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검은 찌르기용, 도는 베기용


그런 구별 없습니다. 기병도라 불리는 샤벨(혹은 샤브르, 세이버)는 일본도보다 더 잘 찔러지고 더 잘 


베집니다. 물론 이 부분은 발달한 야금학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긴 합니다. 중세에 양날검들은 베기는 


물론 찌르기 역시 가능합니다. 중세 뿐만이 아니라 당나라/송나라/원나라 시대에 만들어진 검이나 도 등도 역시


벨 수도 있고 찌를 수도 있습니다. 그냥 무협 소설들이 낳은 잘못 된 지식입니다.


또, 외날은 도고 양날은 검이라는 것 역시 잘못된 상식입니다. :(



2. 중세의 검은 뭉툭하다


중세의 검은 뭉툭해서 갑옷을 입은 적에게 효과적이라는 강아지 멍멍 짓는 소리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는 완전히 잘못된 지식입니다. 중세에도 칼날은 날카롭게 갈았으며(애초에 날카롭게 안 갈 거라면 칼이


아니라 둔기를 쓰는게 낫죠), 흔히들 말하는 카타나와 비교해보더라도 날카로움 자체만큼은 떨어지지


않을 정도였습니다.


또한 중세의 검은 갑옷을 베야 하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워졌다는 말도 있습니다. 역시 강아지 짖는 소리입니다.


중세의 검이 두꺼웠던 것은 단조 방식의 미발달과 야금학에 대한 이해도의 부제로 인한 필연적인 이유였습니다.


동시대의 무기를 찾아보시면 어느 지역에서건 중세 유럽의 칼만큼 두꺼운 두께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3. 중세에는 사람들이 다들 갑옷을 입고 싸웠다


16세기 정규병들의 경우 부분적으로 판금갑옷을 입고 싸웠다는 기록은 있지만 어디까지나 정규병들에 대한 이야깁니다.


실질적으로 중세의 싸움이란 정규병들끼리 한판 붙는 전장이 아닌 정규병 약간과 징집병(농노, 주민)들로 이뤄진 싸움판


이었습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철은 그렇게 싼 물건은 아닙니다. 더더군다나 판금갑옷을 만들어 입을 정도면 강철을 쓴다는 


것인데 농기구도 강철이 아닌 조악한 철을 썼던 시대에 강철로 된 판금 갑옷을 입고 싸웠다니, 어불성설입니다.


바이킹의 경우나 로마시대의 군단병의 경우 전투가 생업인 사람들이었기에 그들의 관심사는 일신의 안전이었습니다. 


자기들이 약탈해서 번 돈을 무구에 투자하는 비율이 높았고, 따라서 그들은 오버테크 급이라고 볼 수 있는 갑옷(사슬갑옷)을 입고


전투에 임했습니다.


다만 중세-르네상스 유럽이나 고대 로마시대 때 거부(巨副)들의 사병의 경우 거부들이 직접 장구류를 마련해 줬던 적도 있다고 합니다.


요는 다들 가죽갑옷 쯤이나 입고 창이나 한 자루 꼬나들거나 조악한 칼 자루나 들고 전쟁에 임했던 것이죠.



4. 사람은 무기가 5kg만 되도 휘두르기 힘들어 한다


무협 소설을 보면 무기 단위들이 판타스틱 합니다. 100근짜리 청강검, 200근짜리 대영부, 500근짜리 청룡언월도...


한나라 시절에는 1근이 233g이었다고 하는데 한나라라고 해도 100근짜리 칼이면 23.3kg짜리 칼이군요. 우와...


공사판에서 좀 일 해 보신분들이면 아시겠지만, 1m에 1kg도 안되는 철근이라도 가운데부분을 안들면 꽤나 묵직합니다.


그런데 보통 칼이라는게 아무리 폼멜을 달아서 무게균형을 맞춘다고 한들 무겁기는 매한가지입니다.


검도를 해보신 분들 중 실검을 들어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대한검도의 실검의 무게는 2kg이 안됩니다.


그런데도 휘둘러보신 분들이라면 100번만 휘둘러도 손목이 나갈 것 같은 느낌을 받게 될 겁니다.


아무리 7척에 700근(한나라 단위)의 근육질 괴한이라도 23.3kg짜리 칼을 휘두르라고 하면 차라리 날 잡아 잡수소, 할 겁니다.


이건 마치 K-3 3정을 두 손에 들고 휘두르는 느낌... 으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