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 과학 포럼
SF 작품의 가능성은 어떻게 펼쳐질 수 있을까요? 그리고 어떤 상상의 이야기가 가능할까요?
SF에 대한 가벼운 흥미거리에서부터 새로운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에 이르기까지...
여기는 과학 소식이나 정보를 소개하고, SF 속의 아이디어나 이론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상상의 꿈을 키워나가는 곳입니다.
( 이 게시판은 최근에 의견이나 덧글이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
양자물리학적 유사 - 텔레파시란 양자물리학적 게임 이론에 속한 개념으로써,
분리되어 있는(즉, 서로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없는) 두 명의 플레이어가 협력 게임에서 비정상적으로 높은 성공 확률을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높은 성공 확률을 얻으려면 플레이어들 간에 상호통신이 가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나, 이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양자물리학적 유사 - 텔레파시는 종종 초능력 혹은 심령 현상으로 잘못 이해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양자물리학적 법칙은 미묘하게 비국소적이며 벨 부등식을 위반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잘 모르기 때문이다.
양자물리학적 유사 - 텔레파시가 가능하려면,
우선 게임 시작 전에 참가자들은 서로 간에 양자 얽힘 상태에 있는 물리적 계를 공유하고 있어야 하며,
게임 진행 도중 이 얽힘 상태에 대한 측정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게임 전략에 반영해야 한다.
이렇게 양자물리학적 전략의 응용이 유사 - 텔레파시를 초래하는 게임을 양자물리학적 비국소성 게임이라고도 한다.
1999년 Gilles Brassard, Richard Cleve 그리고 Alan Tapp는 자신의 논문에서,
양자적 얽힘이 없는 상태에서는 오직 참가자들 간의 통신만이 성공적인 전략을 낳을 수 있는 게임들에서,
성공적인 양자물리학적 전략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양자물리학적 유사 - 텔레파시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여기서 '유사'라는 표현은 적절한데, 이러한 현상의 중심에 있는 양자적 비국소성은 그 어떤 정보 교환도 허락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협력 게임을 이기기 위해 참가자들이 서로 간에 정보를 교환해야 할 필요성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이 양자물리학적 유사 - 텔레파시 현상은 양자물리학의 비국소적 성격을 명백하고 강력하게 보여주는 사고 실험의 일례로 활용된다.
하지만 이 현상은 아직 실험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
현재 텔레파시와 유사한 개념의 기계들이 개발 되어 있습니다. 심지어 마음을 읽는 기계도 개발 되었죠. 어떤 기계는 여자가 제대로 흥분하는지 알기 위해 만들기 시작하다가 감정마저 알 수 있는 정도로 개발 되었다죠,,,
뇌파를 읽을 정도면 텔레파시를 통한 대화도 불가능한 게 아닙니다.
'마음 읽는 기계'만 검색해도 수십 건의 기사가 뜹니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12247523g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01007000454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0091600054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2591495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809290009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275537.html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907010051
가제트가 나왔던 10여년 전부터 가능할 거란 예상이 있었는데, 이젠 가제트가 현실로.
실험적으로 증명되지 않았지만,
'과학' 의 범주에 들어가기 위해서 줄 서 있는 내용이 상당히 많죠.
개인적으론 이런 놈들이 좀 과학의 범주로 들어와 주길 바랍니다만.
쉽지 않죠.