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위성은 수명이 다할 때 까지 해당위치에서 벗어나면 안됩니다.

 

때문에 자전속도와 맞춰서 궤도에 띄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정지위성의 수명이 10년이 넘어가는걸로 볼때는 그 긴 수명동안 자리를 지키기란 매우 어려운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속도와 고도를 정말 오차가 0에 가깝도록 올린다는건 사실 무척 어려워보이고, 오차 없이 올렸다해도 자기장이나 태양풍같은 요인들로 조금씩 값이 변경되는건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그러면 인공위성 자체적으로 속도나 고도를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할 것 같은데, 몇 십년 전의 위성이 보급 없이 계속 운행할 정도로 그런 정밀 조정, 고효율 엔진을 가지고 있을 것 같진 않습니다.

 

그 많은 위성들을 스페이스 셔틀만 가지고 관리하기도 무리로 보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몇년전에 NASA 에서 스페이스 셔틀 운행을 채산성 문제로 정지한걸로 아는데, 그렇다는 말은 인공위성에게 스페이스 셔틀이 필수는 아니라는 소리로 들리기도 하고 말이지요. 그럼 연료 보급이란것도 필요 없다는 이야기인데...

 

1. 정지궤도에 올라있는 위성은 어떤 방법으로 오차를 수정해가며 자리를 지키고 있나요?

 

 

2.  제가 알기로 정지궤도는 적도 부근에만 띄울 수 있는 걸로 압니다.

 

. 한국이야 경도 40도를 넘어가지 않으므로 적도 근처에 띄운다고 한들, 아파트같은데 막히지 않는이상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그러나, 적도 부근에만 정지궤도가 있으면, 그 위성신호를 받지 못하는 곳이 생기겠지요. 정지궤도도 고도제한이 있어서 무작정 올릴 수도 없지요.

 

기상, 군사, 과학등 정지 궤도위성이 필요한 분야는 많은데, 이 곳은 어떻게 커버를 하나요.

Hominis Possunt Historiam Condonare, Sed Deus Non V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