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흐르는 카페
이곳은 무엇이든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자유 게시판입니다. (댓글 기능을 다시 활성화시켰습니다.)
항간에 상당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책이라고 합니다.
2006년에 처음 나왔을 때는 별 반향이 없었는데, 올해 재출간되고 더 화제가 되고 있더군요,
도대체 <우아하게 가난해 지는 법>이라는 게 무엇일까 궁금증이 들어서 책을 들어 살펴 보니...
인간적인 여유를 유지하면서도 부에 집착하지 않는 평범한 삶을 지혜롭게 잘 살아가려면,
결과적으로 "제대로 잘 절약하는 법"을 몸에 체득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자가용 차를 버리고도 충분히 다니고 싶은 대로 돌아다니며 살 수 있고,
운동이 필요하면 헬스장 대신 공원에서 충분히 즐겁게 운동할 수 있으며,
친구들과 식사를 하려면 비싼 레스토랑 대신 집으로 초대해서 즐겁게 식사할 수 있고,
좋은 책을 벗삼아 교양을 쌓고 주변 사람들과 충분한 교류가 가능하다는 이야기인데...
책에 쓰여진 내용과 제 자신의 삶을 매핑해 보니 좀 기가막혔습니다.
직장 생활 10 년 넘게 했지만 자가용 차를 끌고 다닌 적 없고(다만 제 이름으로 차를 사서 시골에 계신 아버지께 드렸죠),
운동이 필요하면 본래 예전부터 돈이 별로 없어서 헬스장 대신 시립 운동장에 나가서 러닝하고 운동하고 그러고 살았고,
친구들과는 애당초 비싼 외식같은 거 잘 하지도 않지만 친한 사람들을 서로 집으로 초대하고 초대받고 그렇게 지내고 있고,
본래 담배, 술 안하고 심지어 골프도 별로이고, 책이나 읽고 애들하고 놀고 그러고 살아야 그럭저럭 타산을 맞출 수 있으니...
- 결론은 우아하게 가난해지려고 애 쓴 적은 없지만, 애당초 이 책이 강조하는 "절약하는 가난한 삶"이 그냥 제 삶이더군요.
이게 좋은 것인지 아닌지... 조금 헷갈리더군요.
IMF 덕분에 땡전 한 푼 없이 맨 몸뚱이로 세상에 던져지면서 어떻게든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친 것인데,
저와 같은 IMF 체제에 적응한 사람들은 거의 다 비슷한 처지에 비슷한 삶을 살아가지 않을까 싶었거든요.
이러한 삶이 "우아하게 가난해 지는 법"이라는 책에 나오는 "절약의 비결"과 거의 싱크로율 90%에 달하다니....
그나마 전혀 달랐던 것은, 그 책에서는 일이 없어도 우아하게 여유를 즐기는 게 더 바람직하다는 것이었는데,
저와 비슷한 세대의 거의 모든 사람들은 일에 미친듯이 매달려야 아둥바둥하며 간신히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죠.
책 저자는 독일 사정에 비추어 우아하게 가난에 적응해 간 자신의 특별한 이야기를 썼지만,
한국 사회는 다늘 죽어라 아둥바둥 노력해야 그 책에서 묘사한 가난한 삶 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레벨의 절약 이야기라면 별로 특별하지도 않고, 우아할 것도 없으며, 여유만 없는 그런 상황이라는 것이죠.
쉽게 말해 한국은 책이 쓰여진 독일에 비해 훨씬 더 각박하고, 후진국이며, 국민 대다수가 가난하고 여유가 없다는 겁니다.
그러니... "우아한 가난"을 논하는 저자의 말빨이 그렇게 대단하게 느껴지거나 확 끌리지는 않더군요.
이제는 (파산한 유럽의 버팀목이라는) 독일도 가난한 삶을 생각하는구나 뭐 그 정도라고나 할까요.
독일에 사는 안빈낙도의 삶...을 누리려면
우리나라에선 일중독이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인가요.
뭔가 암울하군요.
인터넷에서 본 어떤 의사분이 우리나라에서 하루 사오십명 진찰하는 일이 너무 많아서 그만두고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죠.
그래서 하루에 스무명 정도의 환자를 보면서 여유로운 생활을 즐기고 있었는데 병원에서 하루 스무명이나 보다니
일중독인 것 같다며 상담을 권고했다는 이야기가 문득 생각나네요.
신문 서평에서 읽은 기억이 나네요.
저자가 귀족 출신인가 그렇고 부인도 어디 나라 왕위계승권도 있는 사람이던가 했던걸로 기억(이건 확실치는 않네요)...
정리해고 되어 상실감이 크시긴 하겠지만
이미 가진 것이 많고 잃어도 잃어버리지 않을 무형자산이 많은 분이라는 생각만 들더군요.
진정한 가난은 경험해보지 못한 자의 속편한 소리 같아 괴리감만 들었습니다.
결국 상대적 빈곤과 그로인한 박탈감으로인한 행복지수의 감소가 뭐.. 알다시피 우리나라야 그쪽으론 자살이 성행할정도로 엄청난나라이니(하다못해 수험생자살,왕따 자살등(요건 극한까지 가면 아닐수도..)도 결국 절대적이 아닌 상대적인 문제인 경우가 많다는거죠.
아시다시피 다같이 가난하게 살면 행복지수는 낮지 않습니다.
분노나 실망이라는 감정이 결국은 지금의 나와 다른 무언가와 비교해서 생기는 부정적 감정이니 그걸 다스리는것이 가장 우아하게 가난해지는 법이 아니겠습니까?
물론 이를 실천하려면 최소 수도승수준이상의 인내심과 평점심이 있어야하겠지만 말입니다. 마음의 안정과 평화를 찾을정도면 그땐이미 열반에 든 종교인일지도..
뭐 시니컬한 이야기로 북한에서 상당수의 사람이 꿈꾸는
이팝(쌀밥)에 고깃국
은 우리 나라에서는 노숙자 무료급식으로 나오는 식단이라죠.
뭐 독일에서 안빈낙도(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분수를 지키고 지냄)적 생활이 우리나라에서는 죽어라노력해야 얻어지고 북한같은곳에서는 꿈인것이죠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