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리터리/역사 포럼
밀리터리, 군사 과학, 그리고 역사와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좋아하는 분들을 위한 게시판.
역사 속의, 또는 현대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들과 관련한 뉴스 이외에 국내 정치 논쟁에 대한 이야기는 삼가해 주십시오.
역사 속의, 또는 현대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들과 관련한 뉴스 이외에 국내 정치 논쟁에 대한 이야기는 삼가해 주십시오.
글 수 3,531
마하3 이상의 속도를 넘어가면 '열벽' 이라는 현상이 생긴다고 하더군요.
sr-71의 경우 조종실족에서만 300도씨가 가까이 올라간다는데 아무리
열을 많이 낮추는 검은색 도료를 떡으로 x바른다 해도
그게 견뎌낼 수 있는겁니까?
특히 조종사 말이예요.
도대체 어떻게 만든건지;
sr-71의 경우 조종실족에서만 300도씨가 가까이 올라간다는데 아무리
열을 많이 낮추는 검은색 도료를 떡으로 x바른다 해도
그게 견뎌낼 수 있는겁니까?
특히 조종사 말이예요.
도대체 어떻게 만든건지;
기체 표면은 300~500도까지 올라가지만, 내부 온도는 5~10도입니다.
내열처리를 하지 않을 리 없죠, 어차피 외판-내부 프레임-콕핏 까지 다단계에 걸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열 전도가 거의 불가능하기도 합니다만. 되려 SR-71의 파일럿에게 위험한 것은 기압차입니다. 그래서 우주복에 가까운 슈츠를 입죠.
내열처리를 하지 않을 리 없죠, 어차피 외판-내부 프레임-콕핏 까지 다단계에 걸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열 전도가 거의 불가능하기도 합니다만. 되려 SR-71의 파일럿에게 위험한 것은 기압차입니다. 그래서 우주복에 가까운 슈츠를 입죠.
이때문에 블랙버드는 연료와 윤활유를 특별한 것으로 씁니다.
상온에서 연료는 벽돌형태이고 윤활유는 분말형태이기 때문에
출격 24시간전부터 이것들을 예열시켜 주입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열에 관해서인데...백금을 어디다가 썼다고 합니다만,
백금은 오히려 열전도율이 좋은 것 아닙니까?
상온에서 연료는 벽돌형태이고 윤활유는 분말형태이기 때문에
출격 24시간전부터 이것들을 예열시켜 주입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열에 관해서인데...백금을 어디다가 썼다고 합니다만,
백금은 오히려 열전도율이 좋은 것 아닙니까?
보온병 생각하세요. 쫌 큰 보온병!
책(스컹크웍스)에서 봤는데, 총알보다 빠르게 날기때문에 조종하다가 한눈 팔면 미국에서 멕시코로 넘어 간답니다. 즉 그 속도에서는 회전반경이 무지 넓다는 겁니다.
그리고 날다보면 고열로 인해서 동체길이가 몇센티 늘어난다고도 합니다.
책(스컹크웍스)에서 봤는데, 총알보다 빠르게 날기때문에 조종하다가 한눈 팔면 미국에서 멕시코로 넘어 간답니다. 즉 그 속도에서는 회전반경이 무지 넓다는 겁니다.
그리고 날다보면 고열로 인해서 동체길이가 몇센티 늘어난다고도 합니다.
블랙버드가 고열에서도 견디는 이유는 바로 티타늄과 검은색 페인트 때문입니다.
검은색 페인트는 열을 잘 흡수하지만 방출도 잘합니다. 그래서 난방할때는 검은색으로 색칠하지
않지요.
티타늄의 녹는점이 꽤 높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강도도 알루미늄보다는 세기 때문에 사용하지요.
하지만 마찰력이 증가하면 표면온도도 증가하여 결국은 1000도 이상이면 기체가 물렁물렁해
진다는군요.
스컹크 워크스라는 책을 보시면 어떻게 만들었는가 나왔습니다. 이 스컹크 웍스는 바로 세계 최고의 비행기들을 제작한 팀이지요. (소속 회사는 록히드 마틴)
아마 대기의 공기를 빨아들여서 그것을 조종석 주위로 순환시키면 마찰열과 부딪히면서(?)
열을 낮추는 원리인것 같습니다. (나중에 그책 다시 보고 쓰지요...) 그러면 안의 온도는 쾌적하게
변한다는군요
검은색 페인트는 열을 잘 흡수하지만 방출도 잘합니다. 그래서 난방할때는 검은색으로 색칠하지
않지요.
티타늄의 녹는점이 꽤 높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강도도 알루미늄보다는 세기 때문에 사용하지요.
하지만 마찰력이 증가하면 표면온도도 증가하여 결국은 1000도 이상이면 기체가 물렁물렁해
진다는군요.
스컹크 워크스라는 책을 보시면 어떻게 만들었는가 나왔습니다. 이 스컹크 웍스는 바로 세계 최고의 비행기들을 제작한 팀이지요. (소속 회사는 록히드 마틴)
아마 대기의 공기를 빨아들여서 그것을 조종석 주위로 순환시키면 마찰열과 부딪히면서(?)
열을 낮추는 원리인것 같습니다. (나중에 그책 다시 보고 쓰지요...) 그러면 안의 온도는 쾌적하게
변한다는군요
하지만 그래도 안에 타고있는 사람들은 모두 안전합니다.
다 뭔가를 우주왕복선 외부에 설치해 놔서 그렇다고 하죠
(뭔지는 잘 모릅니다)
(에바에서도 나오죠, 라미엘의 광자포 막는 방패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