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원피스>에서의 한 대목이, 제가 생각하는 과학 지식 축적의 의의와 가깝다고 생각해서 약간 옮겨봅니다.

저작권 문제 될 까봐 한페이지만 올렸는데 그래도 문제면 통째로 지우겠습니다. ;

 

 

 

모독.JPG

 

 

 

 

하늘섬 편인데(31권의 한 장면입니다), 여기서 '그렇게도 신이 무섭나'하고 소리치고 있는 남자는 탐험대장이고 얼굴에 무늬를 칠하고 있는 남자는 그 땅에 사는 부족의 전사입니다. 탐험대가 섬에 도착했을 때 만화상 비교적 최근에 치료법이 발견된 역병이 섬에 퍼져서, 그 땅에 사는 부족들은 절멸 위기에 놓여 있었습니다. 어떤 수를 써도 병이 기세가 줄지 않았기 때문에 절망한 부족 사람들은 신으로 믿는 뱀에게 인간 제물을 바치고 신의 분노를 풀려고 합니다. 탐험대장은 이 의식의 와중에 난입해서 그 뱀을 죽이고, 자신이 병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으니 하루만 말미를 달라고 외칩니다. 가까스로 하루 기한을 얻은 대신 치료법을 가져오지 못하면 탐험대 전체를 제물로 바치겠다는 상황에서, 탐험대장은 혼자 밀림 속으로 들어가서 치료 성분이 있는 나무를 찾습니다(만화에서 '코니네'라고 한 것을 보면 키니네를 염두에 둔 설정인 듯 합니다)

그러나 그 와중에 지진이 일어나서 치료제는 찾았지만 암반에 몸이 깔려서 빠져나갈 수가 없는 상황에 처하고, 탐험대장의 뒤를 쫓아왔던 전사는 신의 심판이라고 그를 비웃습니다. 그러자 탐험대장은 실체가 없는 공포에 떨며 사람의 목숨을 산 제물로 바쳐 일시적 위안을 얻고 있다고 반박하죠. 그 때 그 뱀의 새끼가(새끼인데도 첫 화면에 나온 만큼 큽니다-_-) 나타나자 전사는 신의 자손이 심판을 내리러 왔다고 하지만, 탐험대장은 자신의 나라도 10만여명이 이 병으로 목숨을 잃었지만 이제는 치료법이 발견되었으며 자기가 손에 쥐고 있는 나무껍질로 만들 수 있고, 마을 사람들이 저주로 죽는 것인지 병으로 죽는 것인지 선택하라고 소리칩니다. 그 다음 장면이 제가 올린 이 부분. 그 뒤에 전사는 마침내 결심하고 신의 자손인 뱀을 죽인 뒤 깔린 탐험대장을 끌어내서 마을로 데려와 치료약을 만들게 합니다.

 

과학의 전당에 몸을 바친 과학자들은 매우 많지만, 그 발견과 지식의 축적은 단순히 과학자들에 의한 것 만은 아닐 것입니다. 발로 뛰는 탐험가들이나 임상의들, 발명가들, 수집가들부터 그 발견이 있기까지의 수많은 환자들을 비롯해 일상생활에서 현상들과 부대끼는 보통 사람들까지, 그 모든 사람들이 쌓아올린 경험과 시행착오와 시간들이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지식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중국 신화에 따르면 신농씨는 투명한 몸을 가지고 있었고, 그래서 세상의 먹을 수 있는 모든 식물, 동물, 광물성의 약재들을 먹어보고 자기 몸 안에서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의술을 처음으로 인간 세상에 널리 가르친 의술의 신으로 추앙받습니다. 결국에는 완전히 독을 해독하지 못해서 죽게 되지만요. 이 신화는 처음에 어떻게 인류가 지식을 축적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먹고 죽으면 안 먹고, 먹고 나으면 그 다음부터는 아플 때 그걸 먹는 식입니다. 무수한 시행착오를 반복하며 검증을 거치고서야 그런 경험적 지식들이 쌓일 수 있었고, 이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세상을 설명하려고 시도하는 것이 바로 과학인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저는 지식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의 무게가 얹어져 있고, 그들이 지식을 얻어낸 과정에서 흘린 피가 점점히 얼룩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과학이 때로는 지나치게 오만한 모습을 보이거나 헛다리 짚는 경우가 있다고 해도, 그 아래에 있는 지식들은 그런 희생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것이죠. 심지어 잘못된 것으로 반증되고 사라져버린 이론들이 있다고 해도, 그 이론들이 맞닥뜨린 시행착오 역시 결국에는 그 현상을 더 잘 설명하고 있는 이론의 초석이 되었을 것입니다. 진정 탐구하는 사람의 자세는 자신이 다루고 있는 지식들이 어떤 기반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것인지 이해하고, 겸허한 마음으로 자신의 힘을 보태는 태도가 아닐까 합니다. 물론 이런 입장은 거대한 것에 자기 미약한 힘을 약간이나마 보태려 하고 있는 사람이 느끼는 굉장히 단순한 입장이고, 과학철학에서는 더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긴 하지만요. 저 수많은 주술사들, 약초꾼들, 접골사들, 무당들, 연금술사들, 마법사들, 마녀의사들, 신비주의자들, 자연철학자들,  그 모든 지식을 탐구하던 이들과 그 지식에 공헌한 이들이 마치 신출내기 샤먼을 지켜보는 선조의 영혼들처럼 뒤에 늘어서 있다는 느낌입니다. 거대한 경관 앞에서 겸허함을 느끼는 것처럼, 그 과정 전체에 새삼스럽게 경의를 표하게 됩니다.

 

티끌 같은 세상속에 작은 모래알 하나, 한바탕 미친 바람 불고 나면 그 간 곳을 모르온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