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수요일에 있었던 번개 모임에서 오고간 얘기를 계속 기억하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이런 얘기를 옮깁니다. 블로그에 썼던 포스트를 첫 문단을 빼고 그대로 가져옵니다. 블로그에 비해 여러 좋은 얘기를 접할 수 있으니까요.




  제목에 나타난 장비는 각종 공성 무기를 가리킵니다. 투석기, 노포, 사다리 이외. 대포도 들어갈 것 같지만, 칭기즈칸 시기에는 이 무기가 제대로 써먹었는가를 확신할 수 없어 일단 뺍니다. 몽골군이 화약을 잘 써먹었다. 이 얘기를 확실하게 하고 다음 얘기로 넘어갑니다.
 
  공성 무기는 군대가 빨리 이동하는데 방해가 되겠습니다. 크고 무거운 장비를 이동하는 데 상당히 애먹으니까요. 행군하기 편하도록 공성 장비를 일단 해체시켜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텝니다. 통째로 옮기는 경우에 비해 행군 거리가 길고 덜 고달프지만, 해체하는 과정에 나타나는 시간도 무시할 수 없겠습니다. 이런 생각을 하니까 칭기즈칸의 몽골 제국은 군대를 빨리 움직이려 장비 대신 장인을 옮겼을 거다고 추측합니다. 본거지에서 공성 무기를 만들어 전장으로 보내는 대신 현장에서 재료를 조달해서 장인이 조립하는 전술입니다.
 

  재빠르게 행군하고 공격해서 상대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도록 한다. 몽골 제국군이 추구한 전략을 충실히 뒷받침하는 전술로 판단합니다. 장인을 몽골 전사처럼 말을 태우면서 가니 걸어가는 경우에 비해 빨리 행군할 수 있습니다. 말을 탈 수 없는 경우에는 수레에 타고 가겠지만요. 또한, 공성 무기를 현지 사정에 맞추어 제작할 수 있다는 추측을 합니다. 이렇게 하면 장비를 더욱 정밀하게 제작하니 공성전에 보탬이 되겠습니다. 작은 차이로 전투에서 승패가 갈리는 전사(戰史)가 계속 나타나니 아는 이상 무시할 수 없습니다. 장비 뿐만 아니라 장인의 능력도 향상되는 이점도 마찬가지입니다. 중원에서 끌려온 한인(漢人) 장인이 호라즘 침공에도 차출되면서 여러 경로를 통해 서역 지역에 쓰이는 공성 기술을 익힐 수 있으니까요. 이렇지 않더라도 계속 전장에 투입되어 장비를 만드니까 전에 비해 솜씨가 나아지는 것은 분명합니다. 제자를 두면서 말입니다. 이렇게 쓰니 몽골 제국은 병사 뿐만 아니라 장인을 효율 높게 쥐어짰습니다. 그 덕분에 당대나 후세나 금 복수전과 호라즘 원정 같은 경이로운 승전을 이뤘습니다. 다른 요인과 더불어서요.


  이렇게까지만 쓰고 끝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다른 면모를 보니까 여기에서 끝내지 않습니다. 몽골군에게 끌려가서 낯선 땅에서 계속 떠돌며 고생하는 장인이 겪을 애환. 여기에 살짝이나마 초첨을 맞춥니다. 앞문단에서 언급했던 한인 출신 장인이 호라즘 땅에서 겪었을 고난이 어떠했을까를 상상하면서 입니다. 몽골군이 중원에 쳐들어 오지 않았을 때에는 확실하게 다른 인생을 살았을 텝니다. 그러나 몽골군에게 끌려가면서 자신이 생각지도 못했던 낯선 땅에서 전전긍긍하는 삶을 겪었을 텝니다. 몽골비사, 원사, 라시드 앗 딘이 집필한 집사(集史)와 다르게 확실하게 기록된 자취를 접하지 못하니 상상만 할 뿐이지만요.

  오랑캐로 멸시했던 몽골족에게 받는 설움. 낯선 환경에서 입에 맞지 않는 음식을 먹어야 하는 처지. 언제든지 죽을 줄 모르는데 결코 끝이 보이지 않는 고난. 자신처럼 몽골군에게 끌러온 이들이 하나씩 하나씩 자신을 떠나면서 생기는 고독과 두려움 같은 흔들리는 마음. 이렇게 상상하니 '전쟁은 인간의 내면을 망가트린다'는 생각을 다시 합니다. 칭기즈칸이 이런 찬란한 성공에 눈길이 크게 가지만, 거대한 영웅의 그림자에 가려진 다른 이가 겪는 고난을 지나쳐서는 안된다는 생각을 함께합니다. 몽골 제국에 희생된 이들이 당한 고통과 애환. 지난 번에 있었던 번개 모임에 상세히 얘기하지 못한 일면을 늦게서야 털어놓습니다.



  다른 이야기) 금은 주르첸, 몽골 제국은 예케 몽골 울루스. 이렇게 쓰고 싶습니다. 번개 모임에서 거란을 키타이로 언급했듯이요. 그러나 주르첸, 키타이, 예케 몽골 울루스 같은 용어를 금방 알아차리지 못할 분들이 상당하니 흔히 쓰이는 표기에 따릅니다.

 

   추가 기술) 여기에서는 블로그에 쓰지 않은 부분을 적습니다. 통치자는 백성과 함께 해야 한다. 앞문단을 짙게 강조합니다. 이 관점에서는 칭기즈칸은 백성과 함께한 훌륭한 통치자입니다. 몽골 제국이 펼친 깃발 아래 모인 초원민의 욕구를 채우려고 온갖 고생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다른 나라를 침공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는 점을 아니까 여기에는 왜구나 개일본제국처럼 적개심이 들지 않습니다. 칭기즈칸에 놓인 처치였으면 누구라도 했을 테니까요.


  그렇지만, 초원민에게는 훌륭한 통치자이나 다른 민족에게는 가혹한 침략자다는 상반될 시간을 내비칩니다. 몽골인의 전력을 보존하려고 복속된 타민족을 희생시켰기 때문입니다. 선대의 복수. 이 명분으로 금을 침공하면서 얻는 재원을 활용해 호라즘을 침공했는데 이 과정에서 금이 차지한 북중원에 사는 인구 중 절반이 사라져 버립니다. 호라즘에서는 무르쉬드님이 얘기하셨던 아프가니스탄부터 떠올립니다. 몽골군이 쳐들어 온 뒤에는 생태계가 바꿨다는 내용을 섬뜩하게 되새기면서요. 전쟁에 지는 부담을 효과있게 피민족에게 떠넘겼다. 몽골인을 위해서. 마치 소를 온갖 방법으로 부린 뒤에 더 이상 쓸모없으니까 도축하는 소주인처럼 몽골 제국은 지독할 정도로 피지배민족에게는 가혹했던 일면을 놓치지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몽골 제국을 우리의 이상으로 여기는 점에는 아주 회의가 듭니다. 역사에 나왔던 다른 나라가 더욱 맞으리라. 이 생각을 내비칩니다. 몽골제국처럼 백성을 가혹하게 착취하지 않는 나라이기를 바라면서요.




profile

  <오. 우리가 여기서 어떠한 고통을 겪고 있는지 아는 그대여, 그대의 기도 속에서 우리를 잊지 마오.>

  - 출처 : 듄 우리말 번역본(출판사 : 황금가지) 제 1권 17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