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역사 포럼
밀리터리, 군사 과학, 그리고 역사와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좋아하는 분들을 위한 게시판.
역사 속의, 또는 현대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들과 관련한 뉴스 이외에 국내 정치 논쟁에 대한 이야기는 삼가해 주십시오.
역사 속의, 또는 현대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들과 관련한 뉴스 이외에 국내 정치 논쟁에 대한 이야기는 삼가해 주십시오.
글 수 3,531
전 그런 문제를 생각해 봅니다.
혹자는 그런 질문을 던지죠.
누구하고 누구하고 싸우면 누가 이기나요?
어디 군대하고 어디 군대하고 싸우면 누가 이기나요?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 볼 문제가 있습니다. 만일 승리가 그들이 추구해야 하는 의미라고 한다면, 사람이나 군대조직이 장비가 뛰어나다하거나, 조직 구성이 뛰어나다고 해서 절대적으로 승리를 보장해 주지 않습니다.
그 전적인 예가 이순신과 원균의 예를 들 수 있죠. 분명 같은 함대인데도 불구하고 이순신 장군은 승리를 하였고 원균은 대패를 했습니다. 반면, 이순신 장군은 불과 십몇척의 함대로 백척이 넘는 일본군 함대에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터키의 케말파샤 장군도 역시 장비가 뛰어난 영국군을 대항해서 구식 터키군으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또 어떨까요? 알렉산더와 페르시아군은?...한니발과 로마군은 어떨까요? 역사의 무수한 예를 본다면,,,
장비와 조직은 결국 재료에 불과하지 재료 자체가 승리를 보장해 주지 않는다는겁니다. 그 재료를 누가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서, 승리라는 의미를 이룰 수도 이루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지휘자가 쓸 수 있는 좋은 재료가 많다면 손쉽게 승리를 이룰 수 있겠죠...
그러나, 결국 그런 것들은 승리의 재료이지 승리 그 자체가 아니라는겁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그런 점을 오해하는 듯 보입니다. 더 중요한 문제는 지휘자의 리더쉽이 아닐까요? 그리고 그 리더쉽이란 그들이 닥친 문제에 대한 이해, 그들이 쟁취해야할 의미, 그 의미를 이루기 위한 의사결정의 과정...그리고 행동을 통한 실현...그 자체가 아닐까요?
혹자는 히틀러가 초반부터 전쟁에 질 수 밖에 없었던 운명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제가 보기에 적어도 히틀러는 무승부를 이룰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잘못된 결정을 내리면서, 자신이 가진 재료 - 우수한 군대와 우수한 장군들...을 잘 활용하지 못했죠. 특히, 덩스턴(?) 철수가 잘못된 예라 볼 수 있죠. 말그대로, 전술적인 승리는 전략적인 승리를 넘지 못한다고 할까요...
요컨데, 전쟁( 물론 우리의 삶도 그렇죠)의 승리는 그 재료가 결정해 주지 못한다는거죠...
=================================
목표라는 면에서 의미를 말고 역할이라는 면에서 의미를 살펴보죠.
먼저 롬멜 장군의 88mm 대공포를 들 수 있죠. 대공포 자체는 그저 대공포라는 재료에 불과하죠. 그리고 그 이름에서 보았듯이 대공용 화기였습니다. 그러나 롬멜장군은 대공포를 전차에 대적할 수 있는 화기로서의 의미를 발견하고 그렇게 사용하였습니다. 적어도 롬멜장군이 자신이 가진 재료에 대해선 잘 이해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잘 활용했죠.
그리고 구데리안 장군이 구상한 전차의 역할에 대해서 1차대전과 2차대전의 그 역할에 대한 정의는 다릅니다. 1차대전 때는 보병를 보조하는 역할로 규정되었지만, 2차대전 때는 전장을 주도하는 역할로 규정되었죠. 그 결과...초반에, 독일군은 구식의 전쟁개념을 가진 연합군을 잘 이기죠. 그들이 구상한 전격적도 그들이 가진 재료에 새로운 역할을 규정하고 활용한거라 보아야죠. 전차, 비행기, 보병이 승리라는 목표를 위해서 재료가 가진 강점을 잘 살린거죠.
알렉산더의 경우도 기마병에 대해서 모루와 망치에서 망치라는 역할적인 의의를 부여함으로써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요컨대, 아무리 좋은 군대를 주어도 지휘자가 자기에게 주어진 재료를 잘 이해하고 있지 않는다면, 총을 몽둥이로 밖에 활용 못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밖에 없고, 무시무시한 타이거전차를 짐마차로 밖에 활용할 수 밖에 없을겁니다. 반면, 지휘관이 똑똑하다면 구식무기라도 새로운 역할, 의미있는 역할을 찾으므로써, 전장을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주도할 수 있다는겁니다.
혹자는 그런 질문을 던지죠.
누구하고 누구하고 싸우면 누가 이기나요?
어디 군대하고 어디 군대하고 싸우면 누가 이기나요?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 볼 문제가 있습니다. 만일 승리가 그들이 추구해야 하는 의미라고 한다면, 사람이나 군대조직이 장비가 뛰어나다하거나, 조직 구성이 뛰어나다고 해서 절대적으로 승리를 보장해 주지 않습니다.
그 전적인 예가 이순신과 원균의 예를 들 수 있죠. 분명 같은 함대인데도 불구하고 이순신 장군은 승리를 하였고 원균은 대패를 했습니다. 반면, 이순신 장군은 불과 십몇척의 함대로 백척이 넘는 일본군 함대에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터키의 케말파샤 장군도 역시 장비가 뛰어난 영국군을 대항해서 구식 터키군으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또 어떨까요? 알렉산더와 페르시아군은?...한니발과 로마군은 어떨까요? 역사의 무수한 예를 본다면,,,
장비와 조직은 결국 재료에 불과하지 재료 자체가 승리를 보장해 주지 않는다는겁니다. 그 재료를 누가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서, 승리라는 의미를 이룰 수도 이루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지휘자가 쓸 수 있는 좋은 재료가 많다면 손쉽게 승리를 이룰 수 있겠죠...
그러나, 결국 그런 것들은 승리의 재료이지 승리 그 자체가 아니라는겁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그런 점을 오해하는 듯 보입니다. 더 중요한 문제는 지휘자의 리더쉽이 아닐까요? 그리고 그 리더쉽이란 그들이 닥친 문제에 대한 이해, 그들이 쟁취해야할 의미, 그 의미를 이루기 위한 의사결정의 과정...그리고 행동을 통한 실현...그 자체가 아닐까요?
혹자는 히틀러가 초반부터 전쟁에 질 수 밖에 없었던 운명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제가 보기에 적어도 히틀러는 무승부를 이룰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잘못된 결정을 내리면서, 자신이 가진 재료 - 우수한 군대와 우수한 장군들...을 잘 활용하지 못했죠. 특히, 덩스턴(?) 철수가 잘못된 예라 볼 수 있죠. 말그대로, 전술적인 승리는 전략적인 승리를 넘지 못한다고 할까요...
요컨데, 전쟁( 물론 우리의 삶도 그렇죠)의 승리는 그 재료가 결정해 주지 못한다는거죠...
=================================
목표라는 면에서 의미를 말고 역할이라는 면에서 의미를 살펴보죠.
먼저 롬멜 장군의 88mm 대공포를 들 수 있죠. 대공포 자체는 그저 대공포라는 재료에 불과하죠. 그리고 그 이름에서 보았듯이 대공용 화기였습니다. 그러나 롬멜장군은 대공포를 전차에 대적할 수 있는 화기로서의 의미를 발견하고 그렇게 사용하였습니다. 적어도 롬멜장군이 자신이 가진 재료에 대해선 잘 이해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잘 활용했죠.
그리고 구데리안 장군이 구상한 전차의 역할에 대해서 1차대전과 2차대전의 그 역할에 대한 정의는 다릅니다. 1차대전 때는 보병를 보조하는 역할로 규정되었지만, 2차대전 때는 전장을 주도하는 역할로 규정되었죠. 그 결과...초반에, 독일군은 구식의 전쟁개념을 가진 연합군을 잘 이기죠. 그들이 구상한 전격적도 그들이 가진 재료에 새로운 역할을 규정하고 활용한거라 보아야죠. 전차, 비행기, 보병이 승리라는 목표를 위해서 재료가 가진 강점을 잘 살린거죠.
알렉산더의 경우도 기마병에 대해서 모루와 망치에서 망치라는 역할적인 의의를 부여함으로써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요컨대, 아무리 좋은 군대를 주어도 지휘자가 자기에게 주어진 재료를 잘 이해하고 있지 않는다면, 총을 몽둥이로 밖에 활용 못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밖에 없고, 무시무시한 타이거전차를 짐마차로 밖에 활용할 수 밖에 없을겁니다. 반면, 지휘관이 똑똑하다면 구식무기라도 새로운 역할, 의미있는 역할을 찾으므로써, 전장을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주도할 수 있다는겁니다.
직장인입니다.
아 그랬군요^^; 제가 밀리 매니아가 아니라서...
그러나 문맥적인 관점은 결국 장군이 자기가 가진 재료들( 전차, 대공포, 병력)를 어떤 역할로 사용할지 이해하애 한다는게 아닐까요? 그것이 재료가 가진 강점을 극대로 살리는 길이고요...
그러나 문맥적인 관점은 결국 장군이 자기가 가진 재료들( 전차, 대공포, 병력)를 어떤 역할로 사용할지 이해하애 한다는게 아닐까요? 그것이 재료가 가진 강점을 극대로 살리는 길이고요...
당연하면서도 당연하지 못한 이야기가 결국은 무형전력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무형전력, 즉 사기, 작전술, 지휘능력등등이 중요하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재료와 능력의 비교가 어려운 점은 무형전력은 계측하기가 힘들뿐더러, 무형전력만 믿고 말씀하시는 재료에 해당하는 다른 능력을 경시하는 경우 크게 낭패를 본 경우가 많으니까요. 대표적인게 구 일본군이기도 하구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무형전력과 유형전력이 서로 대립하는 관계가 아니라는 점 입니다. 상호보완 및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존재이지, 유형전력을 증강한다고 무형전력이 약해지는 것이 아니며, 또한 무형전력만 크게 강조한다고 유형전력이 갖춰지는 것도 아닙니다. 즉 떼어서 생각 할 수 없는 것을 떼어서 생각하시고 있는 것 같은데요 ^^
또 한가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무능한 지휘관이 강력한 군대를 말아먹기는 쉬워도, 유능한 지휘관이 무력한 군대로 승리하기는 크게 힘들다는 점 입니다. 결국은 어느정도라도 비슷한 유형전력이 갖춰지지 않는 이상 무형전력이 아무리 강력하더라도 소용이 없다는거죠.
무형전력, 즉 사기, 작전술, 지휘능력등등이 중요하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재료와 능력의 비교가 어려운 점은 무형전력은 계측하기가 힘들뿐더러, 무형전력만 믿고 말씀하시는 재료에 해당하는 다른 능력을 경시하는 경우 크게 낭패를 본 경우가 많으니까요. 대표적인게 구 일본군이기도 하구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무형전력과 유형전력이 서로 대립하는 관계가 아니라는 점 입니다. 상호보완 및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존재이지, 유형전력을 증강한다고 무형전력이 약해지는 것이 아니며, 또한 무형전력만 크게 강조한다고 유형전력이 갖춰지는 것도 아닙니다. 즉 떼어서 생각 할 수 없는 것을 떼어서 생각하시고 있는 것 같은데요 ^^
또 한가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무능한 지휘관이 강력한 군대를 말아먹기는 쉬워도, 유능한 지휘관이 무력한 군대로 승리하기는 크게 힘들다는 점 입니다. 결국은 어느정도라도 비슷한 유형전력이 갖춰지지 않는 이상 무형전력이 아무리 강력하더라도 소용이 없다는거죠.
( 에구..;) 제가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유형전력 자체가 승리를 보장하는게 아니라는 겁니다. 더 근본적으로 말하고 싶은 것은 의사결정과 판단력에 관련된겁니다. 당연히, 병사가 없는 장군이 머리로만 전쟁을 할 수 없는 노릇입니다. 굳이 말하지면 무형전력과 유형전력이란 용어와 관점이 조금 다른 용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실수한 부분이 있는데, 의미라는 용어를 2가지 측면에서 사용했습니다. 첫째는 재료를 통해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입니다. 둘째는, 재료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떤 역할로 쓰이는가? 입니다. 그런점에서 용어 사용에 잘못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서 전술적 승리는 전략적 승리의 재료이죠. 그러나 그 의미를 따져볼 때, 재료가 곧 의미를 말한다고 말할 수 없죠. 위의 비유로 말하자면, 전술적 승리가 전략적 승리라고 말할 수 없다는겁니다. 물론 논란이 많이 되고 있지만, 그 예로 들어지는게, 북아프리카에서 벌어진 롬멜의 사막전입니다. 롬멜의 전술적으로 승리하였지만, 그 승리가 도리어 전략적 측면에서 악재로 작용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의미적인 측면에서, 롬멜은 그저 연합군과 가볍게 놀아주기만 했었다면 더 낳았을지도 모릅니다.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롬멜의 승리라는 재료는 제 역할을 못한겁니다. 혹은 히틀러가 그 재료를 잘 활용 못한것이고요.
이런 측면에서 의미와 재료라는 용어가 무형, 유형전력이란 용어와 다르다고 생각하며...그런 점에서 의미와 재료는 충분히 분리시켜서 생각해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p.s. 위에서 말한 무형전력도 결국 재료에 속한게 아닐까요...그 관점에서 따라서, 전술적 승리나 장군의 유능함도 재료라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 크게 말하면 전쟁 자체가 재료일 수도 있습니다. 그건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에 나와있다고 하더군요.
유형전력 자체가 승리를 보장하는게 아니라는 겁니다. 더 근본적으로 말하고 싶은 것은 의사결정과 판단력에 관련된겁니다. 당연히, 병사가 없는 장군이 머리로만 전쟁을 할 수 없는 노릇입니다. 굳이 말하지면 무형전력과 유형전력이란 용어와 관점이 조금 다른 용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실수한 부분이 있는데, 의미라는 용어를 2가지 측면에서 사용했습니다. 첫째는 재료를 통해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입니다. 둘째는, 재료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떤 역할로 쓰이는가? 입니다. 그런점에서 용어 사용에 잘못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서 전술적 승리는 전략적 승리의 재료이죠. 그러나 그 의미를 따져볼 때, 재료가 곧 의미를 말한다고 말할 수 없죠. 위의 비유로 말하자면, 전술적 승리가 전략적 승리라고 말할 수 없다는겁니다. 물론 논란이 많이 되고 있지만, 그 예로 들어지는게, 북아프리카에서 벌어진 롬멜의 사막전입니다. 롬멜의 전술적으로 승리하였지만, 그 승리가 도리어 전략적 측면에서 악재로 작용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의미적인 측면에서, 롬멜은 그저 연합군과 가볍게 놀아주기만 했었다면 더 낳았을지도 모릅니다.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롬멜의 승리라는 재료는 제 역할을 못한겁니다. 혹은 히틀러가 그 재료를 잘 활용 못한것이고요.
이런 측면에서 의미와 재료라는 용어가 무형, 유형전력이란 용어와 다르다고 생각하며...그런 점에서 의미와 재료는 충분히 분리시켜서 생각해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p.s. 위에서 말한 무형전력도 결국 재료에 속한게 아닐까요...그 관점에서 따라서, 전술적 승리나 장군의 유능함도 재료라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 크게 말하면 전쟁 자체가 재료일 수도 있습니다. 그건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에 나와있다고 하더군요.
88밀리 포를 대전차용으로 사용한 것은 롬멜장군이 먼저 한 일이 아닙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그가능성은 논의되어 왔으며, 프랑스전때 정면 장갑 80밀리의 전차를 가진 영국군과 대적하면서 처음 사용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무렵에야 전차전용의 가능성을 장군들에게 인식시켰다고 합니다.
다만 이때는 임시 방편 성격이 강했으나 롬멜장군은 여기에 그 가능성을 높이 사 대전차 전용으로 조직적으로 사용한 것입니다. 물론 이 경향은 롬멜이 최초라기 보다는 독일군 전체에 해당되는 사항입니다. 독일군은 화려한 전차군단의 이미지와 달리 빈약한 전차 세력으로 항상 강력한 전차 들을 다수 지닌 집단과 대결해야 했기 때문에 88밀리 포의 대전차화는 누구의 생각 변경이 아니라 필연적인 일이었습니다. 심지어는 군단화력지원으로 이용되던 105밀리 캐논까지도 대전차전용으로 전용된 사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