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복제가 자신들을 가난하게 만드는 주범이 아니라 불법복제가 자신들을 오히려

 

부자로 만들수 있는 기회라고 사고방식을 전환할 필요가 있습니다.

 

불법복제는 아니지만 불법복제와 비슷한 효과를 일으키는 만화대여점 사태 때

 

많은 만화가들은 대여점이 만화가들의 밥그릇만 뺏는다고 생각하고 어떻게든 대여점을

 

없애거나 대여점을 적대시하며 대여점 반대운동을 벌어기까지 했죠.

 

그 와중에 김성모만은 만화가들의 밥그릇을 뺏는다는 대여점을 오히려 이용하여

 

럭키짱 100권의 신화를 창조하며 한국에서 유일하게 만화로 빌딩건물을 통채로

 

사고 뎃생맨들에게 외제차까지 사주는 만화계의 거부가 되었습니다.

 

당시 동료 만화가들과 만화 매니아들로부터 공장장이니 한국 만화계를 망치는 주범이라는

 

온갖 비난과 욕은 다 들어먹었지만 시대가 지난 후에는 결국 그가 현명했다는 걸로 판가름났죠.

 

불법복제가 저작권자들의 밥그릇을 빼앗느냐 김성모처럼 노다지가 되느냐는 결국 이용하기 나름이라

 

생각됩니다.

 

시대에 잘 적응하는 사람은 김성모처럼 만화계의 거부가 될 것이고, 시대에 적응못하면 진짜로 밥그릇을

 

뺏는 블랙홀이 되겠죠.

 

어디 게시판에선가 본 기억이 있는데, 스위스에서 불법다운로드를 합법화할 때 내린 판결문구가 인상 깊더군요.

 

'불법복제가 저작권자들의 밥그릇을 빼앗는다는 증거가 없다. 혹 있다 하더라도 그건 문명의 발전에 따른 어쩔수

 

없는 부작용이니 저작권자들은 이에 적응하라. 그게 싫으면 죽어라.'

 

뭐 너무 냉정한 판결문같지만 현실을 제대로 반영한 판결문이라 생각됩니다.

 

만화 대여점 때에도 대여점을 악이라고만 생각한 사람들은 만화를 그만두거나 아니면 한국을 버리고 일본으로 건너갈

 

때에 김성모만은 그 만화계의 흉년이라는 아이엠에프와 청보법 사태 때 오히려 대여점을 이용해서 거부가 되었죠.

 

불법복제는 절대악도 아니고 절대선도 아니며 현실 그 자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적응을 잘 하는 사람은 불법복제가 노다지가 될수도 있고 적응 못하는 사람은 불법복제가 진짜로 저작권자들의

 

밥그릇을 빼앗는 좀벌레가 될수도 있겠죠.

 

다 이용하기 나름입니다. 

 

거기다가 원래부터 저작권과 불법복제의 관계는 저작권의 개념이 처음 태동했던 17세기부터 많은 저작권자들로부터

 

밥그릇을 빼앗을지도 모르는 주범으로 간주되어서 실제로 지금은 너무나도 당연시되고 있는, 도서관에서 공짜로

 

책 빌리는 것도 처음 도서관 태동당시에는 지금의 불법복제처럼 저작권자들의 밥그릇을 빼앗는 좀벌레 취급당했죠.

 

심지어는 도서관이 대여점이나 피시방보다 더 많은 일본에서는 아직도 수많은 소설가들이 일본의 너무 많은 도서관이

 

소설가들의 밥그릇을 빼앗는다고 도서관을 줄이자라는 주장이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도서관 증설을 옹호하는 쪽에서는 도서관이 오히려 소설의 판매부수를 늘이고 있다라고 반박 응수하고 있구요

 

(참고로 우리나라는 웹하드 땜시 장르소설가들이 밥그릇이 준다고 난리지만 일본에서는 도서관 땜시 소설가들의 밥그릇이

 

준다고 난리입니다)

 

여담이지만 불법복제가 없었더라면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우리나라 최초로 빌보드에 오르는 일이 있을수 있었을까요?

 

강남스타일이 뜨게 된 계기는 최근까지도 불법복제고소로 시달리는 유튜브 덕분입니다.

 

불법복제를 진짜 에프엠대로 엄격하게 적용한다면 유튜브라는게 아예 존재하지도 못했죠.

 

또한 우리나라에 밀어닥친 미드 열풍도 미드 초창기 때 수많은 미드의 실시간 불법복제 덕분이라는 건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압니다.

 

미드 제작사들도 미드열풍이 처음 태동했을 때는 그토록 미드 신작의 불법복제가 만연해도 암묵적으로 지켜보고만 있었고

 

심지어는 우리나라 미드 불법복제 동호회에 지원까지 해줬다가 이제 빨대를 꽂을 때 되니까 최근에서야 본격적으로 신작

 

자막제작자들을 상대로 고소미 펼치는거 봐요.

 

윈도우가 이렇게 전 세계를 상대로 독점이 가능한 이유도 불법복제 덕분이라는 야그를 들은 적 있습니다.

 

잡스와 게이츠가 경쟁을 할 때 잡스는 불법복제가 원천불가능하거나 힘든 운영체제를 만들었지만 빌게이츠는

 

일부러 불법복제가 용이하도록 윈도우를 만들어났다더군요.

 

그래서 윈도우가 보다 더 대중적으로 되었고 결국에는 독점까지 가능하게 되었답니다.

 

지금도 윈도우는 개인사용자의 불법사용은 묵인하지만 기업체의 불법사용은 칼같이 단속한다더군요.

 

결론적으로 불법복제는 저작권자들이 이용하기 나름입니다.

 

김성모나 빌게이츠처럼 잘 이용하는 사람들은 불법복제를 통해 노다지를 캐는 것이고

 

이용못하는 사람은 진짜로 도둑질당하는거죠.

 

여담이지만 불법복제에 대해서 경직되게 생각하지 말아야 될 이유는 제가 본문글에서 강조한 것처럼

 

이용하기에 따라서 노다지가 될수 있니 아니니만 있는게 아닙니다.

 

저작권법은 저작물이라는 무형재산의 성질상 완벽하게 지키고 싶어도 지킬수가 없습니다.

 

만화 대여점 야그로 다시 돌아와서 당시 합법임에도 불구하고 대여점 이용도 저작권 침해라며

 

강경하게 주장하며 만화책도 전부 다 사고 어떻게든지 철저하게 저작권법을 지킨 만화가들

 

중에는 그 유명한 박무직씨도 있습니다.

 

만화나 영화 게임에서는 철저히 저작권을 엄격하게 지킨 박무직씨조차도 결국 자기 만화를

 

작업할때는 불법 복제 포토샵을 이용했다는군요.

 

이는 박무직씨가 특별히 위선자라서 그런게 아닙니다.

 

원래 저작권법과 저작물같은 무형재산의 성질이 이렇습니다.

 

박무직씨처럼 철저히 저작권법을 지키려고 하는 골수 정돌이조차도 위선자로 만들 정도로

 

저작권법과 저작물에는 함정이 많기 때문입니다.

 

이런말하면 복돌이들의 흔한 자기합리화스킬인 뭐 묻은개가 뭐 묻은 개 욕한다 피장파장스킬

 

쓴다 할지 모르시겠지만 피장파장 합리화스킬을 가능하게 만들고 골수 정돌이조차도 위선자로

 

만들어버리는 저작권과 무형재산의 함정을 인식할 필요는 분명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함정을 인식한다면 과연 불법복제를 무조건 악이라고만 단정하고 배척하는게 현명할까요,

 

아니면 김성모처럼 그걸 오히려 이용하여 노다지를 발견하는 게 현명할까요.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만화 대여점이 문제가 되었을 때 많은 만화인들과 만화가들은 대여점을

 

이용하여 떼돈 버는 김성모를 엄청 비난하고 대여점을 없애야 할 절대 악으로 치부했었지만

 

결국 시대가 지나서는 김성모야말로 현명하다는 재평가를 받았습니다.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이 있지만 굳이 어리석음의 역사까지 반복될 필요가 있을까요.

 

저는 작금의 불법복제담론이 10년전 만화계의 대여점 담론의 재판으로 보입니다.

 

대여점처럼 절대악으로만 보지말고 김성모처럼 노다지를 캘 수 있는 광맥으로 시점을 전환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여점은 절대악도 절대선도 아닌 현실 그 자체듯이

 

불법복제도 절대악도 절대선도 아닌 현실 그 자체니까요.

 

적응하라 그게 싫으면 차라리 죽어라라는 스위스의 불법다운로드 합법화 판결문은 이런 점에서

 

참 시사하는게 많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