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마인드님의 글을 보고 글을 하나 써봅니다. 해당 글은 대의를 위한 소수의 희생 - 국가우선 - 을 당연시 여기는 분들을

비판하는 내용이였죠. 대의를 위해서 누군가 희생해야 된다고 말한다면 굉장한 거부감이 드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말을 "소수가 희생하지 않고서 다수의 이익이 증가할 수 있는가?"라고 바꿔놓고 생각해보면

그렇다 라고 자신있게 대답하진 못하겠더군요. (대의=다수의 이익이라고 설정했으니 출발부터 공리주의 관점이군요.)

우리동네에 들어서는 혐오시설은 어딘가에는 지어져야 하지만, 그 지역주민들의 희생을 요구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 소수의 희생없이 국가의 이익은 증가할 수가 없게 되어버리죠.


여기서 떠오른 것이.....

경제학에서 거론하는 자원최적분배에 대한 이론으로 파레토최적과 칼도어힉스의 최적입니다.

 (.... 경제학 조금만 건드려보셨으면 충분히 아실 내용인데 왠지 잘난척하는 느낌이네요......)


파레토최적은 파이가 단 한조각도 남김없이 분배된 상태를 최고의 효율을 낸 상태로 보는 이론입니다.

누구에게 얼마나 가는지는 관심이 없어요. 남김없이 배분되면 그만이죠. 또한 기존 배분상태에서 전체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누군가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면 파레토 최적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기존에 파이가 A에게 5조각 B에게 5조각 나눠져 있는 상태고 남은 파이가 1조각 있다면 파레토 최적이 아닙니다.

이걸 A또는 B에게 나눠주면 파레토 최적이 되지요. 이때 B가 부양가족이 많다는 이유로 A것을 뺏어서 B에게

나눠주면 파레토최적에 어긋납니다.


이 이론은 파이가 기존에 (A4, B20)로 분배되어 있는 상태가 있으면 (10,15)이나 (3,30)인 상태는 전체량이 더 크든 작든,

분배가 공정하든 아니든 더 좋은 상태라고 보지 않습니다. 오로지 기존 분배상태에 비해서 A와 B 둘다 모두 더 많은 재화를

가지는 상태 즉(4,28)라든지 (14,20) 혹은 (25,25) 같은 상태만을 더 효율적인 상태라고 간주합니다.

그러다보니 그 누구도 현상태보다는 손해를 감수하지는 않지만 상대적박탈감이라던지, 정당한 노동의 대가같은 개념은 완전히

무시되어버리죠.


칼도어힉스는 이와는 달리 A의 파이를 뺏어서 B에게 주더라해도 B가 파이를 가져서 얻는 효용이 A가 파이를 가져서 얻는

효용보다 크다면 더 효율적인 상태라고 생각하는 이론입니다. 즉 자원 배분의 형평성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요.

형평성 측면에서 손을 들어주고 싶겠지만, 자칫 공리주의라는 비판을 받을수도 있는 이론입니다.


기초적인 경제학 내용을 운운하며 뻘짓했는데.....

두 이론은 모두 장단점이 있습니다만, 제가 거론한 이유는 꼭 경제학이 아니라 하더라도 시사하는 점이 있기 때문이죠.



아직 사회에 남아 있는 파이가 있다던가, 파이를 더 크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파레토최적을 만족하면서 사회효용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없습니다. 즉, 누군가는 지금 현재 그 사람이 누리고 있는 부분을

일정량 희생해야만 사회전체 이득이 증가하는 칼도어힉스최적의 상태를 고려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죠.

그리고 그게 사실은 현실적이라는 거에요. 어떤 상황에서든 소수가 전혀 희생하지 않고 다수의 이득을 늘리는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에는 없을 겁니다.



저는 소수의 희생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또한 존재할 수 밖에 없다고 봐요. 다만 어떤 상황에서 누가 희생을 하고 양보를 하는지

시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룰이 필요한거죠. 예를들어서 지역개발이라는 미명하에 삶의 터전을 빼앗아버리는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너무나 부당한 일이지만, 전체 시민의 건강을 위해서 흡연권을 제한하거나 소득분배의 형평성을

위해 누진세를 적용하는 것은 힉스이론을 적용해도 무리가 없겠죠.



그런 룰이 제대로 서있지 않거나 시민들이 거기에 공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만이 터져 나오는 거겠지요. 그런 점에서 많은

시민들이 국회를 비난하기도 합니다만, 국민들 사이에서도 이견이 참 많다는 것을 많이 느끼곤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