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세계대전즈음해서 플레밍 박사님이 개발한 페니실린은 최초의 항생제라고 할만한 물건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당시에는 큰 발견이 아니라 여겨졌고, 그 겸손한 플레밍박사가 왜 저렇게 난리를 치는지 모르겠다... 라는 반응이 대세였죠.

 

페니실린은 다들 아시다시피 푸른 곰팡이가 세균을 막아내는 기작에서 추출한 것입니다.

세균이 분열을 계속하려면 세포벽 층에 펩티도글리칸 층을 만들어내야 하는데, 이 펩티도 글리칸에 계속 페니실린이 반응을 일으켜,

연속적으로 합성하여 벽을 만들어내는것을 방해하지요. 세포벽이 제대로 합성이 되지 않으니, 분열시에 합성이 덜된 세포벽층을

만들어내는 상태이니 제대로 될리가 없습니다. 결국 세포막이 터져 죽게되지요.

현재로서는 이 원본 페니실린이 제대로 들어먹는 세균은 별로 없고, 개량을 한 페니실린을 쓰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항생제가 발견된지 이제 한 50년즈음 된것 같은데... 인류의 역사를 따져보면 참으로 짧은 시간이 아닐 수 없습니다.

발견전엔 전쟁시엔 치료를 해도 감염으로 인해 죽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수술은 정말 생사를 넘나드는 것이었죠.

그리고 현재... 이제 항생제가 개발된지 50년즈음 되었는데, 슈퍼바이러스, 슈퍼세균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다세포 동물은 중추신경계가 나가면 그걸 사망으로 칩니다. 반면에 단세포동물은 먹고싸고 분열못하면 그걸 사망으로 치지요.

이같은 차이는 매우 큰데, 다세포동물은 각 조직이 필요한 부분을 전담하여 생명유지를 돕고, 궁극적으로 중추신경계를 유지시키지만, 단세포 동물은 세포 그 자체로서 대사작용, 분열이 가능하며 여기에 다세포동물만큼 복잡한 기작이 필요치는 않습니다. 해서, 다세포동물이 변이를 일으키면 그 결과는 매우 크게 다가옵니다. 단세포동물은... 변이 한두개쯤 일어나도 그닥 상관은 없지요.

이같은 결과는 단세포동물이 항생제에 내성을 지닐 수 있는 기회를 더 늘려주었습니다.

 

 

진화의 기본을 이루는 이론은 자연 선택과 변이입니다.

 

중세시대 흑사병이 나돌았을때 유럽인구 반에 달하는 인간이 죽었습니다. 위생불결도 큰 몫을 차지는 합니다만....

다만 현대시대에는 흑사병은 그냥 항생제로 치료가 가능한 병이죠. 암은 어떻습니까. 수술로 조기치료만 하면 심각한 병은 아닙니다.

최근엔 완치율도 점점 늘고있죠.

최근의 인플루엔자같은 것이 과거에 돌았으면 현대판 '중세시대 흑사병'의 재래가 되었겠죠.

가족간에 관련 병을 앓고 있는 분들께는 죄송한 말이되겠지만....

이같은 것이 의미하는 바는 '죽어야 할 사람'이 현대의학의 도움을 받아 '안죽는 것'이라고 해석가능합니다.

자연선택을 거부하고 생존한다는 것이죠.

 

이같이 유전자에 문제가 생기거나 적응 가능 한 개체만 남도록 거르는 과정을 거스르고 살아남는것을 진화에 거부한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자손세대는 어떨까요. 아마도 암같은거 생겨도 문제가 안되니 고장난 유전자가 도태되지 않고 그대로 살아남을 것이겠죠.

나중되면 홍역처럼 암도 의례히 거쳐가는 의식같은것이 될지도 모릅니다.

 

세상에 슈퍼바이러스나 슈퍼박테리아만 남는다면 항생제가 필요가 없어질테니 인구수도 도로 급감할지도 모르겠네요.

 

 

개체에게는 안된일입니다만, 개체군에게는 진화를 멈춘다는 것이 나중에 화산처럼 크게 돌아올지도 모르겠습니다.

나중엔 인구 반정도가 죽는게 아니라, 인류멸종까지 갈지도 모르겠네요.

 

 

의학이 개체에게는 도움이 되겠지만, 개체군에게는 오히려 독이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Hominis Possunt Historiam Condonare, Sed Deus Non V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