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이 단 척의 배에 의존하여 광대한 우주를 항해하는 이야기는 여러번 봤습니다. 여기서 의문이 하나 듭니다. 사람은 결국 먹고 사는 생물인데, 그 배 안에서의 경제는 어떻게 돌아갈 것인가? 하는 의문이요.


재산에 대한 개념 자체가 많이 달라질 것이란 생각은 듭니다.

한정된 공간(설령 업그레이드나 모듈 추가로 늘린다 쳐도)에서 부동산이란 개념은 있기 어렵습니다. 땅 뺏기면 갈 곳이 없으니까요. 굶어 죽는 사람도 있으면 곤란합니다. 어지간하지 않은 이상, 지금 있는 사람이 다른 사람을 어떻게 살릴지 아무도 모르니까요.

그렇지만 이런 폐쇄공간에서 경제가 어떻게 돌아갈까요? 

이렇게나 자원 회전이 어려운 곳에서도 경제가 어떤 변화를 맺을지 참 궁금합니다.





그리고 또 하나 더.

광대한 우주를 넘고넘어 도착한 살만한 행성에 도착했습니다.

행성에 도달한 후 경제는 또 어떻게 달라질까요?


픽션에서 본 것은...

1. 히가란: 전혀 언급 없음

2. 테란: 쓸데 없어 지구에 추방된 인간들. 과정은 아무런 언급이 없지만 자본주의 체제(지구에 살던 방식)를 재도입

3. 다크템플러: 테란과 동일. 역시나 과정은 언급이 없으나 프로토스식(아이어에서 살던 방식)을 재도입한 것 같음


어째건 종합해 보면, 픽션에선


고향에서 살았다가 → 단 한순간에 대장정에 적응하고 → 또 단 한순간에 엤날에 살던 방식으로 산다...

가 됩니다. 참 쉽네요(...)


그치만 사람(이나 외계인)들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 한번 적응한 대장정당시 생활방식을 어떻게 버리고, 대장정 이전 방식으로 돌아가는 걸까요? 무인 행성에 갓 도착한 직후에 이들의 생활방식이 곧바로 변하게 될 거란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한번 길들여진 대장정식 조직경제가 개인주의적 경제로 돌아가는데엔 어떤 과정을 통하게 될까요?

[물고기군] 밤이면 언제나 아름다운 인생을 꿈꾼다. 사랑하고픈 사람과 별을 바라다 보고 싶을때 비오는날 우산들이 공허하게 스쳐갈 때 노래부르는 물고기가 되고 싶고 날개달려 하늘을 날고싶다. 아침의 차가운 바닥에서 눈을돌려 회색의 도시라도 사람의 모습을 느껴본다 부디 꿈이여 날 떠나지 마소서... [까마귀양] 고통은 해과 함께 서려가고 한은 갑갑하메 풀 길이 없네 꿈은 해와 함께 즈려가고 삶과 함께 흩어지네 나의 꿈이여 나의 미래여 나의 길을 밝혀 밤의 끝을 보내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