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 처음 이 글을 썼다가 "SF와 과학 이야기"의 질문 란으로 옮겼습니다.


여러가지 타임 패러독스들 중에 "공짜 패러독스"라는 게 있습니다. 영화 "백 투더 퓨처"의 예시를 들자면, 과거로 간 마티는 파티에서 척 베리의 "Johnny B Goode"을 연주하고(척 베리가 이 곡을 쓰기 훨씬 전의 시기에), 그걸 척 베리의 사촌이 척 베리에게 들려주자 척 베리가 영감을 받아 결국 이 곡을 쓰게 됩니다. "터미네이터"에서도 미래에서 온 T-800의 잔해를 통해 사이버다인사가 스카이넷을 만듭니다. 이런 형태의 이야기(A라는 사람이 "가나다"라는 것을 발명함→ 미래에서 B가 타임머신을 타고 A가 "가나다"를 발명하기 전의 시기로 옴→결국 B를 통해 A는 "가나다"를 접하게 되고, 그 경험을 토대로 "가나다"를 만들게 된 것이었다.)는 시간 여행을 다룬 작품에서 흔하죠. 이 사례들이 패러독스인 것은 "그럼 애초에 원천 기술(백 투더 퓨처의 경우 "Johnny B Goode" 노래)는 누가 처음 만들었는 가"라는 문제가 제기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어렸을 적에 도라에몽 만화책에서 한 에피소드를 본 적이 있습니다. 노진구는 한달치 용돈을 부모님께 받고 좋아라 하는 데, 갑자기 그 용돈이 담긴 봉투가 눈 깜짝할 사이에 사라지게 됩니다. 노진구에게 이 경험은 뼈저리게 아픈 기억으로 남고, 그 후 도라에몽에게서 특정 과거 시점에 말 그대로 "손을 뻗어서" 영향을 줄 수 있는 기계를 받게 됩니다(모니터처럼 생겼는 데, 모니터에 비춰지는 건 화면이 아닌, "과거". 일종의 타임 포탈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사라진 용돈 봉투를 기억한 노진구는 그 기계를 만져 자신이 용돈 봉투를 잃어버린 시기로 돌아가고, 모니터 속에서 용돈 봉투를 손에 쥔 채 좋아라 하는 자기 자신을 봅니다. 노진구는 그 광경을 보자마자 손으로 과거의 자신으로부터 용돈 봉투를 낚아채옵니다. 눈 깜짝할 사이에 용돈 봉투가 사라져 어리둥절해하는 과거의 자신을 보고 노진구는 그제서야 자신이 용돈 봉투를 잃어버렸던 게 미래의 자신 때문이라는 걸 깨닫게 됩니다.


이 노진구의 사례 역시 타임 패러독스라고 볼 수 있나요? 만약 타임 패러독스라면 어떤 점에서 모순이 발생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