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화폐 제도가 18세기에나 실현되었다고 하는데, 사실 조선의 화폐 제도는 초기부터 진행되었습니다. 아니 더 정확히는 고려시대부터 이미 '포화(면포 등을 화폐처럼 사용하는 것)'가 유통되고 있었고, 조선시대에서는 '저화(종이돈)'을 비롯한 다양한 화폐를 시도했던 것입니다. 


문제는 국왕을 비롯하여 정부 각처에서 화폐의 필요성을 느끼고 계속 추진했지만, 당시 국민들이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무엇보다도 신뢰를 얻기 어려웠던 것이 문제입니다. 게다가 조선이라는 나라는(고려도 마찬가지지만) 대다수 시기에 걸쳐서 각 지역에서 자급자족이 충분한 나라였습니다. 이쪽의 물건을 저쪽으로 옮기고, 저쪽을 이쪽으로 옮길 필요성도 매우 낮았습니다.(덧붙여 상업이 물건을 여기서 저기로 옮기기만 하는 일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천시되었던 것도 사실입니다.)


더욱이, 조선은 자원이 부족한 나라이기도 했습니다. 중국처럼 은이라도 잔뜩 나왔다면 은을 조각으로 잘라서 무게를 재어서 화폐로 쓰는 방법이라도 가능했겠지만, 그럴만한 여력이 없었습니다. 그나마 생산되는 금이나 은은 조공품으로 되어 있었기에 어려웠습니다. 그리고 구리와 철은 조선의 군사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반 자원이었습니다. 중국과 일본. 인구면에서 몇 배나 차이나는 두 나라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끼어있는 상황에서 조선은 군사력을 유지하기 위해 바둥대야만 했으니까요.



여러가지 이유를 대긴 했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조선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에 충분한 인구와 자원을 가진 나라가 아니었고 정부에 대한 신뢰가 충분히 높지 않았다는데 있습니다. 이를테면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인구는 약 500만 이하로 당시 일본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인구 규모가 두배가 넘는데다 여러가지 이유로 교역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지하 자원도 더 풍부한 일본에서조차 화폐 경제가 발달하기는 힘든 상황에서 중국의 지원이 없이 조선에서 화폐 경제가 발달하는 건 불가능했습니다. 솔직히 중국에서조차 명나라에 들어 겨우겨우 전국적인 화폐 경제가 가닥을 잡아가고 있었으니까요.



흔히 유럽과 비교하면 동양에서 화폐 경제가 뒤진 것처럼 보이지만, 유럽도 생각만큼 화폐 경제가 일찍부터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물론 로마부터, 아니 그 전부터 화폐는 존재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충분한 신뢰를 가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실례로 영어로 봉급(Salary)라는 말이 소금을 뜻하는 라틴어(Sal)에서 왔는데, 그건 로마에서 병사들의 급여를 '화폐'가 아닌 '소금'이라는 현물로 지급했기 때문입니다. 로마에는 분명히 데나리라는 통화가 있었지만, 그 데나리 화폐가 화폐로서 역할을 하는데는 꽤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로마가, 그리고 명나라가 자국을 대표하는 화폐를 갖게 된 것은 그들의 경제 규모가 크고 국가의 신뢰가 높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그들의 화폐가 그 자체로 가치가 있는 귀금속이었기 때문입니다.


바로 "은"이라는 귀금속이 화폐에 사용되었기 때문이죠.


동이나 철 같은 금속은 고대 세계라면 모를까 중세 이후에는 이미 귀금속이 아니었습니다. 그만큼 충분한 가치가 없죠. 하지만 은이나 금은 고대세계부터 계속 귀한 물건이었습니다. 사실 은이나 금으로 먹고 살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사실 금이나 은은 근대 세계까지 활용도가 높지 않았죠.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지만, 뭔가 물건을 만들기엔 너무 무릅니다. 고작해야 장신구나 종교의 상징물 같은 것외에는 쓸모가 없죠.


하지만 '반짝거리는 금속'으로서의 금과 은은 사치와 부의 상징이었던 만큼 누구나 보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상품이었습니다. 게다가 금이나 은은 그 양이 매우 작고 양을 쉽게 늘릴 수 없기에 가치가 떨어질 일도 거의 없습니다. 변하지 않는만큼 양이 늘어난다고 해도 인구가 증가하는 만큼 금과 은의 가치가 유지되기 쉽습니다. 아니, 도리어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대 세계로부터 금과 은은 일종의 화폐 역할을 했습니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금과 은을 '물물 교환'의 중계 수단으로 사용했습니다. 어느 나라건 금과 은이 풍족한 나라는 없었으니까요. (특히 금은 화폐로 쓸만큼 넉넉할 가능성이 매우 낮았습니다.)



로마의 데나리 화폐가 국제 통화로서 가치를 갖게 되고 로마 내에서 어느 정도 유통된 것은 데나리 화폐가 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로마가 사치를 배우게 되면서 상황은 달라집니다. 로마에서 가장 인기 높은 사치품, 비단을 구매하기 위해서 대량의 은이 로마에서 빠져나갔기 때문입니다.


결과 로마에서는 은이 부족해지고 데나리 은화에 점차 구리를 섞기 시작합니다. 그에 따라 데나리 화폐의 가치는 폭락하게 됩니다. 고대 세계에서 구리도 엄청나게 흔한 금속은 아니었지만, 은처럼 귀한 물건은 아니었거든요.


데나리 화폐의 가치가 폭락하면서 로마의 경제는 흔들리고 결국에는 화폐 경제가 붕괴됩니다. 



이러한 것은 사실 중국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를테면 중국에서도 정말로 널리 쓰이던 화폐는 바로 '은'이었거든요. 은의 생산이 어느 정도 안정적이었던 일본에서도 역시 은을 화폐 대신 사용했습니다.



중세에서 근대에 이르는 기간, 유럽에서 화폐가 거래된 것도 역시 귀금속을 화폐로 썼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 가장 신뢰가 높은 통화는 베네치아의 두카토로, 베네치아는 지중해 교역을 사실상 장악하고 금을 엄청나게 수입하여 두카토 금화를 만듭니다. 로마 등의 사례를 통해서 화폐의 가치를 유지하는 것이 교역국가의 생명줄이라 생각한 베네치아는 이 화폐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그야말로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게 됩니다.


당시 베네치아의 경제력은 조선과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차이가 났습니다. 한때 거대 제국인 오스만 투르크 이상이었으니까요. 하지만 이만한 경제력을 가진 베네치아가 화폐 경제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유럽의 교역 규모가 생각보다 크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소규모 도시 국가에서나 조금씩 거래가 진행되었으니까요. 게다가 매우 귀한 금이었던 만큼 작은 크기로도 충분한 가치를 가질 수 있었거든요.(순도 98%가 넘는 금으로 된, 사실상 작은 금덩어리라서 베네치아 공화국이 망하고 한참 뒤인 1차 대전때까지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었을 정도입니다.)


정말로 교역 인구가 많았다면, 베네치아가 아니라 최전성기의 오스만투르크라도 전국적 화폐 교역은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조선이 18세기에 이르러 금이나 은과 같은 귀금속이 아닌 구리로 만든 화폐의 전국적인 유통이 진행되었다는 것은 기술이 아니라 조선 정부의 신뢰와 화폐 생산 능력이 그만큼 안정되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화폐는 기술과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화폐를 만드는 것은 석기시대라도 가능하지만, 문제는 그것이 장식품이 아닌 '화폐'로서의 가치를 갖기 위해서 '신뢰'를 가져야 한다는데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이거 돈이거든. 그러니까 이걸로 무슨 물건이든 살 수 있어(바꿀 수 있어).'라는 말을 사람들이 믿어주어야만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도 그 신뢰가 깨어져선 안 됩니다.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화폐는 쉽게 생겨나지 않습니다. 위에서 말했듯 강력한 국가였던 로마조차 중기 이후 화폐 가치가 폭락하면서 경제 위기를 맞이했을 정도이니까요.


때문에 금이나 은처럼 그 자체로 가치를 가진 귀금속이 아니면서 화폐로서의 가치가 있는 사회가 완성되기에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사실상 금 본위제가 아니라 나라의 신용만으로 사용되는 신용화폐는 20세기에 들어서야 진정으로 완성된 것이니까요.

profile

과거를 아는 이는 현재를 이끌어가고 미래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역사와 SF... 어딘지 어울리지 않을 듯 하지만, 그럼 점에서 둘은 관련된게 아닐까요?

SF&판타지 도서관 : http://www.sflib.com/
블로그 : http://spacelib.tistory.com
트위터 : http://www.twitter.com/pyodogi  (한글)    http://www.twitter.com/pyodogi_jp (일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