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리터리/역사 포럼
밀리터리, 군사 과학, 그리고 역사와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좋아하는 분들을 위한 게시판.
역사 속의, 또는 현대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들과 관련한 뉴스 이외에 국내 정치 논쟁에 대한 이야기는 삼가해 주십시오.
역사 속의, 또는 현대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들과 관련한 뉴스 이외에 국내 정치 논쟁에 대한 이야기는 삼가해 주십시오.
글 수 3,531

저는 현역 시절 군견반에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군견반은 헌병대 소속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군부대 안에 5 마리 이상의 군견이 있으면 헌병대에 배치>가 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군견병이 아닌 헌병으로 오해받습니다. 헬멧, 견식줄, 완장, 반도를 두른 <멋있는 헌병>으로 말이죠. (원래는 개의 털을 날리는 병과이건만)
헌병은 군기를 잡는다곤 하지만, 군기카드는 구경만 해 봤습니다. 물론 교통정리도 어설프게 해봤고요. 폭발물이나 범인 추적이 군견반의 임무죠. 하는 일이 이렇게나 다른데 꼭 같은 병과에 있어야 하는지 의문입니다. 조직을 좀 더 세분화하는 것이 도움이 될 텐데 말입니다.
군견병은 군견과 친숙해지는 것이 필수입니다. 이건 단기간의 교육이나 훈련으로 되는 일이 아니죠. 초소 근무 요령은 외우고 배울 수 있지만, 친숙은 외우거나 배운다고 되지 않습니다. 군견은 단순한 무기가 아니라 살아있는 동물이니까요. 헌병대와 군견반을 따로 편성하면 둘의 발전에 좀 더 이롭다고 봅니다.
※ 위의 사진은 스위스 군견병이라는군요. 이곳에선 군견반과 헌병대가 다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저는 현역 시절 군견반에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군견반은 헌병대 소속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군부대 안에 5 마리 이상의 군견이 있으면 헌병대에 배치>가 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군견병이 아닌 헌병으로 오해받습니다. 헬멧, 견식줄, 완장, 반도를 두른 <멋있는 헌병>으로 말이죠. (원래는 개의 털을 날리는 병과이건만)
헌병은 군기를 잡는다곤 하지만, 군기카드는 구경만 해 봤습니다. 물론 교통정리도 어설프게 해봤고요. 폭발물이나 범인 추적이 군견반의 임무죠. 하는 일이 이렇게나 다른데 꼭 같은 병과에 있어야 하는지 의문입니다. 조직을 좀 더 세분화하는 것이 도움이 될 텐데 말입니다.
군견병은 군견과 친숙해지는 것이 필수입니다. 이건 단기간의 교육이나 훈련으로 되는 일이 아니죠. 초소 근무 요령은 외우고 배울 수 있지만, 친숙은 외우거나 배운다고 되지 않습니다. 군견은 단순한 무기가 아니라 살아있는 동물이니까요. 헌병대와 군견반을 따로 편성하면 둘의 발전에 좀 더 이롭다고 봅니다.
※ 위의 사진은 스위스 군견병이라는군요. 이곳에선 군견반과 헌병대가 다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