하고,
서로 호감을 갖거나 함께 하도록 하는 게 바람직한 부분은 우선순위 위로 가도록 소팅하도록 정의해서...
이러한 제약들을 수리모형으로 담아 해를 찾는 과정을 Step으로 정의한 후 프로그램 랭귀지로 구현하면 됩니다.
백 사람이 나름대로 생각해서 만들면 백 개의 서로 다른 알고리듬이 나올 수 있습니다.
즉, 정답이라는 것은 없는 것이죠.
논리적으로 이치에 맞게 구현하고, 필요한 결과를 빨리 얻어내면 그게 좋은 알고리듬이거든요.
재밌네요.
그런데 좀 이해가 안 가는 것이, 두 사람의 선호도를 곱한 후 문항 수의 제곱근으로 나눈다고 했는데, 문항이 2개면 문제 없이 기하 평균이 나오지만 문항이 많아질수록 숫자가 줄어들게 되지 않나요? 예를 들어 문항 수가 10개면 10제곱근을 구하게 되는데, 이러면 아무래도 숫자가 기하평균보다 줄어들 수 밖에 없을 것 같은데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