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모르게 라이트 노벨이라는 단어가 유행했습니다. 아마 다들 머릿속에 떠올리시는 소설책이 한두 권쯤 있을 텐데, 희한하게 막상 정확한 뜻은 아무도 모르더군요. 어떤 것이 라이트 노벨에 속하지는 정할 수는 있어도 라이트 노벨의 정의를 설명할 줄 아는 사람은 없다는 겁니다. 그래서 독자마다 자기 나름의 정의를 세우곤 합니다. 그 중에서 유명한 분류법 중 하나가 삽화가 들어간 일본 장르 소설이라는 겁니다. 흠, 이 정도면 꽤 그럴 듯하네요. 아마 이 범주를 벗어나는 라이트 노벨은 많지 않겠죠. 그런데 이 삽화라는 게 단지 일본 장르 문학만의 특징은 아닙니다. 유럽과 미국에서 판타지/SF가 태동했을 때부터도 인기 장르 소설에 삽화를 넣는 건 하나의 관례였다고 그러더군요. 혹은 작가가 원해서, 혹은 그저 흥미를 끌기 위한 목적으로 그림을 그리기도 했고요.

 

그림이 들어간 장르 문학의 좋은 사례로는 소설 <호빗>과 <반지전쟁>이 있습니다. 톨킨 교수님은 상상력이 풍부한 언어학자이자 신화 및 역사 애호가였습니다. 그리고 한편으로 서정적인 화가이기도 했죠. 주로 풍경을 그리거나 문양을 짜거나 지도를 편집했고, 때로는 괴물도 구상했습니다. 영화로도 잘 알려진 동글동글한 호비튼 모습은 톨킨이 직접 그린 걸 바탕으로 제작한 겁니다. 카잣 둠 입구에 있는 문장도, 중간계를 표현한 지도도 그러하죠. 특히, <호빗>을 보면 삽화가로서 톨킨의 재능을 알 수 있습니다. 호비튼부터 리븐델, 호수 도시까지, 호빗과 독수리, 황금용에 이르기까지 여러 장소와 종족을 그렸기 때문입니다. 누구는 글 하나 잘 쓰기도 힘든데, 이 양반은 글도 잘 쓰고, 설정도 잘 짜고, 그림까지 잘 그리는군요. 역시 괴수는 뭐가 달라도 다른 듯.


zpic1.jpg

[작가가 직접 그린 바람의 왕자 과이히르와 빌보 배긴스.]

 

판타지 소설에서 삽화는 독자가 새로운 개념에 친해지는 역할을 합니다. <호빗>에 나온 거대한 독수리나 트롤, 용 등은 기존 신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존재입니다. 하지만 소설에서는 약간 변형되었으므로 그림이 있으면 알아보기 편하죠. 게다가 키가 작고 발에 털이 난 호빗과 둥그렇게 땅굴을 파고 사는 호비튼 광경은 이전의 판타지에는 없는 것이었습니다. 톨킨이 직접 만들었으니까요. 그래도 그림이 있으니 독자는 글을 읽으면서 샤이어가 어떻게 생겼는지, 호비트가 어떤 종족인지 금방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사실 판타지만이 아니라 새로운 개념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SF도 마찬가지죠. 오히려 기댈만한 신화가 없다는 점에서 SF쪽 삽화가 더 중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고전 SF 중에서는 <해저 2만리>의 삽화가 눈에 들어오네요. 국내에 번역한 완역본을 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그림이 들어갔습니다. 이러한 그림들은 노틸러스라는 상상 속 잠수함을 눈앞에 그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글만 읽어도 대략 노틸러스가 떠오르긴 하지만, 그림이 있으면 이해가 훨씬 쉽죠. 사실 노틸러스는 유명한 잠수함입니다만, 그 모습이 어떤지를 아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그럴 때 책 속의 그림을 찾아보면 좋겠죠. 이 삽화들은 여러 화가들이 번갈아 가며 그린 것인데, 쥘 베른 이 인기를 얻자 시리즈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집어넣은 거라고 합니다. 그래서 다른 소설에도 비슷한 그림들이 있고, 달나라로 날아가는 로켓이나 지구 속 공룡이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주기도 합니다. <지구 속 여행>에서 수장룡이 싸우는 그림은 가히 괴수물 사전에 등재해도 좋을 정도.


zpic12.jpg

[<신비의 섬>에서 실체를 드러낸 노틸러스호. 사실 이 잠수함은 저렇게 생겼습니다.]

 

, 아쉽게도 요즘 눈으로 보자면 그리 좋은 그림은 아닙니다. 책에 그린 노틸러스호는 제대로 된 잠수함이라고 하기 힘듭니다. 네모 선장과 아로낙스 일행이 갑판에 올라오는 장면이 꽤 많은데, 갑판과 바다 사이의 거리가 2m도 채 안 됩니다. 게다가 갑판이랍시고 있는 게 편편하지도 않고 둥근 데다가 제대로 된 난간도 없습니다. 조그만 파도라도 하나 치면 전부 휩쓸려갈 판이죠. 그 큰 잠수함에 조종석이라고 만들어놓은 곳은 모기 눈곱만큼 작고, 탐조등도 위태위태하게 달렸습니다. 만약 삽화에 나온 대로 잠수함을 만들었다면, 네모 선장은 인도양을 나서지도 못하고 꼬로록~했을 겁니다. 그리고 책 속에 노틸러스호 전체 모습을 제대로 그려놓은 건 한 장면도 없습니다. 사실 삽화가들도 노틸러스가 어떻게 생겼는지 몰랐다는 소리입니다. 작가인 쥘 베른이 알려주질 않았나 봅니다. 게다가 해양동물에 관한 지식도 부족해서 괴수를 그려놓기 일쑤였습니다. 향유고래 그림은 과학에 밝은 현대인이 보기엔 무슨 초등학생 낙서 같기도 합니다.

 

이게 당시 내노라 하는 화가들의 그림인지라 좀 기가 막히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삽화를 그린 건 19세기였고, 공학이나 생태학과는 거리가 먼 직업 화가들의 그림이었다는 걸 명심해야 하겠죠. 당시 한계로 어쩔 수 없었을 겁니다. 이때는 SF니 설정이니 하는 게 생긴 지 얼마 안 되는 때였고요. 솔직히 정보가 넘쳐나는 요즘에도 고증을 잘 지키는 작품은 드물잖아요.

 

여담으로 SF의 삽화는 새로운 개념을 눈으로 보여준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삽화만이 아니라 표지 그림도 중요합니다. 아무리 휘황찬란한 설정을 만들어놔도 삽화 혹은 표지 그림이 엉망이면 물귀신처럼 같이 망가지는 수가 있습니다. SF 소설의 표지 그림에 관해서는 그간 클럽에서 몇 번 이야기한 적이 있으니까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만. 백 번 읽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게 낫다.는 속담을 만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유난히 말도 안 되는 그림을 집어넣어 소설을 망치는 경향이 잦은 것 같습니다.)


zpic13.jpg

[삽화는 아니지만, 게임 관련 소설은 설정 때문에 표지 그림이 중요해지기도 하죠.]

 

판타지와 SF 뿐만 아니라 추리 장르에도 삽화는 한몫을 해냅니다. 이게 특히 두드러진 시리즈가 <셜록 홈즈> 시리즈. 모든 홈즈 시리즈에는 삽화가 들어갔는데, 프랭크 와일과 시드니 파젯의 작품이 특히 유명합니다. 이 사람들이 그린 삽화는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머리 크고, 코가 뾰족하고, 괴상하게 생긴 탐정의 전형을 구축했죠. 그런데 추리 소설에서 왜 삽화가 중요한가 하면, 그건 홈즈의 추리 방식과 왓슨의 전기 형식 때문입니다. 자, 홈즈는 추론의 과학을 신봉하는 사람입니다. 아주 사소한 것에 집착하며, 그 사소한 것 하나에서 발전해 사건의 거대한 연결고리를 밝혀내곤 합니다. 작은 부분이야말로 놓쳐서는 안 되는 단서입니다. 따라서 독자(매니아)가 보기에 책 속의 삽화는 사건 현장을 진실되게 그렸어야 합니다. 그게 홈즈의 방식에 맞으니까요.

 

글 속에서는 탐정이 멋지게 추리를 하는데, 그림 속의 사건 현장이 난잡하다고 칩시다. 그러면 그 삽화는 없는 것만 못하게 됩니다. 더군다나 홈즈 시리즈를 읽는 독자는 대개 홈즈의 방식을 따라 하고 싶어합니다. 그래서 사건 단서가 될만한 것, 특히, 그림을 두고 눈에 불을 켜죠. 그래서 과연 이 그림은 왓슨이 쓴 기록대로 그린 것인가? 홈즈의 설명과 그림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없는가? 그림이 사실을 잘못 표현한 부분은 없는가? 등등의 여러 가지 의문에 직면해야 합니다. 그리고 잘못된 그림은 종종 지적을 당하곤 합니다. 가령, <주홍색 연구>의 첫 번째 살인 사건에서 왓슨은 방 안에 무수히 튄 핏자국이 있다.고 했는데, 삽화에는 핏방울이 전혀 없습니다. 홈즈를 좋아하는 독자라면 이런 실수는 두고두고 까기 마련이죠. (홈즈가 실제로 있었더라도 그랬을 테니까요.)


zpic14.jpg

[왓슨은 분명히 무수한 핏자국이 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핏자국은 어디에?]

 

이외에도 찾아보면 몇 개 더 있을 겁니다. 최근 번역본으로 삽화가 들어간 장르 소설로는 <솔로몬 케인>이 기억납니다. 어쨌든 예시로서는 이 판타지, SF, 추리 등 고전소설 세 개면 충분할 듯하네요. 공포나 무협 쪽은 제가 잘 모르기도 하고. 여하간 장르 문학에 삽화를 넣어 상상력을 보탠 건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우리가 고전이라고 부르는 것들이 태생했을 때부터 존재했죠. 그러니까 인기 창작가가 되고 싶다면 글도 잘 써야 하지만 그림 실력도 한몫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