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작품 게시판 - 영화/애니/만화/소설/드라마/다큐멘터리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만화, 소설, 다큐멘터리 등 모든 작품에 대한 이야기. 정보나 감상, 잡담.
슈퍼 로봇 이야기, 괴수/괴인/초인 이야기 외에... 다양한 작품과 장르를 다루고 있습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슈퍼 로봇 이야기, 괴수/괴인/초인 이야기 외에... 다양한 작품과 장르를 다루고 있습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글 수 22,958
영화 <에일리언> 2편을 보면, 에일리언들이 콜로니에 갇힌 해병대를 공격하려고 건물 전력을 끊는 부분이 나옵니다. 그냥 공격해서는 효과가 없다는 판단 아래 전술 계획을 짜고 그걸 실행에 옮긴 거죠. 그걸 보고 허드슨이란 해병대원은 “동물이 그럴 리가 없다!”고 외칩니다. 해병대 눈에는 에일리언이 그저 기계도 다루지 못하는 동물로 보였나 봅니다.
에, 그러니까 에일리언은 언뜻 봐서 동물 같다는 느낌을 많이 줍니다. 일단 그들은 문화라든가 문명이 없습니다. 그냥 자연 상태에서 살아갈 뿐입니다. 도구를 개발하지도 않고, 외부 재료를 이용해 건물을 짓지도 않습니다. 물론 외계 생명체가 야생에서 살아간다고 그걸 꼭 지구에 있는 동물과 비교할 수는 없습니다. 생명이 살아가는 방법은 굉장히 다양할 테니까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지구 동물과 뚜렷한 차이점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러니까 평가하기가 굉장히 애매합니다.
또한 에일리언은 이성보다 본능이 앞섭니다. 그들은 일단 상대를 만나면 공격하려 듭니다. 보다 넓은 시야를 가지고 다른 종과 타협한다든가 교류를 하려하지도 않습니다. 누군가를 만나면 무조건 이빨부터 까는 거죠. 지구인의 입장에서 볼 때 이런 행동은 ‘동물 같다’는 느낌을 주게 마련입니다. 에일리언과 곧잘 비교하는 프레데터도 이 점은 마찬가지입니다만, 적어도 그들에겐 명예욕이 있습니다. 좀 더 높은 차원의 문제로 상대와 싸운다는 것이죠. 하지만 에일리언의 머릿속에는 오로지 ‘생존’ 밖에 들어있지 않은 듯 싶습니다. 자아 개념도 없는 것 같아요.
그리고 이건 참 사소한 이유이기도 한데, 에일리언에겐 꼬리가 있습니다. 꼬리, 이거 인간 사회에서 보자면 참 난감한 신체 기관입니다. 대부분 척추동물에겐 꼬리나 꼬리 역할을 하는 기관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포유류와 파충류, 양서류에겐 꼬리가 있고, 새에겐 꽁지가 있고, 물고기에겐 꼬리 지느러미가 있습니다. 헌데 그 중에서 인간을 비롯한 몇몇 유인원만 없습니다. 그러니 꼬리가 있는 에일리언은 알게 모르게 동물처럼 보인다는 겁니다. 사람마다 관점이 다르긴 하겠지만, 전 꼬리 문제가 참 중요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이러한 연유들로 저는 에일리언이 ‘동물에 가깝다’고 보는 편입니다. 사고 능력이 어느 정도는 있지만, 지구 생물로 따지자면 동물에 가깝다는 거죠. 그러나 외계 생명체가 동물처럼 보인다고 해서 단순히 분류해도 되는지 의문이군요. 역시 이것도 들쑥날쑥한 설정처럼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걸까요. 사람 입장에서 보면 다른 생명체(또는 생명체처럼 보이는 존재)를 구분한다는 게 굉장히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영화 <에일리언> 2편을 보면, 에일리언들이 콜로니에 갇힌 해병대를 공격하려고 건물 전력을 끊는 부분이 나옵니다. 그냥 공격해서는 효과가 없다는 판단 아래 전술 계획을 짜고 그걸 실행에 옮긴 거죠. 그걸 보고 허드슨이란 해병대원은 “동물이 그럴 리가 없다!”고 외칩니다. 해병대 눈에는 에일리언이 그저 기계도 다루지 못하는 동물로 보였나 봅니다.
에, 그러니까 에일리언은 언뜻 봐서 동물 같다는 느낌을 많이 줍니다. 일단 그들은 문화라든가 문명이 없습니다. 그냥 자연 상태에서 살아갈 뿐입니다. 도구를 개발하지도 않고, 외부 재료를 이용해 건물을 짓지도 않습니다. 물론 외계 생명체가 야생에서 살아간다고 그걸 꼭 지구에 있는 동물과 비교할 수는 없습니다. 생명이 살아가는 방법은 굉장히 다양할 테니까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지구 동물과 뚜렷한 차이점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러니까 평가하기가 굉장히 애매합니다.
또한 에일리언은 이성보다 본능이 앞섭니다. 그들은 일단 상대를 만나면 공격하려 듭니다. 보다 넓은 시야를 가지고 다른 종과 타협한다든가 교류를 하려하지도 않습니다. 누군가를 만나면 무조건 이빨부터 까는 거죠. 지구인의 입장에서 볼 때 이런 행동은 ‘동물 같다’는 느낌을 주게 마련입니다. 에일리언과 곧잘 비교하는 프레데터도 이 점은 마찬가지입니다만, 적어도 그들에겐 명예욕이 있습니다. 좀 더 높은 차원의 문제로 상대와 싸운다는 것이죠. 하지만 에일리언의 머릿속에는 오로지 ‘생존’ 밖에 들어있지 않은 듯 싶습니다. 자아 개념도 없는 것 같아요.
그리고 이건 참 사소한 이유이기도 한데, 에일리언에겐 꼬리가 있습니다. 꼬리, 이거 인간 사회에서 보자면 참 난감한 신체 기관입니다. 대부분 척추동물에겐 꼬리나 꼬리 역할을 하는 기관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포유류와 파충류, 양서류에겐 꼬리가 있고, 새에겐 꽁지가 있고, 물고기에겐 꼬리 지느러미가 있습니다. 헌데 그 중에서 인간을 비롯한 몇몇 유인원만 없습니다. 그러니 꼬리가 있는 에일리언은 알게 모르게 동물처럼 보인다는 겁니다. 사람마다 관점이 다르긴 하겠지만, 전 꼬리 문제가 참 중요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이러한 연유들로 저는 에일리언이 ‘동물에 가깝다’고 보는 편입니다. 사고 능력이 어느 정도는 있지만, 지구 생물로 따지자면 동물에 가깝다는 거죠. 그러나 외계 생명체가 동물처럼 보인다고 해서 단순히 분류해도 되는지 의문이군요. 역시 이것도 들쑥날쑥한 설정처럼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걸까요. 사람 입장에서 보면 다른 생명체(또는 생명체처럼 보이는 존재)를 구분한다는 게 굉장히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표도기] 실존 인물과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쓰여진 김왕석씨의 사냥 소설들을 읽다 보면, 동물이라고 해도 경험이나 훈련 등에 따라서 상상을 초월하는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테면,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있었던 늑대 사건 중 하나 중에서 이런 이야기가 있지요.
어느 날 마을 사람들이 모여 있는데 한 마리의 개가 나타나더니 갑자기 닭을 물고 달아나더랍니다. "이 놈의 개가 미쳤나?"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바로 늑대였지요. 그 늑대는 토끼장의 걸쇠를 입으로 열어서 토끼를 잡아 먹기도 했다지요. 인간을 해치지는 않았지만 피해가 막심하기 때문에 개들을 동원했는데 그 개들이 늑대가 왔다 가도 멀뚱멀뚱… 알고 보니 그 늑대는 개똥을 몸에 묻혀서 개인척 하고 속였던 것이지요.
강으로 들어가 발자국을 숨기기까지 하면서 도밍치던 그 늑대를 당시 어용 포수로 일했던 사람이 동료들과 함께 한참을 추적한 결과, 어떤 마을에서 개인척 시치미를 떼고 있던 있던 늑대를 발견 결국 사살했다는 것입니다.
이런 에피소드 이외에도 동물과 관련하여 매우 다양한 에피소드들이 있는데, 그 교활한 수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죠. 그 중에서도 많은 것이 "동물이 무슨 전술?"이라며 깔보다 농락당하는 사냥꾼들의 에피소드입니다.
그런 것을 보다보면, 문화와 꾀는 또 다른 것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지요. 인간을 제외한 동물들은 문화를 갖고 있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꾀가 없는 것은 아니니까요.
P.S) "동물이 전력을 끊는다니 말도 안돼."라는 말 자체에서 저들이 죽을 운명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군요.
어느 날 마을 사람들이 모여 있는데 한 마리의 개가 나타나더니 갑자기 닭을 물고 달아나더랍니다. "이 놈의 개가 미쳤나?"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바로 늑대였지요. 그 늑대는 토끼장의 걸쇠를 입으로 열어서 토끼를 잡아 먹기도 했다지요. 인간을 해치지는 않았지만 피해가 막심하기 때문에 개들을 동원했는데 그 개들이 늑대가 왔다 가도 멀뚱멀뚱… 알고 보니 그 늑대는 개똥을 몸에 묻혀서 개인척 하고 속였던 것이지요.
강으로 들어가 발자국을 숨기기까지 하면서 도밍치던 그 늑대를 당시 어용 포수로 일했던 사람이 동료들과 함께 한참을 추적한 결과, 어떤 마을에서 개인척 시치미를 떼고 있던 있던 늑대를 발견 결국 사살했다는 것입니다.
이런 에피소드 이외에도 동물과 관련하여 매우 다양한 에피소드들이 있는데, 그 교활한 수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죠. 그 중에서도 많은 것이 "동물이 무슨 전술?"이라며 깔보다 농락당하는 사냥꾼들의 에피소드입니다.
그런 것을 보다보면, 문화와 꾀는 또 다른 것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지요. 인간을 제외한 동물들은 문화를 갖고 있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꾀가 없는 것은 아니니까요.
P.S) "동물이 전력을 끊는다니 말도 안돼."라는 말 자체에서 저들이 죽을 운명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군요.
그런데 과연 생존만을 염두에 두는 생물이 닥치는대로 다른 종을 쓸어 없앨까요? 호혜성이라는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아닐꺼라고 봅니다. 따라서 다른 특성들과 같이 볼때, 에일리언은 유전적으로 프로그램된 병기라는 설이 더 설득력 있을 것 같아요.
닥치는 대로 쓸어없앤다는 말의 의미가 조금 달라진거 같습니다만 ^^;;; 어쨌든, 에일리언의 행동의 의미는 보이는 모습만이 다를 뿐, 인간과 다르지 않지요. 생체병기설은 은유(비유?)의 말입니다. 그것은 인간을 바이러스라 칭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인 것이지, 정말로 생체병기로서 제작되었다고 곧이 곧대로 해석할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저는 인간과 그외 동물에 그다지 특별한 경계를 두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