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F / 과학 포럼
SF 속의 상상 과학과 그 실현 가능성, 그리고 과학 이야기.
SF 작품의 가능성은 어떻게 펼쳐질 수 있을까요? 그리고 어떤 상상의 이야기가 가능할까요?
SF에 대한 가벼운 흥미거리에서부터 새로운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에 이르기까지...
여기는 과학 소식이나 정보를 소개하고, SF 속의 아이디어나 이론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상상의 꿈을 키워나가는 곳입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나 덧글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SF 작품의 가능성은 어떻게 펼쳐질 수 있을까요? 그리고 어떤 상상의 이야기가 가능할까요?
SF에 대한 가벼운 흥미거리에서부터 새로운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에 이르기까지...
여기는 과학 소식이나 정보를 소개하고, SF 속의 아이디어나 이론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상상의 꿈을 키워나가는 곳입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나 덧글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글 수 8,080
One of two electromagnetic railgun prototypes on display aboard
joint
high speed vessel USS Millinocket (JHSV 3) in port at Naval Base San
Diego.
샌디에고해군기지에 정박한 USS Millinocket 갑판에 설치된 전자기 레일건 프로토타입 사진
2017.08.02 18:29:09

올해 초에 수동장전으로 단발 사격하는 영상이 공개된 만큼 예정된 수순이었지만 직접보니 놀랍네요.
특히 급탄장치가 동급의 재래식 포에서는 상상할 수 없을정도로 빈약(?)해 보이는 점이 보이네요. 장약을 장전할 필요가 없는 레일건의 장점이 이런 부분에서도 유용하군요^^
다만 레일건 주변에 배치된 컨테이너들(아마 전력 공급을 위한) 까지 고려하면 전체 부피는 재래식의 그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캐퍼시터는 탄을 맞아도 유폭이 안되는게 다르지만요.
2017.08.03 18:31:02
레일건이 실용화된다면 거함거포주의도 부활할것 같지만 고정식 해안포도 부활할것 같은데요. 물론 구시대의 해안포처럼 해변근처에 있지 않고 내륙깊숙히 아군의 방공방이 두꺼운 곳에서 다가오는 적함대에서 펑펑펑.
2021.01.21 13:08:20
레일건의 문제점이 엄청난 전력과 포신의 수명이 매우 짧다고 하더군요. 포신은 몇십발만 쏘면 포신을 교체해야 할 정도이고, 필요전력은 원자력 발전으로 전력 동원해야 할 정도니..
이제 데바스테이터만 나오면 되는건가요 ㅎㄷㄷ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