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흐르는 카페
이곳은 무엇이든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자유 게시판입니다. (댓글 기능을 다시 활성화시켰습니다.)
흔히 SF에 대해 이야기하다보면, "SF는 과학적인 비판을 감수해야 하며 그래서 쓰기 어렵다."라는 이야기를 듣곤 합니다.
이를테면 "과학적 원리로서 말이 안 된다."라는 얘기가 나온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한가지 궁금한 점은 왜 SF에만 비판이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인지입니다.
물론, 네이버 지식인 광고에서 "스타워즈 레이저검의 원리" 같은게 나오긴 했습니다. 하지만 이건 비판이 아니라 단지 궁금할 뿐이지요.
어차피 대다수 사람들은 SF건 판타지건 별로 다르게 보지 않습니다.
스타워즈에서 칼 들고 싸운다고 해서 판타지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냥 우주가 나오고 우주선이 나오고 로봇이 나오고 하니 'SF 겠구나...'라고 생각하죠.
아바타에서 행성 전체의 의식이 하나로 연결된 설정이 등장합니다. 이게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해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그냥 대다수 사람들은 그러려니...하고 보죠.
[ 한때 유행했던 공상과학대전. 고지라니 뭐니 하는 작품을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말이 안돼'를 이용해서 이야기를 만든 재미있는 작품이다. ]
물론 과학적인 고찰이니 뭐니 하는 사람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공상비과학대전"이나 "스타트렉의 물리학" 같은게 있군요.
하지만 이는 비판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여흥이었습니다.
"방사능으로 고지라가 되는건 말도 안돼."라고 말한다고 해서 "고지라가 재미없어."라는 말은 아닙니다.
단지 그 내용으로 '놀이'를 하고 싶을 뿐이지요.
[ 감마선에 의해 괴물로 변신한 헐크. 사실 감마선으로 이렇게 변신하는 건 과학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근데 누가 신경쓴다고? ]
고지라가 재미있고, 이야기가 그럴 듯 하다면 고지라가 방사능에 의해서 그렇게 되건, 우주 괴수라서 그렇게 되건, 아니면 세균 병기로 그렇게 되건 별 상관 없습니다. (물론 이야기 구조는 많이 달라질 수 있겠지만)
하지만 SF.... '과학 소설'이라고 부르는 분들이 글을 쓸 때 이런 걸 신경쓰기도 한다는 점입니다. 아니, 판타지나 무협, 추리라고 해도 별 차이는 없을 겁니다. 뭔가 설정이 100% 완벽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과학적으로 말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중요한 건 이야기가 얼마나 재미있는가 아닌가의 문제이지, 그 우주선이 하이퍼 스페이스를 통과하건, 알큐비에르 엔진으로 날아가건 하는게 아닙니다.
이야기가 재미없고 말이 안 되면 여러가지 비판이 따르게 마련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과학적으로 말이 되건 안 되건 상관없습니다.
어차피 SF의 과학은 진짜 과학이 아니라 상상 과학이니까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어떤게 아니니까요.
19세기에 쓰여진 쥘 베른의 "지구에서 달까지"는 사실 과학적으로 말도 안 됩니다. 하지만 글을 읽다보면 왠지 그럴 듯 해 보이고 정말로 가능하게 느껴집니다. 100년이 지난 지금도 말이죠.
"그냥 그럴 듯해 보인다."
이게 SF에서 말하는 과학적 상상력이고 가능성입니다.
때로는 '공상비과학대전'처럼 "과학적으로 말이 안돼."라는 사람이 나올지도 모릅니다. 설정에 오류가 있다고 열변을 토하는 분들이 계실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건 굳이 SF라서 나오는 말이 아니라, 단지 그런 딴죽을 걸고 싶은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럴 때 어떻게 할까?
여기 한 사례가 있습니다.
어느날, 미국의 유명한 SF 드라마, "스타트렉"과 관련하여 한 사람이 제작진에게 스타트렉의 워프 엔진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물었습니다.
그는 씩 웃으면서 이렇게 대답했다고 하죠.
"아주 잘 작동합니다. 감사합니다."
SF 속에서의 과학은 사실 그런 겁니다. 이야기의 진행에 충분할 만큼 잘 작동하기만 하면 문제는 없는 거죠. 이야기가 잘 진행된다면 그 속의 과학이 정확하건 아니건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반면 이야기가 엉성하다면 설사 과학적인 설정이 아무리 정확해도 재미없는 건 재미없는 겁니다.
그리고 SF의 재미는 과학에서 나오는게 아니라 '과학적 상상'으로 펼쳐낸 이야기에서 나오는거죠.
과거를 아는 이는 현재를 이끌어가고 미래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역사와 SF... 어딘지 어울리지 않을 듯 하지만, 그럼 점에서 둘은 관련된게 아닐까요?
SF&판타지 도서관 : http://www.sflib.com/
블로그 : http://spacelib.tistory.com
트위터 : http://www.twitter.com/pyodogi (한글) http://www.twitter.com/pyodogi_jp (일본어)
사실 저는 사람들이 SF를 진지한 것으로 받아들인다기보다는 일부 SF 팬들이 그런 상황을 조장하는게 아닌가도 생각합니다. 아니면 작가들 자신이 그렇게 하는지도 모르겠지요.
저는 극단적으로는 '공상과학'이라고 불러도 안 될 건 없다고 보고 있거든요. '공상'이라는 말이 부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하지만, 그 차이를 대중이 느끼기는 어렵죠. 공상과학이라고 부르건 과학소설이라고 부르건 SF의 본질은 달라지지 않고, 중요한 건 재미있으면 된다는 것인데...
그런 점에서 우리 스스로가 편하게 SF를 받아들이고 생각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만 다른 사람들도 SF를 편하고 재미있게 받아들이지 않을까요.
디시인사이드에서 "웃음대법관"이란게 있었죠. (엄격,진지)의 정신으로 개그물을 검열하면서 "노잼" 이러거나, 재밌으면 "인정한다." 이렇게 말하는것... 사람들이야 "대법관님 등판 ㅋㅋㅋㅋㅋ" 이러면서 개그로 하지만, SF를 읽고 있는 (일부) 한국 독자, 작가들의 머릿속에는 진짜로 (엄격,진지)한 과학대법관이 들어있을지도 모를 노릇이죠.
딱딱한 SF든 부드러운 SF든 취향이죠. 문젠 특정 취향을 진리로 받들어 모시는거 같습니다.
사실 이런건 SF든 애니메이션이든 다른 소설 장르든 다 적용되는 문제 같은데요.
나이트런도 SF고, 아이언맨도 SF죠. 사람들은 SF를 너무 진지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