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정 백과 ~관련 인물(작가,제작자 등)~
SF, 판타지 등 장르 분야의 관련 인물
소설, 만화가, 영화, 애니메이션의 감독. 게임 제작자 등 창작자들 외에 평론가나 학자 등 관련 인물
소설, 만화가, 영화, 애니메이션의 감독. 게임 제작자 등 창작자들 외에 평론가나 학자 등 관련 인물
글 수 15

관련 링크 1 : http://www.mizunoryo.com
1963년 오사카에서 태어난 그는 리츠메(立命館) 대학의 법학과에 입학할 때까지 만 해도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학생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업 이상으로 열중하게 된 어떤 일은 그의 인생을 완전히 바꾸고 말았다. 바로 TRPG를 통해 87년 리플레이집을 연재하게 된 것이다. 이 상황에서도 그는 흔한 게임 필자의 하나였지만, 「로도스도 전기」의 호평으로 소설가로서의 길을 나서게 되었다.
「로도스도 전기」는 90년대 중반 「마계마인전」이란 이름으로 국내에 출간되기도 했지만, 애니메이션과는 다른 분위기 때문인지 일본 만큼의 인기는 끌지 못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1987년에 연재를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14권의 작품이 출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인기도 꾸준하게 이어지며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물론 캐릭터 상품들도 넘쳐나고 있다.
소설의 형식으로서 출간된 「로도스도 전기」이지만, 사실 이 작품은 「던젼&드래곤스」같은 TRPG(테이블 토크 롤플레잉 게임)를 플레이한 경험을 게임 잡지에 연재하면서 완성된 것으로서, 말하자면 요즘의 온라인 게임 기행문 같은 거라 할 것이다.(그래서 「로도스도 전기」에는, 리플레이집과 소설의 두가지 판이 존재하고 있다. 물론, 전자가 처음 연재를 했던 기행문...)
그런 기행문(이라기보다는 소설)이 출간되어 인기를 끌고,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으로까지 제작될 수 있다는 사실은 놀라울 따름이지만, 이 작품으로 데뷔한 미즈노 료씨는 TRPG의 플레이를 위하여 구상한 로도스도 전기의 무대, '포세리아'라는 세계의 인기에 힘입어 「소드 월드 RPG」라는 TRPG를 제작하는 것을 시작으로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그 밖에도 「로도스도 전기」의 무대인 포세리아를 배경으로 한 또 다른 작품, 「크리스타니아 전기」나 로도스의 외전인 「신 로도스도 전기」, 「로도스의 전설」등. 다채로운 작품을 선보이고 있기도...(하지만, 이 세계를 무대로 한 작품 중 가장 많은 수가 나온 것은 처음부터 개그를 목표로 한 작품 「마법전사 리우이」시리즈.)
소설의 제작 외에도 게임 등의 세계관 구성에서 감수를 맡고 있기도 한 그는, 최근 TV애니메이션과 만화, 게임 등으로 출간된 미소녀 애니메이션「갤럭시 엔젤」의 총 감수를 맡고 소설을 쓴데 이어, 스페이스 오페라 「스타쉽 오퍼레이터즈」를 연재 중에 있다.
최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스타쉽 오퍼레이터즈」는 상업주의에 물든(?) 전쟁의 이야기를 아주 흥미있게 연출한 작품인데, 전투 장면을 방송으로 내보내고 이 시청율에 따라 지원을 받는다는 황당무개한 이야기로 눈길을 끌었다.
작가로서의 그는 아직 충분한 필력을 갖추었다고 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무엇보다도 그의 소설은 재미라는 감각이 뒤진다는 평이 많을 정도... 하지만, ' 포세리아 '를 시작으로, 다채로운 세계을 창조해낸 그의 창조적인 감각 만큼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 TRPG에 빠진 리처드 게리옷이 「울티마」를 만들고, 호리이 유지가 「드래곤 퀘스트」를 창조했듯이, 그 역시 TRPG를 통해서 새로운 인생을 찾았다고 할까? 결국, 보드 게임이나 TRPG의 영향을 결코 무시해선 안 된다는 교훈이 될 지도 모른다.)
작품 목록
* 미즈노 료의 작품 목록
(국내에 나온 것은 [국내]로 표시)
(각 작품 중 TRPG 리플레이집은 생략하였다.)
1. 로도스도 시리즈
미즈노 료의 데뷔작으로서, 로도스라고 불리는 섬에서 벌어지는 전쟁 이야기를 주제로 하고 있다. 고대에 풍요의 신 마파와 파괴의 여신 카디스의 대결의 여파로 생겨난 이 섬에는 카디스가 봉인되었다는 어둠의 섬 마도가 존재하고 있다. 마신 전쟁의 영웅 중 하나였던 불패의 용병 베르도에 의해 영웅전쟁이 벌어지면서, 판 일행의 모험이 시작되는데...
판을 주역으로 시작된 이 작품은 그 후 사신 부활의 의식과 관련된 격전으로 이어졌으며, 신 로도스도 전기의 주역인 스파크의 등장으로 이어진다. 또한, 모든 이야기의 시작이기도 한 마신 전쟁을 배경으로 로도스도의 전설을 출간하기도 했다.
각각의 작품에 대해서 코믹스나 애니, 게임 등이 제작되었는데, 특히 1990년에 제작된 OVA 시리즈는 지금도 팬들에게 회자되고 있다.
1) 소설
○ 로도스도 전기(ロードス島戦記) 전7권 - [국내]
○ 로도스도 전설(ロードス島伝説) 전5권 - [국내](5권 국내 미발매)
○ 신 로도스도 전기(新ロードス島戦記) 4권
○ 하이엘프의 숲 디트리트 이야기(ハイエルフの森 ディードリット物語) - [국내]
○ 흑의의 기사(黒衣の騎士) - [국내]
2) 애니
○ 로도스도 전기 - OVA 총13화
○ 로도스도 전기 영웅기사전(英雄騎士伝) - TV판 총27화
3) 만화
○ 회색의 마녀(灰色の魔女) 전3권 - 그림 : 오치 요시히코(越智善彦) - [국내(해적판)]
○ 불꽃의 마신(炎の魔神) 전2권 - 그림 : 사이토 아유미(斎藤亜弓) - [국내(해적판)]
○ 파리스의 성녀(ファリスの聖女) 전2권 - 그림 : 야마다 아키히로(山田章博) - [국내]
○ 영웅기사전(英雄騎士伝) 전5권 - 그림 : 나츠모토 마사토(夏元雅人) - [국내]
○ 디트리트 이야기(ディードリット物語) 전2권 - 그림 : 요네야마 세츠코(よねやませつこ)
4) 게임
< MIZUNO12 - 속편에서는 새로운 주역으로서 스파크가 등장한다. >
○ 로도스도 전기 1 - MSX, PC-9801, PC엔진 등.
○ 로도스도 전기 2 - MSX, PC-9801, PC엔진 등.
○ 로도스도 전기 회색의 마녀 - 윈도.
○ 로도스도 전기 오색의 마룡(五色の魔竜) - 윈도.
5) 드라마 CD
○ 로도스도 전기 카세트 총 6편.
2. 크리스타니아 시리즈
로도스섬에서 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다른 대륙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소재로 한 작품. 로도스섬 시리즈에서 한참 후의 이야기로, 오래 전 흑의의 기사 아슈람과 함께 이곳에 도착한 마모의 후손과 로도스섬의 전란을 피해 떠나온 이들이 주역으로 등장하고 있다. 아슈람과 함께 온 필로테스도 등장하여 팬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신들의 형체가 사라진 로도스섬과는 달리, 동물의 몸을 빌린 신들이 아직 살아남아 신수로서 활약하고 있고, 그들을 따르는 이들이 변신 등의 능력을 사용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소드 월드와는 별개로(확장판 개념으로?) TRPG가 발매되어 있다.
1) 소설
○ 크리스타니아의 전설 시작의 모험가들(はじまりの冒険者たち レジェンド・オブ・クリスタニア)
○ 신왕 전설 크리스타니아(神王伝説クリスタニア) 2권
○ 표류 전설 크리스타니아(漂流伝説クリスタニア) 4권 - [국내]
○ 영웅 전설 크리스타니아(英雄伝説クリスタニア)
○ 의제 전설 크리스타니아(蟻帝伝説クリスタニア)
○ 황금 전설 크리스타니아(黄金伝説クリスタニア)
○ 봉인 전설 크리스타니아(封印伝説クリスタニア)
○ 암흑 전설 크리스타니아(暗黒伝説クリスタニア)
○ 용병 전설 크리스타니아(傭兵伝説クリスタニア) 3권
2) 만화
○ 크리스타니아의 전설(レジェンド・オブ・クリスタニア) 3권 - 그림 : 히메가와 아키라(姫川明) - [국내(해적판)]
3) 드라마 CD
○ 크리스타니아의 전설(レジェンド・オブ・クリスタニア) CD 시네마 총 5편.
3. 소드 월드 시리즈
SENS와 손을 잡고 개발한 TRPG 소드 월드는, 다양한 시나리오집과 관련 소설, 그리고 리플레이집이 제작되어 있다. 미즈노 료 외에도 많은 이의 소설이 있는데, 이중 미즈노 료의 작품이 바로 마법 전사 시리즈로서, 마법 전사 리우이도 이에 속한다.
아레크라스트 대륙을 무대로 하는 단편의 모험담으로 시작되었던 마법 전사 시리즈는, 애니메이션화 이후 계속 증가되어 현재(2006년) 16권에 이르고 있으며, 아직도 꾸준히 발매되고 있기도...
무엇보다도 이 시리즈는 소드월드 세계 전역을 아우르고 있어, 그 중에는 로도스섬을 무대로 판, 디트리트 등과 만나는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기도...
1) 소설
○ 마법 전사 리우이(魔法戦士リウイ) 총 10권(0~9)
○ 검의 나라의 마법 전사(剣の国の魔法戦士)
○ 호숫가 나라의 마법 전사(湖岸の国の魔法戦士)
○ 모래먼지 나라의 마법전사(砂塵の国の魔法戦士)
○ 현자의 나라의 마법전사(賢者の国の魔法戦士)
○ 주박의 섬의 마법전사(呪縛の島の魔法戦士) - 로도스섬 이야기
○ 목가의 나라의 마법전사(牧歌の国の魔法戦士)

2) 만화
○ 유니콘의 소녀(ユニコーンの乙女) - 그림 : 아오키 쿠니오(青木邦夫)
○ 마법전사 리우이 홍염의 바스타드(魔法戦士リウイ 紅炎のバスタード) - 그림 : 사사메유키 쥰(細雪純) - [국내]
○ 마법전사 리우이 패러디 축제(魔法戦士リウイ パロディ祭り) - 그림 : 사사메유키 쥰 외.
4. 기타(소설)
○ 갤럭시 엔젤(ギャラクシーエンジェル) 1권
○ 갤럭시 엔젤 EX
○ 요마야행 악마가 속삭여(妖魔夜行 悪魔がささやく)
[ 관련 이미지 ]

[ 국내에서도 방영된 로도스도 전기. 애니메이션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 이 작품이 그의 감수를 거친 것이라면 의외일까? 소설 자체야 어떻든 그에겐 유머 감각은 충분하다. ]

[ 국내에도 소개된 소드월드. 플레이하는 이들은 많지 않은 듯 하지만... ]

[ 마법전사 리우이. 이게 어딜 봐서 판타지냐고? 물론 보면 안다. ]

[ 로도스도 전기의 이야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로도스의 전설에 이어 출간된 신 로도스도 전기 ]
원문 이름 | 水野良 |
---|---|
분류 | 기타 |
대표작 | |
상세 설정 |

관련 링크 1 : http://www.mizunoryo.com
1963년 오사카에서 태어난 그는 리츠메(立命館) 대학의 법학과에 입학할 때까지 만 해도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학생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업 이상으로 열중하게 된 어떤 일은 그의 인생을 완전히 바꾸고 말았다. 바로 TRPG를 통해 87년 리플레이집을 연재하게 된 것이다. 이 상황에서도 그는 흔한 게임 필자의 하나였지만, 「로도스도 전기」의 호평으로 소설가로서의 길을 나서게 되었다.
「로도스도 전기」는 90년대 중반 「마계마인전」이란 이름으로 국내에 출간되기도 했지만, 애니메이션과는 다른 분위기 때문인지 일본 만큼의 인기는 끌지 못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1987년에 연재를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14권의 작품이 출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인기도 꾸준하게 이어지며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물론 캐릭터 상품들도 넘쳐나고 있다.
소설의 형식으로서 출간된 「로도스도 전기」이지만, 사실 이 작품은 「던젼&드래곤스」같은 TRPG(테이블 토크 롤플레잉 게임)를 플레이한 경험을 게임 잡지에 연재하면서 완성된 것으로서, 말하자면 요즘의 온라인 게임 기행문 같은 거라 할 것이다.(그래서 「로도스도 전기」에는, 리플레이집과 소설의 두가지 판이 존재하고 있다. 물론, 전자가 처음 연재를 했던 기행문...)
그런 기행문(이라기보다는 소설)이 출간되어 인기를 끌고,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으로까지 제작될 수 있다는 사실은 놀라울 따름이지만, 이 작품으로 데뷔한 미즈노 료씨는 TRPG의 플레이를 위하여 구상한 로도스도 전기의 무대, '포세리아'라는 세계의 인기에 힘입어 「소드 월드 RPG」라는 TRPG를 제작하는 것을 시작으로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그 밖에도 「로도스도 전기」의 무대인 포세리아를 배경으로 한 또 다른 작품, 「크리스타니아 전기」나 로도스의 외전인 「신 로도스도 전기」, 「로도스의 전설」등. 다채로운 작품을 선보이고 있기도...(하지만, 이 세계를 무대로 한 작품 중 가장 많은 수가 나온 것은 처음부터 개그를 목표로 한 작품 「마법전사 리우이」시리즈.)
소설의 제작 외에도 게임 등의 세계관 구성에서 감수를 맡고 있기도 한 그는, 최근 TV애니메이션과 만화, 게임 등으로 출간된 미소녀 애니메이션「갤럭시 엔젤」의 총 감수를 맡고 소설을 쓴데 이어, 스페이스 오페라 「스타쉽 오퍼레이터즈」를 연재 중에 있다.
최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스타쉽 오퍼레이터즈」는 상업주의에 물든(?) 전쟁의 이야기를 아주 흥미있게 연출한 작품인데, 전투 장면을 방송으로 내보내고 이 시청율에 따라 지원을 받는다는 황당무개한 이야기로 눈길을 끌었다.
작가로서의 그는 아직 충분한 필력을 갖추었다고 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무엇보다도 그의 소설은 재미라는 감각이 뒤진다는 평이 많을 정도... 하지만, ' 포세리아 '를 시작으로, 다채로운 세계을 창조해낸 그의 창조적인 감각 만큼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 TRPG에 빠진 리처드 게리옷이 「울티마」를 만들고, 호리이 유지가 「드래곤 퀘스트」를 창조했듯이, 그 역시 TRPG를 통해서 새로운 인생을 찾았다고 할까? 결국, 보드 게임이나 TRPG의 영향을 결코 무시해선 안 된다는 교훈이 될 지도 모른다.)
* 미즈노 료의 작품 목록
(국내에 나온 것은 [국내]로 표시)
(각 작품 중 TRPG 리플레이집은 생략하였다.)
1. 로도스도 시리즈
미즈노 료의 데뷔작으로서, 로도스라고 불리는 섬에서 벌어지는 전쟁 이야기를 주제로 하고 있다. 고대에 풍요의 신 마파와 파괴의 여신 카디스의 대결의 여파로 생겨난 이 섬에는 카디스가 봉인되었다는 어둠의 섬 마도가 존재하고 있다. 마신 전쟁의 영웅 중 하나였던 불패의 용병 베르도에 의해 영웅전쟁이 벌어지면서, 판 일행의 모험이 시작되는데...
판을 주역으로 시작된 이 작품은 그 후 사신 부활의 의식과 관련된 격전으로 이어졌으며, 신 로도스도 전기의 주역인 스파크의 등장으로 이어진다. 또한, 모든 이야기의 시작이기도 한 마신 전쟁을 배경으로 로도스도의 전설을 출간하기도 했다.
각각의 작품에 대해서 코믹스나 애니, 게임 등이 제작되었는데, 특히 1990년에 제작된 OVA 시리즈는 지금도 팬들에게 회자되고 있다.
1) 소설
○ 로도스도 전기(ロードス島戦記) 전7권 - [국내]
○ 로도스도 전설(ロードス島伝説) 전5권 - [국내](5권 국내 미발매)
○ 신 로도스도 전기(新ロードス島戦記) 4권
○ 하이엘프의 숲 디트리트 이야기(ハイエルフの森 ディードリット物語) - [국내]
○ 흑의의 기사(黒衣の騎士) - [국내]
2) 애니
○ 로도스도 전기 - OVA 총13화
○ 로도스도 전기 영웅기사전(英雄騎士伝) - TV판 총27화
3) 만화
○ 회색의 마녀(灰色の魔女) 전3권 - 그림 : 오치 요시히코(越智善彦) - [국내(해적판)]
○ 불꽃의 마신(炎の魔神) 전2권 - 그림 : 사이토 아유미(斎藤亜弓) - [국내(해적판)]
○ 파리스의 성녀(ファリスの聖女) 전2권 - 그림 : 야마다 아키히로(山田章博) - [국내]
○ 영웅기사전(英雄騎士伝) 전5권 - 그림 : 나츠모토 마사토(夏元雅人) - [국내]
○ 디트리트 이야기(ディードリット物語) 전2권 - 그림 : 요네야마 세츠코(よねやませつこ)
4) 게임
< MIZUNO12 - 속편에서는 새로운 주역으로서 스파크가 등장한다. >
○ 로도스도 전기 1 - MSX, PC-9801, PC엔진 등.
○ 로도스도 전기 2 - MSX, PC-9801, PC엔진 등.
○ 로도스도 전기 회색의 마녀 - 윈도.
○ 로도스도 전기 오색의 마룡(五色の魔竜) - 윈도.
5) 드라마 CD
○ 로도스도 전기 카세트 총 6편.
2. 크리스타니아 시리즈
로도스섬에서 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다른 대륙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소재로 한 작품. 로도스섬 시리즈에서 한참 후의 이야기로, 오래 전 흑의의 기사 아슈람과 함께 이곳에 도착한 마모의 후손과 로도스섬의 전란을 피해 떠나온 이들이 주역으로 등장하고 있다. 아슈람과 함께 온 필로테스도 등장하여 팬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신들의 형체가 사라진 로도스섬과는 달리, 동물의 몸을 빌린 신들이 아직 살아남아 신수로서 활약하고 있고, 그들을 따르는 이들이 변신 등의 능력을 사용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소드 월드와는 별개로(확장판 개념으로?) TRPG가 발매되어 있다.
1) 소설
○ 크리스타니아의 전설 시작의 모험가들(はじまりの冒険者たち レジェンド・オブ・クリスタニア)
○ 신왕 전설 크리스타니아(神王伝説クリスタニア) 2권
○ 표류 전설 크리스타니아(漂流伝説クリスタニア) 4권 - [국내]
○ 영웅 전설 크리스타니아(英雄伝説クリスタニア)
○ 의제 전설 크리스타니아(蟻帝伝説クリスタニア)
○ 황금 전설 크리스타니아(黄金伝説クリスタニア)
○ 봉인 전설 크리스타니아(封印伝説クリスタニア)
○ 암흑 전설 크리스타니아(暗黒伝説クリスタニア)
○ 용병 전설 크리스타니아(傭兵伝説クリスタニア) 3권
2) 만화
○ 크리스타니아의 전설(レジェンド・オブ・クリスタニア) 3권 - 그림 : 히메가와 아키라(姫川明) - [국내(해적판)]
3) 드라마 CD
○ 크리스타니아의 전설(レジェンド・オブ・クリスタニア) CD 시네마 총 5편.
3. 소드 월드 시리즈
SENS와 손을 잡고 개발한 TRPG 소드 월드는, 다양한 시나리오집과 관련 소설, 그리고 리플레이집이 제작되어 있다. 미즈노 료 외에도 많은 이의 소설이 있는데, 이중 미즈노 료의 작품이 바로 마법 전사 시리즈로서, 마법 전사 리우이도 이에 속한다.
아레크라스트 대륙을 무대로 하는 단편의 모험담으로 시작되었던 마법 전사 시리즈는, 애니메이션화 이후 계속 증가되어 현재(2006년) 16권에 이르고 있으며, 아직도 꾸준히 발매되고 있기도...
무엇보다도 이 시리즈는 소드월드 세계 전역을 아우르고 있어, 그 중에는 로도스섬을 무대로 판, 디트리트 등과 만나는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기도...
1) 소설
○ 마법 전사 리우이(魔法戦士リウイ) 총 10권(0~9)
○ 검의 나라의 마법 전사(剣の国の魔法戦士)
○ 호숫가 나라의 마법 전사(湖岸の国の魔法戦士)
○ 모래먼지 나라의 마법전사(砂塵の国の魔法戦士)
○ 현자의 나라의 마법전사(賢者の国の魔法戦士)
○ 주박의 섬의 마법전사(呪縛の島の魔法戦士) - 로도스섬 이야기
○ 목가의 나라의 마법전사(牧歌の国の魔法戦士)

2) 만화
○ 유니콘의 소녀(ユニコーンの乙女) - 그림 : 아오키 쿠니오(青木邦夫)
○ 마법전사 리우이 홍염의 바스타드(魔法戦士リウイ 紅炎のバスタード) - 그림 : 사사메유키 쥰(細雪純) - [국내]
○ 마법전사 리우이 패러디 축제(魔法戦士リウイ パロディ祭り) - 그림 : 사사메유키 쥰 외.
4. 기타(소설)
○ 갤럭시 엔젤(ギャラクシーエンジェル) 1권
○ 갤럭시 엔젤 EX
○ 요마야행 악마가 속삭여(妖魔夜行 悪魔がささやく)
[ 관련 이미지 ]

[ 국내에서도 방영된 로도스도 전기. 애니메이션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 이 작품이 그의 감수를 거친 것이라면 의외일까? 소설 자체야 어떻든 그에겐 유머 감각은 충분하다. ]

[ 국내에도 소개된 소드월드. 플레이하는 이들은 많지 않은 듯 하지만... ]

[ 마법전사 리우이. 이게 어딜 봐서 판타지냐고? 물론 보면 안다. ]

[ 로도스도 전기의 이야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로도스의 전설에 이어 출간된 신 로도스도 전기 ]
2005.06.18 01:56:50 (*.51.40.152)
개인적인 평가로는 거품 경제 시대에 물살을 잘 탄 사람으로 봅니다. 로도스도 전기에 대해서는 할말이 없습니다만, 이후에 작품들을 보면 점점 한계를 느끼게 합니다. 마법전사 리우이같은 경우는 이제 욹어 먹을대로 욹어 먹었는가하는 생각까지 들게 하더군요. 창작자로 평가하기 힘든 사람이라고 봅니다.
2005.06.19 01:45:25 (*.75.67.6)
전문 소설가가 아니니 어쩔수 없는 경향이죠...
사실 로도스도 전기 리플집과 소설은 완전히 다르니.. 보는 분들은 아마 진실은 저너머에라는 말을...
대략 이 분과 SNE가 일본내에 자국의 창작 RPG의 수요를 창출한것만큼은 크게 평가받아야하죠.
SNE의 최근의 백귀야상까지올 수 있게한 원동력은 로도스도전기라는 블록버스터(?)라 할만한
흐름이 존재했어야 했으니...
대략 토우마 유미상의 디드리트에 뻑간 사람이 한두명은 아니었죠... 아직도 그..... 으으...
그래도 전 가슴빵빵 다크엘프가 더 좋았다는.. 으어억...
사실 로도스도 전기 리플집과 소설은 완전히 다르니.. 보는 분들은 아마 진실은 저너머에라는 말을...
대략 이 분과 SNE가 일본내에 자국의 창작 RPG의 수요를 창출한것만큼은 크게 평가받아야하죠.
SNE의 최근의 백귀야상까지올 수 있게한 원동력은 로도스도전기라는 블록버스터(?)라 할만한
흐름이 존재했어야 했으니...
대략 토우마 유미상의 디드리트에 뻑간 사람이 한두명은 아니었죠... 아직도 그..... 으으...
그래도 전 가슴빵빵 다크엘프가 더 좋았다는.. 으어억...
2005.06.19 02:53:57 (*.146.162.34)
조금 수정해야할 것이...
미즈노 료는 소드월드의 설정 제작에는 별로 관여하지 않았습니다. 그저 소드월드와 로도스와의 연결고리를 만든 정도였죠. 다른 동료들이 소드월드를 만들 때, 독자적으로 만들어나간 프로젝트가 크리스타니아입니다.
미즈노 료는 소드월드의 설정 제작에는 별로 관여하지 않았습니다. 그저 소드월드와 로도스와의 연결고리를 만든 정도였죠. 다른 동료들이 소드월드를 만들 때, 독자적으로 만들어나간 프로젝트가 크리스타니아입니다.
2005.06.20 15:46:06 (*.75.67.56)
소드월드를 기반으로 나온 리플집중 로도스도 전기가 있었고.. 이 리플집을 기반으로
로도스도 월드 RPG도 만들어진듯... 크리스타니아는 이 로도스도를 더욱 간략히 하고
%(d100)개념의 룰이었는데 밸런스가 아주 꽝이었죠... 그런대로 한두번 즐기기엔
굉장히 즐겁긴 하지만....
로도스도 월드 RPG도 만들어진듯... 크리스타니아는 이 로도스도를 더욱 간략히 하고
%(d100)개념의 룰이었는데 밸런스가 아주 꽝이었죠... 그런대로 한두번 즐기기엔
굉장히 즐겁긴 하지만....
2005.06.20 18:52:23 (*.146.162.34)
정확히 하자면 로도스도 전기의 리플레이는 3종류가 있습니다.
D&D버전(나중에 AD&D로 바꿈)(이 때 소드월드 제작도 진행, 미즈노 동물이 좋았던 관계로 직접적인 참가는 안함)->소드월드 버전(실제로 플레이 했는지는 의문)->로도스RPG버전(과거 리플레이를 토대로 다시 플레이를 함.)
D&D버전(나중에 AD&D로 바꿈)(이 때 소드월드 제작도 진행, 미즈노 동물이 좋았던 관계로 직접적인 참가는 안함)->소드월드 버전(실제로 플레이 했는지는 의문)->로도스RPG버전(과거 리플레이를 토대로 다시 플레이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