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리터리/역사 포럼
밀리터리, 군사 과학, 그리고 역사와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좋아하는 분들을 위한 게시판.
역사 속의, 또는 현대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들과 관련한 뉴스 이외에 국내 정치 논쟁에 대한 이야기는 삼가해 주십시오.
역사 속의, 또는 현대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들과 관련한 뉴스 이외에 국내 정치 논쟁에 대한 이야기는 삼가해 주십시오.
글 수 3,531
http://rifle.defence.co.kr/marion/mil/mil05.htm링크했습니다. 출처는 디펜스코리아입니다.
글에서 말하듯이 방탄복의 원래 목적은 각 폭탄의 파편을 방어하기 위함입니다.
혹시나 해서 얘기하는데 소총탄의 위력보다 파편의 위력이 더 세다고 생각하시는건 아니겠지요?
간단히 말하자면 각종 수류탄 유탄 대인지뢰 크레모아 박격포탄 야포탄 각 탄의 유효 살상반경이 있습니다. 대부분 폭심으로부터 반경 십몇미터에서 몇십미터입니다.
그 살상반경이 소총의 유효사거리보다 긴게 있습니까?
사람에게 위협적인 능력을 가지고 몇백미터를 날아가는 쇳덩이와 같은 능력을 가지고 몇십미터를 날아가는 쇳덩이
그러니까 몇백미터를 날아가는 쇳덩이를 막는 방어력에 몇십미터를 날아가는 쇳덩이가 위협이 되겠습니까.
글에서 나오는 미국 NIJ레벨이 방탄복 규격입니다.
1, 2A, 2, 3A, 3, 4 이렇게 6단계가 있고
1부터 3A까지는 방탄복자체의 방어력이고 3과4는 3A에 방탄판을 추가합니다.
각 규격의 테스트는 각 탄을 5미터 거리 내에서 표의 탄자속도와 동일하게 발사하여 측정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구경의 동일한 무게의 탄자가 더 먼거리에서 발사되어 탄자속도가 떨어지면서 날아와서 명중한다면 방탄이 더 잘 되는겁니다.
1인치가 25.4미리고 cal.50은 구경이 0.5인치(12.7미리)입니다. 30은 cal.30이며 구경이 0.3인치(7.62미리)입니다. 권총구경 역시도 38리볼버, 44매그넘, 콜트45 각 0.38, 0.44, 0.45인치 구경 입니다.
현재 미군 제식 신형 방탄헬멧은 NIJ 레벨 3A입니다.
글에서 말하듯이 방탄복의 원래 목적은 각 폭탄의 파편을 방어하기 위함입니다.
혹시나 해서 얘기하는데 소총탄의 위력보다 파편의 위력이 더 세다고 생각하시는건 아니겠지요?
간단히 말하자면 각종 수류탄 유탄 대인지뢰 크레모아 박격포탄 야포탄 각 탄의 유효 살상반경이 있습니다. 대부분 폭심으로부터 반경 십몇미터에서 몇십미터입니다.
그 살상반경이 소총의 유효사거리보다 긴게 있습니까?
사람에게 위협적인 능력을 가지고 몇백미터를 날아가는 쇳덩이와 같은 능력을 가지고 몇십미터를 날아가는 쇳덩이
그러니까 몇백미터를 날아가는 쇳덩이를 막는 방어력에 몇십미터를 날아가는 쇳덩이가 위협이 되겠습니까.
글에서 나오는 미국 NIJ레벨이 방탄복 규격입니다.
1, 2A, 2, 3A, 3, 4 이렇게 6단계가 있고
1부터 3A까지는 방탄복자체의 방어력이고 3과4는 3A에 방탄판을 추가합니다.
각 규격의 테스트는 각 탄을 5미터 거리 내에서 표의 탄자속도와 동일하게 발사하여 측정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구경의 동일한 무게의 탄자가 더 먼거리에서 발사되어 탄자속도가 떨어지면서 날아와서 명중한다면 방탄이 더 잘 되는겁니다.
1인치가 25.4미리고 cal.50은 구경이 0.5인치(12.7미리)입니다. 30은 cal.30이며 구경이 0.3인치(7.62미리)입니다. 권총구경 역시도 38리볼버, 44매그넘, 콜트45 각 0.38, 0.44, 0.45인치 구경 입니다.
현재 미군 제식 신형 방탄헬멧은 NIJ 레벨 3A입니다.
sf에 관심이 많은 평범한 대한민국 남자

총탄을 막는 것과 파편을 막는 것은 엄연히 다른 것입니다.
총탄은 강력한 위력을 보이지만 단 1-2발 정도입니다. 게다가 날카롭지도 않지요. 이에 반해 파편은 한번 폭발에 수백개가 날아오며, 모양도 가지각색에 속도도 다르며, 날카롭습니다. 근처에 총탄이 날아오는 경우와, 근처에 방어용 파편수류탄이 터졌을 때 어느 쪽이 더 위험한지는 잘 아시리라 믿습니다. 게다가 총탄보다는 파편이 더 많은 전투불능자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총탄을 막기 위한 방탄복은 파편등에 굉장히 취약합니다. 총탄은 막지만 화살에 뚫리는 경우도 있을 정도니까요. 따라서 파편까지 막는 방탄복은 더 두껍고 무겁습니다. 소재도 다르지요. 그리고 파편이나 검같은 날카로운 병기에서 몸을 지키는 방검복이라는 것이 따로 있습니다.
단언하건데, 총탄은 정조준해서 날아오던지, 아니면 난사할 때가 무서운 것이지, 근처에 1-2발 떨어지는 정도로는 수류탄 터지는 것보다 위협이 되지 않습니다. 단순히 세고 멀리 날아가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총탄은 강력한 위력을 보이지만 단 1-2발 정도입니다. 게다가 날카롭지도 않지요. 이에 반해 파편은 한번 폭발에 수백개가 날아오며, 모양도 가지각색에 속도도 다르며, 날카롭습니다. 근처에 총탄이 날아오는 경우와, 근처에 방어용 파편수류탄이 터졌을 때 어느 쪽이 더 위험한지는 잘 아시리라 믿습니다. 게다가 총탄보다는 파편이 더 많은 전투불능자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총탄을 막기 위한 방탄복은 파편등에 굉장히 취약합니다. 총탄은 막지만 화살에 뚫리는 경우도 있을 정도니까요. 따라서 파편까지 막는 방탄복은 더 두껍고 무겁습니다. 소재도 다르지요. 그리고 파편이나 검같은 날카로운 병기에서 몸을 지키는 방검복이라는 것이 따로 있습니다.
단언하건데, 총탄은 정조준해서 날아오던지, 아니면 난사할 때가 무서운 것이지, 근처에 1-2발 떨어지는 정도로는 수류탄 터지는 것보다 위협이 되지 않습니다. 단순히 세고 멀리 날아가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morshyla님 파편의 위력이 일반 9미리 권총탄보다 약하다는건 일반적 사실이며
방탄복의 최초는 파편으로부터의 보호이며 그 기본에 더하여 총탄을 막는 방어력을 가지기 시작했다는것이 일반적 사실입니다. 밀리터리에 관심이 많으시며 혹 디펜스코리아의 회원이시라면 그쪽에다 한번 물어보시거나 시간을 조금 투자하셔서 다른 밀리터리정보쪽으로 알아보신다면 알게되실것 같습니다.
방탄복의 최초는 파편으로부터의 보호이며 그 기본에 더하여 총탄을 막는 방어력을 가지기 시작했다는것이 일반적 사실입니다. 밀리터리에 관심이 많으시며 혹 디펜스코리아의 회원이시라면 그쪽에다 한번 물어보시거나 시간을 조금 투자하셔서 다른 밀리터리정보쪽으로 알아보신다면 알게되실것 같습니다.
파편이 위협적일때는 그 파편으로부터 방호해줄 엄폐물이 전혀 없을때 입니다. 방탄복과 철모는 입고 다니는 엄폐물 역활을 해주면서 피해를 줄입니다.
파편식 무기를 개발할때 요점은 인간을 살상할수있는 최소 사이즈 파편을 얼마나 많이 발생시키느냐이지 파편이 잘 관통하도록 관통의 요건인 "무겁고", "빠른속도"를 요구하는것이 아니므로 보통 1그램단위의 파편이 최대한 많이 비산하도록 제작합니다. 사실 사방으로 비산하도록 에너지를 흩뿌리는데 그게 속도가 빠를리는 없겠죠.
그리고 보통 관통력이 좋은 무기는 살상력이 떨어집니다.
파편식 무기를 개발할때 요점은 인간을 살상할수있는 최소 사이즈 파편을 얼마나 많이 발생시키느냐이지 파편이 잘 관통하도록 관통의 요건인 "무겁고", "빠른속도"를 요구하는것이 아니므로 보통 1그램단위의 파편이 최대한 많이 비산하도록 제작합니다. 사실 사방으로 비산하도록 에너지를 흩뿌리는데 그게 속도가 빠를리는 없겠죠.
그리고 보통 관통력이 좋은 무기는 살상력이 떨어집니다.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시는군요. -.-
총탄은 적이 나보다 3배 이상 많고, 엄폐물이 없는 지역에서 적이 자동화기를 들었을 때 날아오는 총탄수만큼의 파편이 1발의 수류탄만으로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파편이 총탄처럼 1-2개 날아오면 그걸 누가 무서워하겠습니까? 근거리에서 예측불허하게 동시에 다량으로 발생하니까 위험한거죠. -.-
물론 방탄복의 기본은 파편을 막는 것이지만, 총탄을 막기 위해 특화된 결과 현재는 상당수의 방탄복이 파편을 막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어렵게 사이트 찾을 필요도 없이 활로 방탄복을 관통하는 실험을 최근에 스펀지라는 텔레비젼 프로가 방영했으니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
총탄은 적이 나보다 3배 이상 많고, 엄폐물이 없는 지역에서 적이 자동화기를 들었을 때 날아오는 총탄수만큼의 파편이 1발의 수류탄만으로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파편이 총탄처럼 1-2개 날아오면 그걸 누가 무서워하겠습니까? 근거리에서 예측불허하게 동시에 다량으로 발생하니까 위험한거죠. -.-
물론 방탄복의 기본은 파편을 막는 것이지만, 총탄을 막기 위해 특화된 결과 현재는 상당수의 방탄복이 파편을 막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어렵게 사이트 찾을 필요도 없이 활로 방탄복을 관통하는 실험을 최근에 스펀지라는 텔레비젼 프로가 방영했으니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시는건 morshyla 님 같습니다만...
근거리에서 예측 불허라고 하시는데...
그런 예측불허로 발생한 파편이 도대체 어디 맞을줄 알고 그게 효과가 크다고 생각하십니까? 기껏 터트렸더니 흙만 뿌리고 1명도 못죽이는일이 비일비제 하지요 박격포는 그나마 낫습니다만, 포병 포탄의 경우 낙하각과 탄속의 문제로 생각만큼 멋지게 파편이 튀어주지 않습니다. 게다가 목표 근방엔 맞지만 정확히 맞지도 않습니다.
단순히 치명타를 입을 부위만 보호해줘도 팔다리에만 맞음으로써 생명에 손상이 안갈수있고 운이 좋으면 그대로 전장에서 임무를 수행할수도 있읍니다. 적절한 참호를 확보 못했더라도 땅에 엎드려 있음으로써 몸통과 머리만을 파편보호 해줘도 파편의 피해는 급격하게 떨어집니다. 그 때문에 공중 폭발을 노리지만 그것도 마음대로 되는것은 아닙니다.
더군다나 모든 포격은 일시에 대량으로 해야만 효과가 있다는것만 봐도 감이오지 않습니까?
스펀지라는 텔레비젼 프로에서 쓰인 방탄복 규격 자료같은게 있읍니까? 방탄복이 덜렁 1종류인줄 아십니까? 또한 얼마나 거리를 두고했는지 모르지만 모든 발사형 무기는 거리에 따라 위력이 다릅니다. 재대로된 실험의 절차같은걸 지켰을리 없는 텔레비젼 프로를 근거로 삼는건 너무 빈약합니다.
더군다나 파편은 화살이 아닙니다.
화살은 총알보다 무겁고 약한 화력의 총보단 훨씬 강한 위력을 가진 무기입니다. 그런걸 근거리에서 날리면 권총탄이나 막는 저급한 방탄복일때 무슨수로 그걸 막겠습니까?
도대체 뭘 근거로 남에게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고 하시는 겁니까?
근거리에서 예측 불허라고 하시는데...
그런 예측불허로 발생한 파편이 도대체 어디 맞을줄 알고 그게 효과가 크다고 생각하십니까? 기껏 터트렸더니 흙만 뿌리고 1명도 못죽이는일이 비일비제 하지요 박격포는 그나마 낫습니다만, 포병 포탄의 경우 낙하각과 탄속의 문제로 생각만큼 멋지게 파편이 튀어주지 않습니다. 게다가 목표 근방엔 맞지만 정확히 맞지도 않습니다.
단순히 치명타를 입을 부위만 보호해줘도 팔다리에만 맞음으로써 생명에 손상이 안갈수있고 운이 좋으면 그대로 전장에서 임무를 수행할수도 있읍니다. 적절한 참호를 확보 못했더라도 땅에 엎드려 있음으로써 몸통과 머리만을 파편보호 해줘도 파편의 피해는 급격하게 떨어집니다. 그 때문에 공중 폭발을 노리지만 그것도 마음대로 되는것은 아닙니다.
더군다나 모든 포격은 일시에 대량으로 해야만 효과가 있다는것만 봐도 감이오지 않습니까?
스펀지라는 텔레비젼 프로에서 쓰인 방탄복 규격 자료같은게 있읍니까? 방탄복이 덜렁 1종류인줄 아십니까? 또한 얼마나 거리를 두고했는지 모르지만 모든 발사형 무기는 거리에 따라 위력이 다릅니다. 재대로된 실험의 절차같은걸 지켰을리 없는 텔레비젼 프로를 근거로 삼는건 너무 빈약합니다.
더군다나 파편은 화살이 아닙니다.
화살은 총알보다 무겁고 약한 화력의 총보단 훨씬 강한 위력을 가진 무기입니다. 그런걸 근거리에서 날리면 권총탄이나 막는 저급한 방탄복일때 무슨수로 그걸 막겠습니까?
도대체 뭘 근거로 남에게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고 하시는 겁니까?
저기요 화살은 틀려요.. 뭐냐면 화살하고 총알은 비교의 대상이 아니거든요.. 제가 링크한 글을 앍어봐도 화살이나 칼 뾰족한물건 등으로 찌르면 방탄복은 당연히 뚫린다고 써있거든요.. 그게 뚫리는건 당연해요
덧붙여 설명하면 군에서 모래자루 쌓아놓잖아요.. 그게 폼은 아니거든요 그 모래자루 하나 놓고 총을쏘면 모래자루 관통못해요..
근데 화살을 쏘면 그 모래자루 관통되거든요.. 그게 뭐냐면 화살은 길잖아요 그러니까 화살촉부터 화살 끝까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촉이 뭔가에 닿아도 뒤에서 계속 밀어주거든요 그래서 화살이란 물건이 관통력이 엄청나거든요
근데 그 모래자루 하나를 총알은 관통못해요.. 근데요 수류탄 파편도 마찬가지로 모래자루 관통도 못하거든요
게다가 월남전이든 2차대전이든 군바리 있는곳에 모래자루는 빠지지 않거든요 진지를 구축할때도 쓰고 전차에도 올려놓고 트력에 쫘악 두르기도 하거든요.. 웬만한 포탄 파편도 그 모래자루가 무지 잘 막아요...
그래서 사막에서 모래자루로 진지를 구축하면 포사격에도 견디거든요...
근데 그 모래자루를 화살은 관통을 해요.. 그러니까 화살하고 파편은 비교대상이 절대로 될수없답니다.
혹 그래도 비교하고 싶으시면 일반 화살과 똑같이 생긴 파편을 알려주세요 그럼 제가 방탄복이 파편을 견딘다는 글은 잘못된 글이라고 공개 사과 할께요..
* 조금은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서 문체를 바꿔봤습니다. 혹 눈에 거슬린다거나 심기가 불편하다거나 무시당하는것 같다면 말씀하세요 바꾸겠습니다.
덧붙여 설명하면 군에서 모래자루 쌓아놓잖아요.. 그게 폼은 아니거든요 그 모래자루 하나 놓고 총을쏘면 모래자루 관통못해요..
근데 화살을 쏘면 그 모래자루 관통되거든요.. 그게 뭐냐면 화살은 길잖아요 그러니까 화살촉부터 화살 끝까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촉이 뭔가에 닿아도 뒤에서 계속 밀어주거든요 그래서 화살이란 물건이 관통력이 엄청나거든요
근데 그 모래자루 하나를 총알은 관통못해요.. 근데요 수류탄 파편도 마찬가지로 모래자루 관통도 못하거든요
게다가 월남전이든 2차대전이든 군바리 있는곳에 모래자루는 빠지지 않거든요 진지를 구축할때도 쓰고 전차에도 올려놓고 트력에 쫘악 두르기도 하거든요.. 웬만한 포탄 파편도 그 모래자루가 무지 잘 막아요...
그래서 사막에서 모래자루로 진지를 구축하면 포사격에도 견디거든요...
근데 그 모래자루를 화살은 관통을 해요.. 그러니까 화살하고 파편은 비교대상이 절대로 될수없답니다.
혹 그래도 비교하고 싶으시면 일반 화살과 똑같이 생긴 파편을 알려주세요 그럼 제가 방탄복이 파편을 견딘다는 글은 잘못된 글이라고 공개 사과 할께요..
* 조금은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서 문체를 바꿔봤습니다. 혹 눈에 거슬린다거나 심기가 불편하다거나 무시당하는것 같다면 말씀하세요 바꾸겠습니다.
제가 아는한...
화살이 길어서 뒤에 밀어주는 힘 때문에 잘뚫는게 아니라 총 중량이 총알보다 무겁습니다. 또한 화살촉은 총알과 달리 날카롭고 뽀족하며 납으로 되어있어 충돌시 머쉬루밍이 일어나는 총탄과 달리 형상을 유지하죠. 총알도 철제 탄심을 가진 철갑탄은 저급한 방탄복을 뚫습니다. 통짜 구리나 알루미늄에 테플론 코팅을 한 탄환도 마찬가지구요. 하지만 세라믹 플레이트로 보강된 경우 충분히 견뎌내는 방탄복도 있읍니다.
모래주머니와 콘크리트 블럭으로 보강된 진지도 철갑탄이나 기관총탄엔 뚫립니다.
관통력은 무게와 속도 그리고 강도에 관련이 있는데 속도는 딸리지만 무게와 강도는 절대 밀리지 않거든요. 관통력에 있어서 속도가 가장 중요하긴 합니다만...
파편을 만드는 박격포탄이나 포탄은 탄두의 강도가 그다지 높지않습니다. 지나치게 단단하면 파편이 생겨 비산하기 힘들기 때문에... 포신내 압력이 낮은 박격포탄이 그만큼 연한 금속을 사용할수 있고 포병 포탄에 비해 파편이 그만큼 더 잘생깁니다.
또한 파편은 가능한 많이 비산할수록 빈공간이 줄어들고 피해를 크게 할수있기 때문에 다른 목적이 있는것이 아닌한 인마살상용은 살상에 필요한 최소사이즈와 중량으로 최대한 많이 생기도록 만듭니다. 그리고 형상도 그다지 고르지 못하고 날카로운 부분이 목표를 향할 가능성도 없죠.
게다가 파편은 360도 전방향으로 비산하기 때문에 파편 개개의 에너지 수준과 속도는 높아질수가 없읍니다.
이상 3가지가 관통력이 떨어지는 이유구요.
덤으로 박격포탄은 낙하각도가 수직에 가깝기 때문에 360도로 "비교적" 고르게 비산하지만 포병 포탄은 낙하각이 낮은데다 속도가 빨라서 하트모양에 가깝게 비산하고 많은 파편이 땅속에 박힙니다.
공중 폭발이 좋기 때문에 다양한 지연신관을 써서 공중 폭발을 시키지만 저래도 충분히 방호된 상태의 적병(적절한 덮개만 있으면 되죠.)에겐 큰 피해를 줄수 없읍니다.
파편은 사람 몸을 뚫지 못합니다. 수류탄같은것을 몸으로 덮어 동료가 다치는걸 막았다는 얘기 들어보신적 있을겁니다. 2차대전 참호속에서 포격을 견딜때 얼어붙은 시체로 참호위를 덮어 포격을 버틴 이야기도 있구요. 물론 직격으로 맞아버리면 소용없지만 파편 자체는 그만큼 살상력이 좋다고 할수 없읍니다. 서있으면 모르겟지만 그것도 생물의 경우지요.
언어는 인간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7% 정도인가 밖에 전달 못한답니다. 그걸 가지고 쉽사리 신경질을 부리고 뒤집어 엎는다는건 좋지 못하겠죠. 그걸로 사람 매장 시켜버릴려고 하는것두요.
화살이 길어서 뒤에 밀어주는 힘 때문에 잘뚫는게 아니라 총 중량이 총알보다 무겁습니다. 또한 화살촉은 총알과 달리 날카롭고 뽀족하며 납으로 되어있어 충돌시 머쉬루밍이 일어나는 총탄과 달리 형상을 유지하죠. 총알도 철제 탄심을 가진 철갑탄은 저급한 방탄복을 뚫습니다. 통짜 구리나 알루미늄에 테플론 코팅을 한 탄환도 마찬가지구요. 하지만 세라믹 플레이트로 보강된 경우 충분히 견뎌내는 방탄복도 있읍니다.
모래주머니와 콘크리트 블럭으로 보강된 진지도 철갑탄이나 기관총탄엔 뚫립니다.
관통력은 무게와 속도 그리고 강도에 관련이 있는데 속도는 딸리지만 무게와 강도는 절대 밀리지 않거든요. 관통력에 있어서 속도가 가장 중요하긴 합니다만...
파편을 만드는 박격포탄이나 포탄은 탄두의 강도가 그다지 높지않습니다. 지나치게 단단하면 파편이 생겨 비산하기 힘들기 때문에... 포신내 압력이 낮은 박격포탄이 그만큼 연한 금속을 사용할수 있고 포병 포탄에 비해 파편이 그만큼 더 잘생깁니다.
또한 파편은 가능한 많이 비산할수록 빈공간이 줄어들고 피해를 크게 할수있기 때문에 다른 목적이 있는것이 아닌한 인마살상용은 살상에 필요한 최소사이즈와 중량으로 최대한 많이 생기도록 만듭니다. 그리고 형상도 그다지 고르지 못하고 날카로운 부분이 목표를 향할 가능성도 없죠.
게다가 파편은 360도 전방향으로 비산하기 때문에 파편 개개의 에너지 수준과 속도는 높아질수가 없읍니다.
이상 3가지가 관통력이 떨어지는 이유구요.
덤으로 박격포탄은 낙하각도가 수직에 가깝기 때문에 360도로 "비교적" 고르게 비산하지만 포병 포탄은 낙하각이 낮은데다 속도가 빨라서 하트모양에 가깝게 비산하고 많은 파편이 땅속에 박힙니다.
공중 폭발이 좋기 때문에 다양한 지연신관을 써서 공중 폭발을 시키지만 저래도 충분히 방호된 상태의 적병(적절한 덮개만 있으면 되죠.)에겐 큰 피해를 줄수 없읍니다.
파편은 사람 몸을 뚫지 못합니다. 수류탄같은것을 몸으로 덮어 동료가 다치는걸 막았다는 얘기 들어보신적 있을겁니다. 2차대전 참호속에서 포격을 견딜때 얼어붙은 시체로 참호위를 덮어 포격을 버틴 이야기도 있구요. 물론 직격으로 맞아버리면 소용없지만 파편 자체는 그만큼 살상력이 좋다고 할수 없읍니다. 서있으면 모르겟지만 그것도 생물의 경우지요.
언어는 인간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7% 정도인가 밖에 전달 못한답니다. 그걸 가지고 쉽사리 신경질을 부리고 뒤집어 엎는다는건 좋지 못하겠죠. 그걸로 사람 매장 시켜버릴려고 하는것두요.

모쉴라님 이야기가 맞다면 파편을 방호하는 방탄복은 총탄도 방호 가능하다는 이야기인데...
전 한국군의 구형과 신형 방탄복을 모두 착용하고 군생활을 했습니다.(그림 게시판에서 제 아이디로 검색해 보시면 모양이 나옵니다. 전 밀리터리에 문외한이라 이름이나 종류는 잘 모르거든요,.)
보면, 신형의 경우는 명백히 ' 방탄복, 파편용.'이라고 되어 있고 취급 사항에 세탁등에 관한것 외에 '이 방탄복은 근거리에서 비산하는 파편에만 유효하며 소화기의 화력에 대해서는 방호 효과가 없음' 이라는 내용이 써 있더군요.
구형의 경우는 그런 이야기는 써 있지 않았으나 심장 부위에 뭔가 딱딱한 플레이트가 들어가 있었고 교육시에도 '공중 파편비산 대인지뢰(M-14였던가요?)에 의한 치명상을 막기 위한 것이지 총탄을 막을 수는 없으므로 오해하지 말라'는 교육을 병기관에게 받았습니다.
전 한국군의 구형과 신형 방탄복을 모두 착용하고 군생활을 했습니다.(그림 게시판에서 제 아이디로 검색해 보시면 모양이 나옵니다. 전 밀리터리에 문외한이라 이름이나 종류는 잘 모르거든요,.)
보면, 신형의 경우는 명백히 ' 방탄복, 파편용.'이라고 되어 있고 취급 사항에 세탁등에 관한것 외에 '이 방탄복은 근거리에서 비산하는 파편에만 유효하며 소화기의 화력에 대해서는 방호 효과가 없음' 이라는 내용이 써 있더군요.
구형의 경우는 그런 이야기는 써 있지 않았으나 심장 부위에 뭔가 딱딱한 플레이트가 들어가 있었고 교육시에도 '공중 파편비산 대인지뢰(M-14였던가요?)에 의한 치명상을 막기 위한 것이지 총탄을 막을 수는 없으므로 오해하지 말라'는 교육을 병기관에게 받았습니다.
주특기가 지뢰매설이었던 제 기억이 맞다면 공중 파편비산 대인지뢰는 아마도 M16A1일듯 하군요.
공중도약폭발식이라고 나쁜녀석들2의 마지막 장면에 나오는 지뢰, 에너미 라인스에 나오는 지뢰가 이것에 속합니다. 참고로 M14는 일명 '발목지뢰'라 불리는 소형의 플라스틱 지뢰입니다.
지뢰 소대에 분대장까지 역임했던 전 그 두꺼븐 교본을 달달 외울 수 밖에 없었습니다. 지뢰 소요량부터
지대구성, 배치까지 했으니... 원래 소대장이 하는거란 말이닷! 오뚜기 미워~
공중도약폭발식이라고 나쁜녀석들2의 마지막 장면에 나오는 지뢰, 에너미 라인스에 나오는 지뢰가 이것에 속합니다. 참고로 M14는 일명 '발목지뢰'라 불리는 소형의 플라스틱 지뢰입니다.
지뢰 소대에 분대장까지 역임했던 전 그 두꺼븐 교본을 달달 외울 수 밖에 없었습니다. 지뢰 소요량부터
지대구성, 배치까지 했으니... 원래 소대장이 하는거란 말이닷! 오뚜기 미워~
케블라 3급 이상에 세라믹판을 2개 부착하는 경우가 있지요.
하지만 이것은 비싸고 머리에 맞으면 그만인 경우가 있지요. -_-
(아니면 폭탄이 근처에 떨어지면 그만)
방'피탄'복은 수류탄이 터질시 유탄조각이 제 2차 사상자를 발생시키는것을 막기 위한것입니다.
어짜피 부상당할것 2차 사상자는 막자는 취지이지요.
(훨씬 가볍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