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 과학 포럼
SF 속의 상상 과학과 그 실현 가능성, 그리고 과학 이야기.
SF 작품의 가능성은 어떻게 펼쳐질 수 있을까요? 그리고 어떤 상상의 이야기가 가능할까요?
SF에 대한 가벼운 흥미거리에서부터 새로운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에 이르기까지...
여기는 과학 소식이나 정보를 소개하고, SF 속의 아이디어나 이론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상상의 꿈을 키워나가는 곳입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나 덧글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SF 작품의 가능성은 어떻게 펼쳐질 수 있을까요? 그리고 어떤 상상의 이야기가 가능할까요?
SF에 대한 가벼운 흥미거리에서부터 새로운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에 이르기까지...
여기는 과학 소식이나 정보를 소개하고, SF 속의 아이디어나 이론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상상의 꿈을 키워나가는 곳입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나 덧글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글 수 8,078
스타트렉의 두번째 시리즈인 스타트렉: 넥스트 제너레이션 시리즈(이하 TNG)의 가장 인기있는 케릭터하면 뭐니뭐니해도 피카드 선장과 데이타 소령이 아니겠습니까. 과거의 커크 선장과 스팍처럼 TNG 스토리 전개에 주축을 이루는 캐릭터이지요. 그 두사람이 주인공인 에피소드도 상당히 많구요. TNG 전반의 흐름을 이끄는 케릭터들입니다.
Measure Of Man는 인간이 아니라 안드로이드인 데이타의 에피소드입니다. 시즌 초반에 방영된 에피소드이지만 TNG 전반을 통틀어 명작 에피소드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상당히 철학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자칫 엄청나게 지루하고 난해해질수 있는 주제를 훌륭한 법정 드라마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데이타 소령이 처한 상황에서 등장하는 여러 의문들을 통해서 결국 궁극적으로 작가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는 결국 "인간이란 무엇인가, 지적인 생명체란 무엇인가?"인 것 같습니다. 이 에피소드가 아마 데이타의 안드로이드로써의 정체성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룬 첫번째 에피소드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 후로 데이타에 관련된 철학적이고 감동적인 에피소드들이 많이 방영되었고, 대부분이 명작 에피소드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게다가 주요 스토리로 다루지는 않더라도 데이타는 항상 인간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탐구하고 자신을 감정을 가진 인간으로 한단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러면서 데이타는 승무원들과 시청자들에게 상당히 골치아픈 질문들을 줄기차게 던집니다.
Measure Of Man에서는 나름대로 해결책을 제시하므로써 데이타는 연방의 사유 재산이 아닌 지적인 생명체로써 권리를 인정받고 겨우 위기 상황을 벗어나게 됩니다. 내용 자체는 뻔하게 전개되는 에피소드이지만 보는 내내 긴장감을 유지시킵니다.
현재의 과학 기술로 미루어 봤을때 인공 생명체의 정체성 문제나 인간과 지적 생명체의 기준에 대한 논의들은 아직 너무 이른 이야기인것 같습니다. 그저 SF 영화나 소설에나 사용될 정도로만 여겨지는 주제들이지만 앞으로 로봇과 안드로이드, 사이보그가 상용화될 그런 미래 사회가 온다면 이러한 의문들은 결국 상당히 큰 사회적인 이슈가 될겁니다. 한때 생명 과학과 관련해서 인간과 생명체의 복제와 관련한 윤리적인 문제가 한참 사회적으로 화자될 때처럼 말이죠.
스타트렉 시리즈는 다른 SF 시리즈들에 비교해 봤을때 상당한 선경지명을 가진 에피소드가 많은 시리즈인것 같습니다. 데이타가 평생동안 끊임없이 묻고 탐구하는 인간성과 생명에 관한 의문은 어쩌면 데이타가 아닌 바로 우리 자신이 가져야 할 의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과연 무엇이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는 걸까요? 과연 인간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우리가 걷고 있는 이 길을 한번 돌이켜 봤을때 과연 인간으로써, 지구의 지적인 생명체로써 우리들은 올바른 걸어 가고 있다고 볼수 있을까요? 이 거대한 우주 속에서 지적인 생명체로써 우리 인간은 앞으로 어떠한 길을 나아가야 할까요? 현재 우리들의 행보는 과연 지적인 생명체라는 기준에 적합한 것들이었는지, 지적 생명체로써 옳은 행동들을 해왔는지 반성하고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지, 인간으로써 앞으로 어떠한 길을 나아가야할지 지금 이 시점에서, 한번쯤은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할 문제인 것 같습니다.
사족) 요즘은 집에서 할일도 없고ㅜㅜ TNG의 몇몇 에피소드들을 다시 보는 중인데, 다른 스타트렉의 시리즈와는 달리 TNG는 몇번을 봐도 질리지 않는 명작 에파소드들이 참 많은 시리즈인것 같습니다. DS9와 VOY도 매우 좋아하지만, 왠지 그것들은 다시 보게 되지는 않더군요..
Measure Of Man는 인간이 아니라 안드로이드인 데이타의 에피소드입니다. 시즌 초반에 방영된 에피소드이지만 TNG 전반을 통틀어 명작 에피소드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상당히 철학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자칫 엄청나게 지루하고 난해해질수 있는 주제를 훌륭한 법정 드라마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데이타 소령이 처한 상황에서 등장하는 여러 의문들을 통해서 결국 궁극적으로 작가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는 결국 "인간이란 무엇인가, 지적인 생명체란 무엇인가?"인 것 같습니다. 이 에피소드가 아마 데이타의 안드로이드로써의 정체성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룬 첫번째 에피소드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 후로 데이타에 관련된 철학적이고 감동적인 에피소드들이 많이 방영되었고, 대부분이 명작 에피소드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게다가 주요 스토리로 다루지는 않더라도 데이타는 항상 인간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탐구하고 자신을 감정을 가진 인간으로 한단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러면서 데이타는 승무원들과 시청자들에게 상당히 골치아픈 질문들을 줄기차게 던집니다.
Measure Of Man에서는 나름대로 해결책을 제시하므로써 데이타는 연방의 사유 재산이 아닌 지적인 생명체로써 권리를 인정받고 겨우 위기 상황을 벗어나게 됩니다. 내용 자체는 뻔하게 전개되는 에피소드이지만 보는 내내 긴장감을 유지시킵니다.
현재의 과학 기술로 미루어 봤을때 인공 생명체의 정체성 문제나 인간과 지적 생명체의 기준에 대한 논의들은 아직 너무 이른 이야기인것 같습니다. 그저 SF 영화나 소설에나 사용될 정도로만 여겨지는 주제들이지만 앞으로 로봇과 안드로이드, 사이보그가 상용화될 그런 미래 사회가 온다면 이러한 의문들은 결국 상당히 큰 사회적인 이슈가 될겁니다. 한때 생명 과학과 관련해서 인간과 생명체의 복제와 관련한 윤리적인 문제가 한참 사회적으로 화자될 때처럼 말이죠.
스타트렉 시리즈는 다른 SF 시리즈들에 비교해 봤을때 상당한 선경지명을 가진 에피소드가 많은 시리즈인것 같습니다. 데이타가 평생동안 끊임없이 묻고 탐구하는 인간성과 생명에 관한 의문은 어쩌면 데이타가 아닌 바로 우리 자신이 가져야 할 의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과연 무엇이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는 걸까요? 과연 인간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우리가 걷고 있는 이 길을 한번 돌이켜 봤을때 과연 인간으로써, 지구의 지적인 생명체로써 우리들은 올바른 걸어 가고 있다고 볼수 있을까요? 이 거대한 우주 속에서 지적인 생명체로써 우리 인간은 앞으로 어떠한 길을 나아가야 할까요? 현재 우리들의 행보는 과연 지적인 생명체라는 기준에 적합한 것들이었는지, 지적 생명체로써 옳은 행동들을 해왔는지 반성하고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지, 인간으로써 앞으로 어떠한 길을 나아가야할지 지금 이 시점에서, 한번쯤은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할 문제인 것 같습니다.
사족) 요즘은 집에서 할일도 없고ㅜㅜ TNG의 몇몇 에피소드들을 다시 보는 중인데, 다른 스타트렉의 시리즈와는 달리 TNG는 몇번을 봐도 질리지 않는 명작 에파소드들이 참 많은 시리즈인것 같습니다. DS9와 VOY도 매우 좋아하지만, 왠지 그것들은 다시 보게 되지는 않더군요..
사실적인 묘사만큼이나 과학과 공존해야 하는 인간들의 고민이 담겨 있는 영화를 좋아합니다.
저는 아서 클라크를 너무 좋아합니다. 그가 그리는 우주는 사랑과 경이로움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의 이야기 안에서 만나는 외계의 존재들은 형용불가의 존재이면서, 그 이면에 인간에 대한 자애로움으로 가득 차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항상 인간은 그 존재를 따라잡으려 달려나갑니다. 데이빗 보우먼이 겪었던 (혹은 아직도 겪고 있을) '인류의 성장'이라던지, 라마를 만났을 당시에 압도당하며 느끼는 숭고함이라던지.. (아윽.. 여적껏 두편 밖에 못봤습니다. 하지만 금주중으로 '유년기의 끝'을 구하게 될 예정이라서.. 흐흐흣~), 그리고 '초신성' 이었던가.. 하는 단편에서는 (제 기억이 맞다면) 채 피어나기도 전에 사라져버린 외계 종족에 대한 안타까움, 인간 사회의 부조리에 대한 비탄... 인간에 대한 깊은 사색과 통찰이 없이는 그려낼 수 없는 최고의 '우주'를 묘사합니다.. 제가 느끼는 '인간', '지적 생명체'에 관한 나름의 해답은 그런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주적인 사랑이죠. (너무 애매한 단어이긴 합니다.) 어떤 자애로움이 있지 않다면, 서로에 대한 신뢰나 애정을 품지 못한다면 인류는 광막한 우주에서 외롭게 죽어갈지도 모릅니다.
흐.. 물론 '사랑'이나 '자애로움'이 '인간'의 본질적인 요소이냐, '인간'이거나 '지적생명체'를 설명하는데 그것만 있으면 충분하냐 (즉 필요충분조건이냐) 하는 구체적인 질문이 추가된다면 할 말 정말 없습니다. 아직 생각이 충분히 농익지 않아서 그럴 수도 있고, 최근에 너무 깊숙이 아서 클라크에 경도되어서 그럴 수도 있구요.. ^^;;
아주 오래전에 제목도 기억 안나는 어느 SF단편에서 외계인이 지구에 찾아와 마치 노아의 방주처럼 모든 생명체를 한쌍씩 납치(?)해서 동물원에 전시하듯 전시했다는 이야기를 본 기억이 나는군요. 거기서 인간은 자신이 다른 동물과는 달리 지적인 사고를 할 줄 아는 존재임을 이해시키기 위해 수없이 많은 방법을 동원했습니다. 수학적인 정리를 보여주기도 하고... (아.. 다음은 기억이..) 아무튼 갖가지 방법을 다 동원했지만, 외계인들은 인간이 지적생명체임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었죠. 거의 자포자기에 빠진 인간은 될대로 되라는 식으로 우리에 갖힌 동물처럼 멍하니 살다가, 어느 날 '인간'이란 팻말을 단 우리에 숨어들어온 생쥐 한마리를 붙잡아 기르기 시작합니다. 너무 무료했고 달리 할 일도 없었기 때문에.. 그러자 외계인은 황급히 인간을 풀어주며 사과를 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말했죠. "다른 동물을 잡아서 기르고 애정을 주는 것은 지적생명체라는 증거지요. 그 동안 알아차리지 못해서 정말 미안했습니다.." (아 그런데 혹시 이 단편의 제목과 작자를 아시는 분 계시나요? ^^;;)
아.. 음.. 글을 읽고 매우 멋진 주제라고 생각했습니다. 글도 너무 깔끔하게 잘 쓰셔서 늦은 밤 길게 주저리주저리 말이 많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